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가정용 게임기 에뮬레이터 목록.☆: 다기종, ★: 사이클 정확성, ▩: 개발 중단(#)
2. 마그나복스 계열
2.1.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
- ODYEMU
2.2. 마그나복스 오디세이² $
3. 아타리 계열
3.1. 아타리 2600 $
- Stella
- 2600.emu: 안드로이드용, iOS용. Stella 3.9 기반이다.
3.2. 아타리 5200 $
- A8E
- Altirra
- Atari++
- Atari800
- Atari800Win PLus: Atari800 기반.
- Rainbow
3.3. 아타리 7800 $
- EMU7800
- ProSystem Emulator
- V7800 - 첫 아타리 7800 에뮬레이터.
3.4. 아타리 재규어
- VirtualJaguar
4. 닌텐도 계열
게임큐브-Wii-Wii U는 구조가 유사하고 출시 시기에 비해 사양이 높지 않아 에뮬레이터가 비교적은 수월하게 제작되었다.4.1. 패밀리컴퓨터 $
- NESticle[1][2]: 90년대 초반에 등장한 극초창기의 콘솔 에뮬레이터이다. 25 MHz라는 요구 사양은 당시로서도 낮은 편이었고, 대부분의 게임을 별 이상없이 플레이할 수 있어 인기를 오랫동안 끌었다. 하지만 자잘한 오류들이 많아 일부 게임에 이상이 생기기도 하고, NESticle을 기반으로 한 홈브루 개발물들이 후에 만들어진 정확한 에뮬레이터로 말썽을 일으키기도 한다.[3] 이후 컴퓨터의 사양이 오르고 호환성이 더 높은 에뮬레이터들이 나오면서 묻혔다.
- FCEUX: 오픈 소스. 가장 대표적인 패미컴/NES 에뮬레이터로, 'FCE Ultra'라는 이름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개발되다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개발이 잠시 중단되었고, 그 동안에 나온 FCE Ultra의 포크들을 전부 끌어모아서 'FCEUX'라는 이름으로 새로 개발을 시작했다. 그리고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 에뮬레이션도 지원한다. Nestopia나 Mesen이 있는 오늘날 기준에서 정확도가 높은 에뮬레이터는 아니지만, 꽤나 빠른 장점 덕에 저사양 모바일 기기에서 쓰기에는 적당한 에뮬레이터이다.
- Nestopia ★▩(2008년, 1.40): 오픈 소스.
- Nestopia UE ★: Nestopia에 이어서 개발하는 기획으로서 실기 구동에 주력을 두고 있으며 카일레라 서버를 지원하여 넷플레이가 유용하다.
- Nintendulator ★: 80%에 가까운 실기 구동을 지원하는 에뮬레이터이다. 0.985 베타 버전을 통해 64비트 버전도 공개했으며, 그래픽 기능은 적지만 Nestopia UE보다 나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FDS 가운데 안 실행되는 게임이 많은 편이다.
- Mesen ★: 2016년도에 나온 저레벨 에뮬레이터. 역대 NES 에뮬레이터들 가운데 많은 기능과 높은 정확성, 구동율을 보여준다고 한다. NES의 스프라이트를 고해상도 텍스처로 교체하는 커스텀 텍스처 기능이며, FDS의 로딩을 빠르게 스킵하는 기능에 넷플레이도 지원된다. 그 동안에 나온 NES 에뮬 가운데 가장 완성도 높은 축에 속한다. 64비트 전용이며, 설정 부분에서도 강력한 기능이 많다.[4] 최신 에뮬레이터답게 정수 스케일도 지원한다.
- VirtuaNES ▩(2007년, 0.97): 한국어로 잘 번역되어 있어서 많이들 사용하는 에뮬레이터. 하지만 구버전이다 보니 다이렉트 드로우를 사용하며, 기능면에서도 부실한 것이 많다. 특히 풀스크린 기능이 정수 스케일이 없어서 불편하다.
- VirtuaNES for 3DS ▩(2017년, 1.02): Snes9x for O3DS의 개발자 bubble2k16이 이식한 3DS 버전.
- RockNES X
- HalfNES: 오픈 소스, 자바 기반.
- Lambnes: 오픈 소스, 자바 기반.
- PocketNES: GBA용. GBA의 화면 해상도의 한계상은 화면이 다소 잘려 나가고,[5] 구겨진다는[6] 한계는 있지만, 빠르고, 호환성도 준수하다.
- nesDS ▩: NDS용. 저급 언어를 무지막지하게 사용해서 만든 에뮬레이터로서 대단한 장인정신의 발로라 할 만하다. NDS의 해상도가 패미컴보다 낮은 점[7]만 빼면 실사용에 이무 지장이 없다.
- nesDS+: nesDS의 개발 중단 후에 등장한 개선판.
- puNES ★: 오픈 소스.
- NesterJ
- higan ☆
- 3DNes: 스프라이트와 배경 화면을 복셀 3D로 재구성하는 특이한 에뮬레이터. 2016년 3월 출시 이후에 화제가 되었다. 아마도 Nesticle 이래로 패미컴 에뮬레이션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끈 에뮬레이터일 것이다. 처음에는 WebGL 기반으로 만들어져 파이어폭스로 구동할 수 있었으나 윈도우 버전이 출시되었고, 그 뒤에 매킨토시, 리눅스 버전이 출시되었다.
- 3sSen VR, 3dSen PC: 지원 게임 목록. "NES" 상표 회피를 위해 이름을 "3dSen"으로 변경하였고, VR 전용인 3dSen VR과 일반 화면용 3dSen PC 두 가지 버전으로 스팀에 출시했다. 2020년 7월 기준은 지원하는 게임은 70개 이상.
