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의 종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서버 - 클라이언트 멀티유저 컴퓨터 | 슈퍼컴퓨터 · 미니컴퓨터 · 마이크로컴퓨터 | |
형태 (타워형 · 랙마운트 · 블레이드 서버) | |||
칩셋 및 OS 유형 (메인프레임 · x86·유닉스 서버) | |||
개인 컴퓨터 | 워크스테이션 | ||
데스크탑 | 일체형 PC · HTPC · 게이밍 PC · 미니 PC · 스틱 PC · 넷탑 | ||
랩탑 | 포터블 컴퓨터 · 울트라북 · 게이밍 노트북 · 2in1 노트북 · 넷북 | ||
헨드헬드 모바일1 | 스마트폰 · 태블릿 컴퓨터(태블릿 PC) · 핸드헬드 PC(UMPC · 핸드헬드 게이밍 PC) · PDA · 팜톱 컴퓨터 · 전자수첩 · 전자책 단말기 | ||
웨어러블 | HMD · 스마트 워치 · 스마트 밴드 · 스마트 링 | ||
콘솔 게임기 | 거치형 콘솔 게임기 · 휴대용 콘솔 게임기 · 아케이드 게임기 | ||
이동통신기기(모바일)는 넓은 의미에서 랩탑, 웨어러블도 포함하지만 깔끔한 분류를 위해 손에 들어오는 것(핸드헬드)로만 한정함. |
샤프 전자수첩. 한글 입출력이 가능하고 많은 기능을 갖고 있다.
Aurora 전자수첩. 다만 이 사진 속 전자수첩은 계산기+시계+세계시간+알람+간이 스케쥴+전화번호부+비밀메모 기능만 있고 한글입출력도 안되는데다 백업배터리[1] 마저 없는 보급형 제품으로 한창때의 제품에는 첫번째 사진처럼 옥편기능, 본격 캘린더 기능, 메모장, 지하철 노선도, PC연동등의 다양한 기능이 들어가 있는 제품들도 많았다.
1. 개요
Electronic organizerPDA, 스마트폰의 조상격인 물건. 데이터의 입력, 관리 기능을 가진 전자 장비로서,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현재는 전자수첩의 기능이 1990년대 중반 이후 컴퓨터, 전자사전, MP3P, PMP, 휴대폰 등에 흡수 당하면서 단독 전자수첩 장비는 이제 거의 나오지 않게 되었다.
전자수첩은 대개 PDA가 널리 보급되기 이전의 과도기적인 시장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컴퓨터나 다른 전자 수첩 등과의 통신 기능이 부족하여 데이터 백업이 안되거나 어렵다는 약점이 있었다. 백업 배터리가 없는 초기 전자수첩에서는 배터리를 교체하다가 데이터를 잃어버릴 위험도 있었다. 물론 후기에는 컴퓨터와 직접 케이블로 연결해 데이터를 싱크하거나 기기간 데이터 카드로 자료를 옮기는 기능을 지원하는 제품들도 나오기는 했지만 케이블이나 데이타카드는 별매였으며 비쌌으므로 대중화되지는 못했다.
2. 역사
2.1. 일본에서 전자수첩의 역사
1980년대 초중반에 카시오(1983년), 샤프(1984년) 등에서 전자 수첩이 나왔다. 초기의 일제 전자수첩은 주소록과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이름은 가타카나로 밖에 입력하지 못했으며, LSI 회로와 프로그램으로 자동 정렬 기능이 있는 정도였다. 1980년대 말에야 한자 변환 기능이 일반적으로 장착되었다.1980년대에는 다기능 전자수첩이 나타났다. 시계가 내장되고, 시간이 되면 알람이 울리는 스케쥴러가 표준 기능이 된다. 외부 메모리를 넣고 기능 카드를 교체하여 전자사전 기능, 게임[2], 철도 환승 안내, 오토다이얼[3] 등 의 기능을 부가하게 된다.
고기능화가 진행되면서 처음에는 작고 간단하던 수첩이 점점 커지게 되었는데, 1989년에 나온 캐논의 AI 노트는 A4 사이즈 대학노트를 3,4권 정도 겹친 거대한 크기였으며, 소니에서 만든 PalmTop은 A5 사이즈의 서브 노트북의 1.5배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었다. 이런 의미불명한 상품까지 등장했다.
종이수첩 업계에서는 바인더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페이지를 교체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수첩을 내놓았는데 1990년대에는 중고생에게 크게 유행하여 폭넓게 보급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PC가 사무실과 일반 가정에서 널리 보급되었는데, 전자 수첩 메이커에서는 PC 연동 케이블과 소프트웨어에 전자 수첩 본체 수준의 가격을 붙였다. 이 때 PDA에서는 연동 케이블을 거의 동봉하는 수준이었으므로, 전자 수첩은 외면당했다. 샤프가 전자수첩 자우르스를 PDA로 바꾸면서 전자 수첩 사업을 축소하고, 전자수첩 부서는 전자사전으로 옮겨갔다.
여담으로 휴대용 게임기로 전자수첩 소프트웨어가 출시되기도 하였다. 코나미에서 1992년에 게임보이용으로 출시한 '나노노트(Nanonote)', 반다이에서 2006년에 닌텐도 DS용으로 출시한 시나모롤 게임(?) '스타일북 ~시나모롤~' 등이 그 예시.[4]
2.2. 한국에서
1991년의 분위기(전체열람 시 로그인 필수)는 썩 대중화 되지는 않았지만, 영어 가능한 일부 계층이 20~30만원 정도에 사서 들고 다니는 분위기였다. (현대 물가로 60~80만원)우리나라에서도 한창때는 직장인들이 들고다니기도 하고, TV 프로그램 말미의 "이 프로그램에 참여해 주신 분들께서는~"하는 선물소개에서도 "샤프전자에서 전자수첩을 드립니다"하는 식으로 증정이 되기도 하였다.
