|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국민의미래 18석 | |||||||
최보윤 | 박충권 | 최수진 | 진종오 | |||||
강선영 | 김건 | 김소희 | 인요한 | |||||
김민전 | 김위상 | 한지아 | 유용원 | |||||
조배숙 | 김장겸 | 김예지 | 안상훈 | |||||
이달희 | 박준태 | |||||||
더불어민주연합 14석 | ||||||||
서미화 | | 백승아 | | |||||
정혜경 | 용혜인 | 오세희 | 박홍배 | |||||
| 한창민 | 전종덕 | 김윤 | |||||
임미애 | 정을호 | 손솔 | 최혁진 | |||||
이주희 | ||||||||
조국혁신당 12석 | ||||||||
박은정 | | 이해민 | 신장식 | |||||
김선민 | 김준형 | 김재원 | 황운하 | |||||
정춘생 | 차규근 | 강경숙 | 서왕진 | |||||
백선희 | ||||||||
개혁신당 2석 | ||||||||
이주영 | 천하람 | |||||||
◀ 제21대 제23대 ▶ | }}}}}}}}} |
<colbgcolor=#d6001c,#d6001c><colcolor=#fff>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전종덕 全鐘德 | Jeon Jong-deok | |||
| |||
출생 | 1971년 11월 29일 ([age(1971-11-29)]세) | ||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월천리[1] | |||
거주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대성베르힐 | ||
본관 | 천안 전씨 | ||
현직 | 제22대 국회의원 진보당 원내부대표 진보당 개헌특별위원장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위원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6001c,#d6001c><colcolor=#fff> 학력 | 손불서초등학교 (졸업) 함평손불중학교 (졸업) 광주여자고등학교 (39회 / 졸업) 조선대학교 (간호학 / 학사)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 석사) | |
종교 | 성공회 (신명: 릴리안)[2] | ||
소속 정당 | |||
지역구 | 비례대표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22 | ||
소속 위원회 |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 ||
경력 | 강진의료원 간호사 강진의료원 노동조합 위원장 제7대 전라남도의회 의원 (민선 3기 / 비례대표 1번 / 민주노동당)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광주전남본부장 의료민영화저지를 위한 범국민운동본부 광주전남공동대표 통합진보당 화순군 지역위원장 민주노동당 전라남도당 부위원장/ 중앙위원 보건의료노조 광주전남본부 부본부장 제13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사무총장 제22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11번 / 더불어민주연합) 진보당 원내부대표 | }}}}}}}}} |
1. 개요
대한민국의 간호사 출신 노동운동가, 정치인.2. 생애
1971년 11월 29일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월천리에서 태어났다. 손불서초등학교, 함평손불중학교, 광주여자고등학교(39회), 조선대학교 간호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강진의료원 간호사로 근무하다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강진의료원지부장을 지내면서 노동운동에 투신하였다.이후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행정학과에서 보건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1. 정치 활동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 비례대표 1번으로 전라남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전라남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구충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전라남도 나주시·화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합민주당 최인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로 전라남도 나주시·화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통합당 배기운 후보와 단일화한 뒤 사퇴하였다. 이후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광주·전남지역 본부장을 지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로 전라남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민주연합 문행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중연합당 비례대표 3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2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제10기 13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사무총장을 지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보당 비례대표 후보 2위로 선출되어 범진보 연합계열이였던 더불어민주연합에 연합하여 비례후보 11번으로 최종 배정받으며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바로 더불어민주연합 제명 형식으로 본래 정당인 진보당으로 복당하였다. #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출입 제지를 우회하여 국회의사당 본회의장에 진입해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에 참여했다.
2025년 6월 23일 이재명 정부에서 윤석열 정부의 국무위원인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계속 함께할 것을 발표하자 당일에 열린 농해수위 자리에서 정부여당에 대해 작심 발언을 하고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진보당에서도 공식적으로 비판 논평을 낸데 이어 전종덕도 기자회견을 하였다. 진보당 입장에선 비상계엄으로 인해 각종 불명예스러운 오명을 다 떠안은 윤석열 정권의 인사인데다 양곡관리법 개정 반대에 앞잡이 역할을 했다고 느껴지는 송미령을 유임시키는 것에 대해 불만을 충분히 가질 법도 한 상황이다.#
3. 비판 및 논란
3.1. 민주노총 사무총장 시절 상근자 부당해고 논란
민주노총 상근자인 김한울씨가 IT노조의 비상근 사무국장으로 당선되자, 상근직이 아님에도 김 부장에게 "IT노조 사무국장은 상근직으로 채용돼 사무총국 성원과 겸직에 해당한다"고 통지하고 해고해 논란이 되었다. 민주노총에서 정직 1개월 징계를 내렸지만 징계는 재심 끝에 취소되었다. #결국 지방노동위원회에서 '부당해고' 판정을 받아 복직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전종덕 당시 사무국장은 사과를 하지 않았다.