- NeMul ▩: 메가 드라이브용(!). 신기하게 보고 넘길 만한 것. 이 구동 영상에는 깜빡임이 많은데, 업로더의 말로는 유튜브 영상이 30 프레임이기 때문에 깜빡임이 원래의 60 프레임 영상보다 적게 느껴지는 것이라고 했다(...).
- 안드로이드용
- Nesoid
- John NES
- Nostalgia NES
- Retro8: SuperRetro16를 개발한 제작자가 만든 것. 52가지 게임 등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 Multiness, Multiness GP: 기존 로컬 네트워크 멀티 플레이는 물론, 나아가 온라인 멀티 플레이까지 지원한다!
- Kachikachi ★: NES클래식 미니, 패미컴 미니, 닌텐도 스위치의 클래식 게임 셀렉션에 사용된, 닌텐도가 직접 개발한 에뮬레이터이다.
4.2. 슈퍼 패미컴
higan을 포함한 bsnes 계열 에뮬레이터와 Snes9x 계열이 잘 알려져 있다. 구조가 복잡하지는 않지만 카트리지 내부의 보조 연산칩을 사용한 게임이 많아 개발에 어려움을 더한다.- ZSNES ▩(2007년, 1.51): 1990년대 중반의 슈퍼 패미컴 에뮬레이션 초창기에 등장한 DOS, 윈도우, 리눅스용 오픈 소스 에뮬레이터. x86 어셈블리어를 사용하여 개발했기에 펜티엄 MMX 급의 CPU에서도 쾌적하게 돌아가는 게 특징이다. 1990년대 당시에는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것이었지만, 많은 버그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이 중단됐기 때문에 이제와서 사용할 이유가 없다. 대표적으로 SA-1의 에뮬레이션이 끔찍한 수준이라, 해당 칩을 사용한 게임(슈퍼 마리오 RPG,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 등)에서 처리량이 많아지면 실기보다 엄청 느려지는 건 물론 툭하면 게임이 멈추거나 버그가 나서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의 마르크 스킵 버그. 많은 스프라이트의 등장으로 인해 연산에 부하가 걸린 것으로 추측되는데, 해당 영상의 실황자가 말하듯 버그가 나기 이전부터 실기에 비해 상당한 렉이 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블리자드의 배틀넷으로 배포하는 락앤롤 레이싱에 1.51 버전이 사용되었다. 또, 다른 슈퍼 패미컴 에뮬레이터에 없는 레이어 기능으로 캡처해서 스프라이트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이 많다.
인터페이스가 꽤나 예쁘장하게 만들어진 덕분에 업데이트가 한참을 끊긴 뒤에 ZSNES를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나무위키에도 '이러이러한 편의기능들 때문에 ZSNES를 고집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식의 주장이 작성되었지만 그런 편의기능은 Snes9x도, higan도, RetroArch도 제공한지 오래다. ZSNES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블친절한) 새로운 에뮬레이터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과정을 못 견디는 것일 뿐. 그런 사람들 때문에 아래의 ZMZ가 만들어졌다. - ZMZ ▩(2013년, 1.08): 인터페이스 때문에 ZSNES를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 때문에 만들어진 포크. 겉보기에는 ZSNES와 똑같이 생겼지만, 실제로는 UI 부분만 남긴 채로 에뮬레이션 백엔드를 Libretro Snes9x로 갈아치운 하이브리드. 기본적으로 (2013년 당시의) 최신 Snes9x 코어를 사용하지만, 사용자가 다른 코어로 교체할 수 있다.
- Snes9x: 오픈 소스이고, MS-DOS[8], 윈도우, macOS용이며, 완성도도 높고, 소스도 공개되어서 비공식적으로 수많은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이식된 플랫폼들 사이에는 다른 PC OS와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폰, Wii, PSP, 3DS, GBA, Supercrd DSTwo[9] 등이 있다. 실기보다는 성능과 좋은 그래픽에 중점을 두어서 비난도 있었지만 업데이트되면서 실기에도 어느 정도로 가깝게 조정되었다. 워낙 성능이 좋고 호환이 좋은 지라 슈퍼 패미컴 에뮬레이터로 가장 많이 추천되고,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있다. 1.6.0 기준으로 미디어 삽입을 위한 MSU-1 연산 칩도 지원한다.(지원 방법: #1, #2)
- PSP 버전은 여러 개의 브랜치로 나뉘어 있고, Snes9x tyl과 Snes9x Euphoria가 속도와 호환성이 가장 우수하다. 다만 슈퍼 마리오 RPG와 같이 강력한 보조 연산칩을 사용하는 게임들은 어느 버전으로도 완벽하게 구동되지 않기도 한다.
- RetroArch를 통해 3DS로 이식된 버전은 N3DS로는 원활히 실행되지만, O3DS는 느려서 구동되지 않는다.
- Snes9x for O3DS호환성 목록. RetroArch 버전과는 달리, 개발자가 3DS만을 위해 1.43 버전을 기반으로 특별히 최적화해서 내놓은 버전. 이름대로 O3DS로 대부분의 게임들이 원활하게 구동되지만, 성능 한계에 따라 강력한 보조 연산칩을 탑재한 일부 게임들은 느리다. 한편 N3DS로 구동하면 RetroArch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실행되며, 요구사양의 끝판왕인 슈퍼 마리오 RPG도 아무 문제 없이 구동할 수 있다.