지하철에서 잡상인들이 만원에 팔기도 했는데 전자수첩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상당한 크기와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전자사전처럼 보였으며 잡상인들도 전자사전인 것처럼 착각할 수 있는 멘트로 팔았는데 사전기능은 아예 없고 한글입력이 안되고 영문으로만 입력이 가능해서 그것을 사용하던 사람들은 할 수 없이 영어로 메모나 스케쥴 같은 것을 작성해야했는데 이 과정에서 영어공부가 조금은 되었다(...)
2.2.1. 몰락
휴대폰 보급초기에는 걸고 받는 것이 기능의 전부였기에 전자수첩이 그나마 필요할 수도 있었겠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수첩에서 제공하는 기능들[5]은 대부분 휴대폰으로 이식되었기에 굳이 전자수첩을 새로 살 필요가 없게 되었고 조금 전문적으로 쓰려는 사람들도 PDA쪽으로 가면서 점점 국내에서는 사라져 갔다. 게다가 최근에는 전자수첩의 몇억배 성능과 기능을 자랑하는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면서 완전히 전멸.지금은 옥션, 11번가등의 온라인 오픈마켓에서나 접할 수 있는 수준이다. (다만 오픈마켓에서 판매되는 전자수첩의 99%는 한글지원이 안되는 모델[6]이고 최근에 생산된 모델이 아니라 과거에 생산되었던 재고품들이다. 제품 사용엔 문제가 없으나 딱 봐도 오래 묵혀둔 티가 난다.)
단, 왕년에 유명했던 샤프, 펜맨, 카시오 등의 제품은 단종되어 사용감이 충분히 있고 때가탔거나 작동을 안하는 둥 '골동품임이 딱 티나는 수준'의 상태의 제품들만 간혹 구할 수 있다. 오픈마켓에 올라온 새상품들은 과거의 보급형 전자수첩 제조사의 것이거나 듣보잡 회사가 제조한 것들 뿐이다.
비록 신원미상의 영국인이 만든 사이트라 한글입출력이 되는 제품들은 소개하고 있지 않으나 다양한 전자수첩과 극초기 PDA들의 사진, 내부구조 등을 구경하고 싶다면 여기로 가보자.
2.3. 현대의 비슷한 물건?
2020년대 현재 위 두 장의 사진속 기기와 그나마 유사한 기기[7]를 꼽으라면 없다. 전자수첩이 지원하는 모든 기능들은 다 스마트폰의 앱[8]이나 웹 서비스[9]로 옮겨갔고 그 쪽이 더 가능도 다양하기 때문.다만 전자수첩의 이름에서 따온 전자식 수첩이라는 분류로 들어가면 좀 예기가 다른데 샤프 등지에서 이런 물건을 내놓기도 했다. 말 그대로 '전자적 형태의 수첩(노트)'이다. 쉽게 말해 굿노트나 삼성노트, 원노트 기능만 있는 기계라고 생각하면 된다.
3. 주요제조사
4. 관련 항목
[1] 별도의 저장장치에 데이타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고 RAM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전원이 꺼지면 데이타가 날라가는 전자수첩으로써는 첫번째 사진처럼 전지 수납을 2~3개 하도록 하여서 배터리 하나가 방전되어도 다른 배터리로 전자수첩의 전원을 유지되게 함으로써 데이타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이 백업배터리였다. 이는 몇몇 PDA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보급형 모델에서는 그런것도 없었고 전지의 수명 종료가 되기 전 모든 데이터를 종이에 옮겨 적고 전원이 꺼지면 배터리를 교체한 뒤 종이에 적어 둔 수 많은 데이타를 다시 일일이 입력해야 했다. 다만 위 사진 속 오로라 모델은 배터리 부족 알림 표시기능이 있고 배터리 교체시 5초이내에 전지 교환을 하면 데이타가 유실되지는 않으나 대다수 보급형 제품은 전원이 끊기자 마자 데이타가 유실되었다.[2] 이동 할 때의 시간 때우기 용으로, 오델로, 바둑, 퍼즐 등이 제공되었다.[3] 전화기의 다이얼을 누르지 않아도 수화기의 송화(마이크)부분에 다이얼을 눌렀을 때 나는 음과 동일한 음을 송출하면 다이얼을 누른 것으로 인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자수첩의 주소록에 있는 번호에 해당하는 다이얼음을 내도록 하여 전자수첩의 스피커 부분을 전화기의 송화기 부분에 갖다 대면 전화가 걸리는 기능.[4] 링크의 문서에서 언급되는 내용으로 보아 현지에서는 평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전자수첩으로서의 기능 및 사용법에 문제가 있다는 점이 원인. 다만 전자의 경우 출시 시기상 게임보이 자체의 기술적 한계가 있었음을, 후자의 경우 당시의 어린이들도 닌텐도 말고도 휴대 전화(키즈폰)를 쓰고 있다는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5] 전화번호부, 간이 메모장, 비밀번호 저장, 스케쥴관리, 알람 등[6] 과거에는 디오텍 제품이 있었으나 사라졌고 위 오로라에서 한국판으로 내놓은 KO-8800이 중고가 아닌 제품으로는 유일한 제품이다, 그 외의 전자수첩은 한글은 지원이 안된다.[7] 연락처 저장기능(주소록), 일정 저장기능(스케쥴러), 간단한 메모 기능, 시계 기능, 계산기 기능들만 갖춘 단독형 기기[8] 연락처 앱, 캘린더 앱, 계산기 앱 등[9] 구글 캘린더, 아이클라우드 캘린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