22대 총선에 전종덕 전 사무총장이 출마하게 되자, IT노조에서는 이 문제를 공론화하며 사과를 요구했다. #
4.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 기간 | 비고 |
[[건설국민승리21| 건설국민승리21 ]] | 1997 - 1999 | 창당 정계 입문 |
| 1999 - 2000 | 정당 해산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2000 - 2011 | 창당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 ]] | 2011 - 2014 | 합당[3] |
| 2014 - 2016 | 정당 해산 |
( ) | 2016 | 창당준비위원회 |
| 2016 - 2017 | 창당 |
| 2017 - 2020 | 합당[4] |
| 2020 - 2024 | 당명 변경 |
| 2024 | 탈당[5] |
| 2024 | 입당 |
| 2024 | 제명[6] |
| 2024 - 현재 | 복당 |
5.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6001C><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D6001C>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02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남 비례대표 | [[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 ]] | 144,124 (14.99%) | 당선 (1번) | 초선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남 화순 1 | 5,856 (23.69%) | 낙선 (2위)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나주·화순 | 10,469 (15.37%)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 ]] | 후보 사퇴 | [7]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남 화순 1 | 8,207 (31.46%) | 낙선 (2위)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 145,624 (0.61%) | 낙선 (3번)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7,567,459 (26.69%) | 당선 (11번) | 초선[8]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4회 지선 (전남 화순군 제1선거구) | 18대 총선 (전남 나주시·화순군) | |
| | |
19대 총선 (전남 나주시·화순군) | 6회 지선 (전남 화순군 제1선거구) | }}}}}}}}}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6001C><tablebgcolor=#D6001C>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6001C><tablebgcolor=#D6001C>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 | |||
<colbgcolor=#B7DDF5>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 김영호 | <colbgcolor=#B7DDF5> 전국대의원대회 부의장 | 최나영 · 강승철 | |
| ||||
상임대표 | 김재연 | |||
원내대표 | 윤종오 | |||
공동대표 | 장진숙 · 신창현 (일반) | |||
홍희진청년 · 공석농민 · 김창년노동자 · 이경민빈민 · 장지화여성·엄마 (계급계층) | ||||
| ||||
인권위원장 | 공석 | 자주평화통일위원장 | 신미연 | |
문화예술위원장 | 김지호 | 전국장애인위원장 | 박희환 | |
지방자치위원장 | 장진숙 | 성평등위원장 | 조은영 | |
젠더폭력대응센터장 | ||||
| ||||
청소년특별위원장 | 김도현 | 전세사기·깡통전세 대책특별위원장 | 윤종오 · 김용연 | |
내란세력청산특별위원장 | 손솔 | 쿠팡 과로사 대책위원장 | 정혜경 | |
기후위기대응특별위원장 | 정주원 | 민생특별위원장 | 이경민 | |
개헌특별위원장 | 전종덕 | |||
| ||||
사무총장 | 신창현 | 사무부총장 | 신용욱 | |
대변인 | 홍성규(수석) · 이미선 · 홍희진 · 신미연 · 정혜규 | |||
부대변인 | 김도현 · 신승룡 · 신하섭 | |||
| ||||
비서실장 | 조일승 | |||
| ||||
정책위원회 의장 | 장진숙 | |||
| ||||
원내대표 | 윤종오 | |||
원내부대표 | 전종덕 | 원내대변인 | 정혜경 | |
| ||||
진보정책연구원장 | 신석진 | 중앙윤리위원장 | 유선희 | |
중앙선거관리위원장 | 이호성 | 중앙예산결산위원장 | 안소희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6001c,#d6001c><tablebgcolor=#d6001c,#d6001c>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d6001c,#d6001c><tablebgcolor=#d6001c,#d6001c>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손솔 | 윤종오 | 전종덕 | 정혜경 | }}}}}}}}}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사무총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초대 권용목 | 제2대 고영주 | 제3대 이수호 | 제4대 이홍우 | 제5대 이석행 |
제6대 김태일 | 제7대 이용식 | 제8대 신승철 | 제9대 강승철 | 제10대 유기수 | |
제11대 이영주 | 제12대 백석근 | 제13대 전종덕 | 제14대 고미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