Snes9x의 코드를 3DS의 환경에 맞게 뜯어 고치는 과정에서 초기에는(특히 사운드가 깨지는 등의) 버그가 많았지만 업데이트를 통하며 안정화되었다. 하드웨어 렌더링을 도입함으로써 모자이크 등 일부 그래픽 효과가 누락된 것을 제외하면 제법 안정된 수준. 개발자 bubble2k16은 Snes9x가 안정화되자 VirtuaNES 또한 3DS로 이식했다. - bsnes
- higan ☆★(슈퍼 패미컴 한정)
- bsnes ★
- mednafen ☆: 멀티 플랫폼, 멀티 시스템 에뮬레이터. SNES 코어는 기본적으로 bsnes를 이용하지만, 'SNES Faust'라는 이름의 실험적인 오리지널 코어도 있다.
- Mesen-S ★: 정확성을 중시하는 패미컴 에뮬레이터. Mesen의 하드포크 버전이다. 개발자는 동일하며 패미컴 버전이 안정화되어서 이제는 슈퍼 패미컴의 정확성에 도전하는 저레벨 에뮬레이터라 할 수 있다. 기본 기능과 인터페이스는 Mesen와 동일하며, 오픈 소스이다. 아직 초기 테스트 버전이므로 버그도 많고 기능이 매우 적었고, 게임 실행률도 떨어졌지만, 0.3.0부터는 특수칩을 지원하고 실행되는 게임이 늘어났으며, 넷플레이 등을 지원하면서 많이 좋아졌다. 한동안은 정식 업데이트가 없었지만 git 허브에서 버그 수정 및 기능 추가와 BS-X 등을 지원하듯이 활발히 개발한다. 실행률과 정확성을 동시에 진행한다. 제작사가 밝힌 포부에서도 higan보다는 낮아도 Snes9x보다는 정확한 에뮬레이터를 목표로 개발한다고 한다. 그래서 higan의 소스를 많이 참고한다고 하지만 higan & bsnes와 동일한 버그가 Mesen-S에서도 나오는 것을 보면 소스를 많이 도용했거나 higan을 포크한 것인가 의심이 들기도 한다. 비록 버그가 많지만 git으로 베타 버전을 꾸준히 업데이트하니 장래가 기대되는 에뮬레이터이다. 물론 없어도 구동할 수는 있지만 실기 중시이기에 실기와 동일한 구동을 바라면 higan처럼 특수 칩 게임은 특수 칩 펌웨어가 필요하다. 코어 기능을 지원하기에 레트로아크에서 정식으로 지원하게 되었다.
- SNEmulDS: NDS용. 호환성이 처참하지만 몇 개가 돌아가니 알아서 사용하자. 특이한 기능으로 HUD sqeezing을 지원하는데, 가로 해상도가 같고 NDS의 세로 해상도가 슈퍼 패미컴보다 낮으므로 화면 안으로 들어오도록 HUD의 위치를 조정해주는 것. HUD를 제외한 그래픽은 조금 잘려도 대부분 지장이 없으므로 화면을 찌그러뜨리지 않고 슈퍼 패미컴 게임을 할 수 있다.
- lolSnes: NDS용. SNEmulDS의 개발이 중단된 이후로 새롭게 개발된 에뮬레이터. 최신 버전 SNEmulDS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아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개발은 이미 종료되었으며, 호환성은 나쁘다. 개발자 Staplebutter는 그 뒤에 3DS용 SNES 에뮬레이터인 BlargSNES, NDS 에뮬레이터인 melonDS를 제작했다.
- CATSFC: Snes9x 1.43 기반의 NDS Supercard DSTWO용 에뮬레이터. RetroArch에 "Snes9x 2005"라는 이름으로 포함되어 있어 3DS나 Vita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 Snes8x: Snes9x의 윈도우폰 8용. 순정으로 구동할 수 있다.
- BlargSNES: lolSnes의 개발자 Staplebutter가 제작한 3DS용 에뮬레이터. 상태 세이브를 지원하지 않고, 대부분의 보조 연산칩을 지원하지 않지만, 연산칩을 사용하지 않는 게임들은 호환성이 좋다. Staplebutter는 2017년 현재 NDS 에뮬레이터 melonDS를 개발하고 있다.
- 안드로이드용
- SNesoid: 호환성이 나쁘다.
- Snes9x EX/Snes9x EX+: iOS도 지원. 각각 Snes9x 1.43, 안드로이드는 1.60 기반. 공짜이면서 안정적이고, 속도도 빠르며, 무엇보다 기존 윈도우용 Snes9x의 세이브 파일과 호환된다. 이것만 설치해도 굳이 다른 제작자가 만든 유료 버전 것을 설치할 이유가 없을 정도이다.
- SuperRetro16: 유료이지만 괜찮은 성능과 간편한 인터페이스와 한국어가 있다. 그러나 공짜인 Snes9x EX+와 달리 사운드 버그가 있으며, 제작자가 언제는 신버전에서 구버전을 구입하던 사용자에게 재구입을 요구하는 추가 결재 방식으로 바꿔서 욕을 먹고 있다. FX 그래픽 설정에 버그가 있어서 들어가면 튕겨난다.
- MultiSneS16: 기존 로컬 네트워크 멀티 플레이는 물론, 나아가 온라인 멀티 플레이까지 지원한다!
- canoe: 닌텐도의 자회사인 NERD가 직접 개발하여 슈퍼 패미컴 미니, Switch용 클래식 게임 서비스에 탑재한 에뮬레이터로, 상태 저장과 최대 50초 정도의 되감기 기능을 지원한다. 철저히 슈퍼 패미컴 미니/SNES 미니에 수록된 게임을 문제없이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했기 때문에 호환성이 좋은 편은 아니었으나, 이후 닌텐도 스위치용 클래식 게임 서비스에 다시금 채용된 이후 호환되는 게임이 많이 늘어났다.
4.3. 닌텐도 64
- RMG: mupen64plus 기반.
- UltraHLE ▩: 하이 레벨 에뮬레이션 기능을 처음으로 제시한 에뮬레이터. 1999년 1월 28일에 출시되었다. 5세대 이후의 콘솔 게임들은 기본적으로 고급 언어를 시용하는 점을 이용해 CPU 명령어 수준이 아닌 소스 코드 수준으로의 에뮬레이션을 제공한다. 최소 사양이 2020년 시점에선 거의 태고적 유물이 되어버린 하드웨어인 300 MHz의 CPU와 Voodoo 시리즈 3D 가속 카드를 요구한다. 호환성은 낮지만 이 에뮬레이터로도 메이저 타이틀인 마리오 64, 마리오 카트, 둠 64, 젤다의 전설 같은 게임들을 당대에 무리 없이 플레이할 수 있었다. 아래의 다양한 에뮬레이터들이 공개된 시점에선 구식 하드웨어를 장착한 레트로 컴퓨터에서 구동 목적이 아니면 업데이트가 중단된 에뮬레이터이기 때문에 사용할 필요가 전혀 없다.
- Project64: 아직도 개발되는 N64 에뮬레이터. 상당히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N64 에뮬레이션을 진작부터 구현하는 데에 큰 역할을 맡았지만, 에뮬레이션의 정확성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 2010년대 이후로는 정확도가 매우 낮은 에뮬레이터라며 까이고 있다. 버전 2.0부터 공식 설치파일에 별다른 경고없이 애드웨어를 포함한 행위로 큰 비난을 받았지만(무설치 압축 파일엔 없었음), 수많은 논란 끝에 해당 업데이트로부터 3년이나 지난 2016년 7월에 애드웨어를 다시 제거했다. 2.3.2 버전 이후로 정식 버전의 업데이트가 없는 듯하지만 개발자 버전으로는 열심히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다.
버전별로 개발방향을 정하였는데, 2.4.0은 하이 레벨 에뮬의 특징인 더 높은 FPS으로 게임 실행하는 것, 2.5.0은 정확도를 중심으로 개발 계획하는 버전, 2.6.0은 64비트 버전으로 컨버팅하는 버전이다. 특히 64비트 버전은 비공개로 따로 개발하고 있는데, 그러기에 안전성이 낮은 편이며,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가 제대로 안 실행되는 문제가 있다.
게임하다가 추가 메모리를 요구하는 게임(젤다의 전설 뮤주라의 가면 등)은 따로 설정해야 되는데, 게임을 실행하고 옵션에 가면 추가 설정이 있다. 그곳에서 4 MB를 8 MB로 수정하면 게임이 된다.
2.x 버전은 후원을 하지 않으면 30초를 기다렸다가 시작을 할 수 있게 만들었지만, 보안이 아주아주 허술해서 이 방법이면 다 뚫린다(...).[10] - simple64: Mupen64Plus 기반. 요구 사항이 높다.
- Nemu64: 글라이드 위주로 지원하던 UltraHLE 시절에 다이렉트X 기반으로 나와 있던 에뮬레이터이다. 비록 UltraHLE에 비해 사항은 탔지만 그나마 글라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 1964
- Mupen64 ▩(2005년): Mupen64Plus에서 개발을 이어받아 현재도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Project64와 함께 매우 안정적이고, 널리 쓰이는 에뮬레이터. 다만 PJ64과 이쪽 모두 호환성이 완벽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양 쪽을 모두 써야 하는 경우가 많다. 안드로이드, Wii 같은 다른 OS로도 이식되었지만 호환성은 더 나쁘다.
- Mupen64-RR-Repack: 슈퍼 마리오 64 TAS 제작자들이 Mupen64를 TAS 전용이다시피 할 정도로 개조한 에뮬레이터. 강력한 무비 녹화 기능과 Lua 스크립팅을 제공한다. 설정에 '평행우주 튕김을 에뮬레이트하기'와 'Wii VC의 부동소수점 오류를 에뮬레이트하기'(...)가 있을 정도로 슈퍼 마리오 64에 진심이지만 다른 게임들도 구동과 TAS 제작은 된다.
- SixtyForce: macOS용 상용 에뮬레이터이다. 무료 버전이 있지만 기간이 지나면 상단에 개발팀의 로고가 뜨고 일부 설정이 비활성화된다.
- CEN64 ★: (공식 홈페이지)N64 에뮬레이션이 같은 세대의 기기인 플레이스테이션은 고사하고 돌핀의 게임큐브, Wii 에뮬레이션보다도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2012년에 개발을 시작한 에뮬레이터이다. 멀티코어 연산을 지원하는 등 최신 컴퓨터의 성능을 다방면으로 이용해 정확한 에뮬레이션을 구현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2017년 현재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래도 이런 계열의 에뮬레이터가 으레 그렇듯 요구 사양이 꽤 높기 때문에[11] 실제로 사용하기는 아직 힘겹다. GUI가 아니므로 사용 방법은 여기를 확인하길 바람.
- 안드로이드용
- Mupen64+AE FREE, Mupen64Plus AE: Mupen64Plus 기반. gles2n64(GLN64 v0.4.1 기반), gles2rice(Rice Video v6.1.0(b) 기반), gles2glide64(Glide64 Final 기반)의 세 비디오 플러그인을 제공한다.
- Mupen64Plus FZ Edition: Mupen64Plus 기반. Glide64 Final, GLideN64 베타, GLN64 v0.4.1, Rife Video v6.1.0(b)의 이식버전을 제공한다. N64oid, Mupen64+AE[12]와는 달리 터치스크린 컨트롤러 레이아웃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4.4. 게임큐브, Wii
- Dolphin ★: 처음에는 게임큐브용 에뮬이었으나 Wii 에뮬레이트도 지원하면서[13] 오픈 소스로 전환되었다. 모든 종류의 게임기 에뮬레이터 사이에서 가장 먼저 DirectX 12 렌더링을 지원하는 등 최신 기술을 매우 발빠르게 적용하며, 이를 통해 에뮬레이션의 정확성을 추구하며, 작동하는 게임의 수를 꾸준히 늘린다. 현재는 x86-64, ARM64 등 64비트 전용 에뮬레이터다. 닌텐도의 모든 에뮬레이터하고 비교해 탑급이래도 과언이 아니다.
- hagi ★: 닌텐도 유럽에서 직접 개발한 슈퍼 마리오 3D 컬렉션 전용 에뮬레이터. 기본적인 에뮬레이터가 아닌 스위치의 CPU 클럭에 맞출 뿐만 아니라 각종 최적화도 이루어졌다.
4.5. Wii U
- Cemu: 불안정하지만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여러 면에서 크게 발전하여 개발은 어느 정도 성공적이다. Wii와 아키텍처가 비슷해서 구현할 수 있었다고 한다.
4.6. Nintendo Switch
2023년 기준으로 스위치 에뮬레이터는 자잘한 렌더링 오류를 감내하면 사실상 완전한 플레이 경험이 가능한 수준으로 올라왔으며, 특히 yuzu는 컴퓨터 사양만 충분하면 스위치 실기보다 우수한 해상도와 프레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2024년 3월 5일 닌텐도의 소송으로 yuzu의 배포가 중단되었고, 2024년 10월 2일에는 닌텐도의 요청으로 인하여 Ryujinx의 배포 역시 중단되었다.
Skyline emulator→ strato (Android)
yuzu 사태 이후 개발이 중단되고 strato 라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 Egg NS (Android): yuzu의 해적판 이식. 관련 기사[14]
DamonPS2와 비슷한 사례다. Egg NS는 계정 등록을 요구하며, 월 4달러를 결제하거나 인터넷에 필수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Gamesir X2 컨트롤러를 사용해야 터치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다.[15]
Gamesir X2는 Egg NS의 공개 당시는 사전 예약 중이었으며, 100달러로 높았지만 출시 후 인터넷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그런 우수한 제품의 제조사가 이런 떳떳치 못한 일에 연루되었다는 사실에 실망하는 반응이 많았다. 한편으로 어차피 우수한 제품이라는 사실을 알고 기꺼이 Gamesir X2를 구입해 Egg NS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은 상황이다.
5. 세가 계열
5.1. SG-1000 $
- FB Alpha ☆▩(2018년, 0.2.97.43): 아케이드 기판 에뮬레이터 문단 참고.
- blueMSX ☆
- MSX.emu ☆
- Kega Fusion ☆
- Gearsystem ☆
5.2. 마스터 시스템 $
- FB Alpha ☆▩(2018년, 0.2.97.43): 아케이드 기판 에뮬레이터 문단 참고.
- Kega Fusion ☆
- SMS Plus GX ☆
- Gearsystem ☆
- 안드로이드용
- Gearoid ☆
- MasterEmu ☆
- Nostalgia GG ☆
5.3. 메가 드라이브
이전에는 Genecyst와 KGen 계열이 많이 쓰였다. 요즘은 Gens나 Kega Fusion 등이 많이 쓰인다.- FB Alpha ☆▩(2018년, 0.2.97.43): 아케이드 기판 에뮬레이터 문단 참고.
- Genecyst: MS-DOS용. 바로 아래에 있는 KGen 계열처럼 문구점 등에서 이 에뮬레이터와 함께 각종 메가 드라이브 롬이 포함된 게임 CD로 팔리곤 했다.
- KGen, KGen98: MS-DOS 시절에 Genecyst와 쌍벽을 이룬 메가 드라이브 에뮬. 나중에 Kega Fusion으로 이어졌다. 국내에는 옛날에 KGen98과 롬 파일이 담긴 CD가 'PC 게임방'이란 이름으로 팔린 적이 있다.
- Kega Fusion ☆▩(2010년, 3.64): 메가 드라이브 에뮬 가운데 기능이 가장 많은 에뮬레이터. 대부분의 메가타워급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게임들을 돌릴 수 있다. 32x는 물론이고 메가 CD, 게임 기어, 세가 마스터도 된다.
- Genesis Plus: 멀티플랫폼용.
- Genesis Plus GX ☆: Genesis Plus 1.2a 기반.
- Gens ▩(2006년, 2.14): 오픈 소스. Kmod 레이어를 켜고 끌 수 있는 버전도 있다. 완성도면에서는 구버전이다 보니 Kega Fusion보다 기능이 적은 편이다. 실행률과 기능은 Kega Fusion급이며, Kega Fusion에서 안 돌아가는 메가 CD는 이곳에서 구동되기도 한다.
- Gensoid: 안드로이드용.
- MD.emu ☆: 안드로이드용, iOS용. 세가 마스터 시스템, 메가 드라이브, 메가 CD를 지원. Genesis Plus/Gens/PicoDrive/Mednafen의 부분 기반.
- JenesisDS: NDS용. NDS치고는 잘 돌아간다. 그 뒤에 개발자 Lordus가 DraStic에 참여하면서 같은 개발자의 에뮬레이터 두 개가 겹쳐서 돌아가는 기행을 볼 수 있게 되었다.
- Exodus ★▩(2018년, 2.1): 저레벨 멀티스레드 지원 정확도 중심의 에뮬레이터이다. XML 모듈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메가 드라이브 롬만 지원하고 32X와 메가 CD를 지원하지 않으며, 몇몇 게임은 실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가 XML을 불러오고 저장하는 방식이다 보니 사용하는 평소 소프트웨어와 다르게 사용자가 환경 설정하고 직접 저장해줘야 된다. 그래픽 설정도 블러 효과 정도만 있고, 대부분의 셋팅이 매우 심플하며, 주로 디버그 기능 위주의 기능이 많다. 그나마 64비트 소프트웨어여서 위안이 될 수 있다. 2020년 깃허브에 오픈 소스로 공개되었지만 관심을 못 받는지 사실상으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PicoDrive ☆: 윈도우 기본 버전은 정말로 사용할 게 못 되고, 레트로 아크에서 코어로 사용하면 굉장히 쓸 만해진다. PSP와 PS2 버전도 나름은 쓸 만하다.
5.4. 피코
- PicoDrive ☆
- Genesis Plus GX ☆
5.5. 세가 새턴
SSF와 Yabause 계열이 잘 알려져 있다. 구조가 복잡해 에뮬레이터 개발이 늦어진 편이다.- Girigiri Project: 2001년부터 개발된 첫 번째 세가 새턴 에뮬레이터. Windows 98로 구동되나 세가에서 개발자를 고용하면서 공식 개발이 중단됐다.
- SSF ☆★: 세가 새턴 에뮬레이터 가운데 가장 안정적인 구동력을 보여주면서 호환 기판인 ST-V도 지원하는 에뮬레이터. 성능적으로는 현재 나와 있는 새턴 에뮬레이터 중에 최상급이나, 별도의 가상 이미지 프로그램을 굴려야 하는 것을 비롯해 불편한 인터페이스가 단점. 널리 퍼졌던 버전인 0.12에서, Windows 8.1상에서 구동은 되나 키 입력이 안 되는 문제가 있어 유저들의 속을 썩였던 적이 있다. DirectInput 관련 문제였던 모양인데, 이는 차후의 업데이트로 해결되었다. 프리뷰 R13부터는 가상 이미지를 자체적으로 지원하게 되어 더 이상 가상 이미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Xinput도 지원한다. 최근에는 안드로이드나 라즈베리 파이 버전 등 윈도우 밖의 타 플랫폼용 버전도 조금씩 개발이 진행되는 듯.
이 에뮬레이터의 가장 큰 특징은 실기의 완전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는 것. 즉, 최대한 새턴의 있는 그대로를 구현하는 것인데, 이 때문에 그래픽 보정이나 성능 향상 같은 것을 추구하지 않는지라 그야말로 새턴 실기의 바로 그 그래픽으로만 게임을 돌릴 수 있다. 그나마 배려로 들어간 것은 흐림 보정과 와이드 스크린 설정 정도. 바이오스 없이도 구동할 수는 있지만 바이오스를 사용하면 말그대로 새턴 자체를 돌리는 듯한 바이오스 중심 구동이 된다. 개발자는 개발 초기부터 그래픽 향상보다 에뮬레이션의 정확성을 모토로 하여 개발하고 있다고 밝혀왔기에, 앞으로도 그래픽이나 퍼포먼스의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봐야 하겠으나, 실기를 있는 그대로 재현한다는 근본적인 의미에는 가장 부합하는 새턴 에뮬레이터라고 할 수 있다.
실행 시에 주의할 부분이 몇 가지 있다. 우선 CD 이미지를 사용할 때에는 이미지를 로드하고 실제 기기를 사용하는 것처럼 옵션에서 CD 트레이 닫기를 해야 게임이 구동되며, 이미지 교체할 때는 역시 CD 트레이를 오픈해야 한다. 가끔씩 이미지를 넣었는데도 새턴 CD가 아니라며 안 인식되기도 하는데, 이때는 에뮬을 다시 실행하면 인식된다. 또한 주의할 것은 게임 설정이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것. 게임하다가 설정을 바꾸면 전체 게임에 설정이 일괄적으로 안 바뀌고 실행된 해당 게임만 설정이 바뀐다. 게임마다 설정을 각각 다르게 할 수 있어 편리하기도 하지만 좀 귀찮기도 한 부분. 게임 설정 파일을 지우면 모든 게임의 설정이 리셋된다. 실행 시에 프레임이 부드럽지 않으면 설정을 변경하여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데, Program1의 설정을 DSP Thread, DSP Thread Always Runnin을 켜 주고, Program2에서 SlaveSH2를 100%로, 4코어 이상이면 VDP1, 2 Draw Thread를, VDP1은 3, VDP2는 11로 지정하면 웬만한 게임은 부드럽게 돌아간다.
특정 버전에 따른 버그가 있다. 처리 지연으로 딜레이가 생기거나, 그래픽 표시를 수정하기 위해 VDP1 처리를 손댔는데 오히려 그래픽이 깨지거나 처리 지연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특히 R17 버전이 문제가 많았다. R18 테스트 버전에서는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 개발자의 말로는 새턴의 구조가 워낙 복잡하다 보니 가끔 문제가 생긴다고 한다. R18 테스트 버전에서는 그란디아에 이동맵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등의 버그 등이 있다. R19 프리뷰 버전에서는 화면이 깨지는 등 더 심각한 버그가 발생하고 있다.
이전에는 개인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그곳에서 새 버전의 배포와 각종 게임의 설정법 등을 공유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운영이 귀찮아졌는지 사이트를 닫아 버리고 SSF의 정보는 개발자 개인 트위터에서 공유하고 있다. 여담이지만 개발자 본인이 꽤 국수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 개인 트위터에도 SSF의 개발 이야기 이외에 일본의 보수 세력을 지지하는 내용의 트윗이나 RT를 종종 하는 바람에, 사람에 따라선 SSF 정보 얻으러 들어갔다가 기분을 잡치기도 하는 듯. 판단은 각자 알아서 하자.
- Yabause: 인터페이스가 확실히 직관적이고 쉬운데, 게임 구동, 특히 소리의 안정성이 좀 낮다. ISO 및 큐시트 바이너리만 자체적으로 이미지 파일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그 밖의 이미지는 가상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통해 마운트하고 구동시킬 수 있다. 0.9.15 버전부터 x86-64 CPU, 곧 64비트 전용 에뮬레이터로 나온다.
- Mednafen ☆: 세가 새턴은 x86-64 CPU, 곧 64비트 전용이다. 다만 안드로이드 한정으로 32비트 범용이다. 그래픽 표현이나 정확성에서는 SSF 못지 않은 완성도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 구동되지 않는 게임들도 많고 동영상이 느리게 재생되는 버그 등이 많다.
- Yaba Sanshiro 2: 2015년 7월에 플레이 스토어에서 등장한 안드로이드용 에뮬레이터로, 그 전까지의 에뮬들보다 놀라울 정도로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유하면 답답한 nds4droid, Dsoid만 있었는데 갑자기 DraStic이 강림한 것처럼. 옛 이름은 'uoYabause'로, 이름 문제인지 한 때 플레이 스토어에서 퇴출되기도 했으나 2017년 9월 7일에 'Yaba Sanshiro'라는 이름으로 다시 플레이 스토어에 등록되었다. 2020년 10월 치트 기능으로 인한 규약 위반으로 다시 퇴출. Yaba Sanshiro 2로 다시 등장. 윈도우 버전도 존재한다. 윈도우 버전과 안드로이드 버전과 차이가 있는데, 둘 다 같은 소스이기에 게임은 동일하게 실행되지만, 최적화나 안전성은 윈도우 버전이 좋다. 윈도우나 안드로이드 공통적으로 가상 이미지인 img 파일을 제대로 읽지 못해 게임이 안 되는 것이 있으며, iso에 mp3 또는 wave 파일로 cue된 것에서 배경 사운드가 안 나오는 일이 있다. 이 경우 해결법은 bin 파일로 변환한 이후 chd 파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윈도우의 경우 안드로이드 버전과 다르게 SH-2 CPU쪽이 느린 속도의 인터프리터로 되어 있다. 이것을 리컴파일러로 바꾸면 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게임 자체 해상도를 올렸는데 느려지는 게임이 있으면 리컴파일러로 바꾸면 빨라진다. 그러나, 특정 게임에서는 인터프린터로 실행되는 게임도 있으니 만약 게임이 실행이 안 되면 인터프린터로 바꿔보자. 참고로 RGB 리사이즈를 조정하면 게임 속도에 영향이 미칠 수 있기에 오리지날 또는 2x로 설정하는 편을 권한다. 윈도우는 사운드 타임 설정을 CPU으로 바꾸어야 게임 중 사운드 반복 다운 버그가 사라진다. 2.12부터는 상당히 많은 버그가 수정되었다. 차기 버전인 3.0도 나왔는데 그동안 Kronos에 비해 QT API가 구형인 단점이 해결된 버전이다. 3.1.1버전부터 QT API에 사용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해서 용량을 절반이상 줄였으나 버그도 많아졌는데 그래픽 표기 버그부터 게임이 멈추는 버그까지 등장했다. 결국 3.1.3버전에서 3.1.0으로 롤백하면서 버그는 해결되었다. 3.2.0 베타 버전에서는 그간 그래픽 오류 문제를 메모리 부분에서 해결법을 찾고 개선한 버전을 내놨는데, 그래도 모를 버그를 확인하고자 베타 버전으로 공개했다. 최신 버전은 3.4.2이다. 안드로이드 버전은 2라는 버전으로 바꾸어서 1400원으로 다시 판매했다. 이전 프로 버전은 치트 기능 문제로 개발자 배포계약 4.8,4.9에 위배된다고 해서 구글스토어에서 삭제되어 버린 덕분에 어쩔 수 없이 치트 버전을 삭제한 버전을 다시 재 등록했으며 기존 구입자도 다시 재구매하게 되었다. 이런 부득의한 문제로 인한 것이라서 가격을 내리고 다시 재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 이후로 안드로이드와 PC 버전의 업데이트 속도가 확 줄었다. 안드로이드 10에 맞추어 폴더 구조가 바뀌어서 셀럭트 게임 디렉토리에 나오는 폴더 위치로 게임 이미지를 넣고 리플레쉬 게임하면 이미지를 자동등록 및 게임 커버 이미지도 등록한다. 현재는 개발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는 듯하지만 불칸을 지원하는 등 정보를 간간히 알려주었고 2021.3.28에 드디어 윈도우 버전이 업데이트를 하였다. 가장 큰 업데이트로 불칸을 지원하는 것이었는데 막상 불칸 선택하면... 강제 종료된다. 안드로이드는 되긴 하는데 로딩이 길다.(...)
- Kronos: 뒤늦게 나온 에뮬레이터로, ST-V도 지원한다. Yaba Sanshiro의 0.58 버전의 포크 버전. 단품은 PC만 지원하며, retroarch 포팅 버전은 다른 플랫폼도 준비 중이라고 하며, CHD 이미지도 준비 중이라 한다. Yaba Sanshiro보다는 Yabause에 가까우며, 64비트 버전도 지원한다. 특히 Yaba Sanshiro와 다르게 QT API도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고 OpenGL도 4.x까지 지원하는 등으로 내부적으로도 높은 업데이트가 된 기본이 잘된 에뮬레이터로 보이지만, 그래픽 설정이 부실하며, Yaba Sanshiro보다 고해상도에서 깔끔하지 못한 그래픽과 그래픽 버그가 많은 편이다. 오죽하면 Yabause보다 그래픽 버그가 더 많으며, 특히 3D는 깨짐이 은근히 많은 편이며, 폴리곤이 정확하지가 않다. 무엇보다 CPU&GPU 테셀레이션을 사용하면 더 정확하지 않은 그래픽이 나오는 게 단점이다. 그래픽보다는 게임 구동쪽에 더 많이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2D 기능은 xBRZ기능도 지원해서 깔끔한 그래픽을 볼 수 있지만, 요즘 대세가 2D에 경우 그래픽 보정보다 원본을 그대로 표현하는 정수 스케일이 대세로 가고 있다 보니... 거기에 Yaba Sanshiro 등의 시스템 & 백업 메모리 파일과 호환이 안 되는 단점이 있어서 Yaba Sanshiro에서 세이브 파일을 많이 저장했으면 Kronos로 이전할 수 없다. 즉, 게임 세이브 파일을 이전할 수 없다. 그리고 Yaba Sanshiro보다 구동성이나 안전성이 낮은 편이다.[16] 최신 버전은 2.1.5이다.
5.6. 드림캐스트
Chankast→nullDC 순으로 넘어갔으나 지금은 Demul, Flycast, redream이 현역이다.- Demul ▩(2018년, 0.7 빌드 280418): 윈도우용.[17]
- Chankast ▩(2004년, 0.25): 본격적인 드림캐스트 에뮬레이션의 시대를 열어제꼈지만 nullDC의 입지에서 밀리면서 사실상 중단.
- nullDC ▩(2011년, 1.0.4 r136): 오픈 소스. 에뮬레이션의 완성도 자체는 처음 나온 때와 크게 달라진 게 없다. 나오미 지원 버전도 나왔지만 구동이 demul보다 엄청 까다롭기 때문에 쓰는 이는 몇 없다.[18] 2020년 시점 개발 중단이라 봐도 무방한 상황이며 버전에 따라서 아예 실행조차 안되지만 오픈 소스라는 점과 그나마 나은 디버깅기능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쓰는 사람이 없지는 않다. 이전에는 파이트케이드의 에뮬레이터로 쓰였으나, 지금은 Flycast에 완전히 자리를 내줬다.
- Makaron: 타 에뮬레이터에서는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WinCE 기반의 게임이 잘 구동된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다른 에뮬레이터들과는 달리 설치식이고, 앞 버전을 제대로 언인스톨하지 않고 덮어씌우면 게임을 구동할 수 없게 되는 등으로 이래저래 까탈스럽고, Demul과 Flycast가 WinCE를 완벽 지원하면서 묻혔다..
- Reicast → Flycast: (윈도우, 안드로이드, OS X, 우분투) 안드로이드 버전치고는 매우 잘 돌아가는 편으로, 듀얼 코어 정도의 기기로도 60 프레임을 뽑는 놀라움을 보인다. 롤리팝 이후 버전은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지만 개발자 SNS에 롤리팝 유저를 위해 디버그 버전을 업로드해 두었는데, 일부 기기로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v7 버전을 설치하면 불안정하지만 구동되긴 한다. 소닉 어드벤처는 잘 돌아가지만, 소닉 어드벤처 2는 비정상적으로 빠른 속도 때문에 플레이가 불가능. retroarch용 변종 코어인 Flycast가 NAOMI(GD-ROM도 지원), 아토미스웨이브에 WinCE[19]까지 지원해서 이쪽 범용성이 더 높다. Flycast도 현재 스탠드얼론으로 이식되었다. 윈도우용은 파이트케이드의 드림캐스트, 나오미, 아토미스웨이브용 에뮬레이터로 쓰이고 있다. CHD파일을 지원한다.
- redream(홈페이지, GitLab#): GPL3으로 라이선스된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시작했으나 2018년 1월자로 클로즈드 소스로 전환했다.[20] 가격은 5달러이며, 고해상도 렌더링을 지원하지 않는 버전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오픈 소스 시절의 소스 코드와 바이너리는 GitHub#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Libretro 코어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RetroArch를 통해 이용할 수도 있다. 2019년 6월은 안드로이드 버전도 구글 플레이에 올라왔다.
6. SCE/SIE 계열(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6.1. 플레이스테이션
(윈도우용으로는) 옛날에는 PSEmu Pro, bleem!, VGS 혹은 변종 에뮬레이터가 주로 쓰였다. 이후에는 ePSXe가 쓰이다가 요즘에는 PCSX 계열이 많이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DuckStation이라는 에뮬레이터가 떠오르고 있다.- DuckStation: Stanzek이 2020년 공개한 에뮬레이터.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으며 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Libretro[21]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한다. Dolphin을 본뜬 Qt 기반의 깔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프론트엔드가 없는 버전으로도 배포된다. OpenGL, Vulkan, DX11, DX12와 소프트웨어 렌더러를 제공하며 고해상도 렌더링이나 PGXP, 텍스쳐 셰이더 등 다양한 그래픽 강화 기능을 제공한다. bin/cue, bin, img, chd, mds/mdf, 그리고 pbp 형식의 롬을 지원한다. 2022년 7월 업데이트로 PCSX2 QT와 인터페이스와 아이콘이 매우 유사해졌다.
지원하는 플랫폼부터 지원하는 롬 형식, 다양한 부가 기능들과 깔끔한 인터페이스까지 두루 갖춘 덕분에 순식간에 인기 에뮬레이터로 등극했다. 그런데 그렇게 활발하게 업데이트하던 에뮬레이터가 업데이트 자체가 뜸해져서 중단 루머가 돌았지만 이후 다시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다. PCSX2에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는 듯하며 1.7.0에서 힘들 거라 예측되었던 Vulkan을 지원하게 해주었고 DX12에도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추후 PCSX2에 플스1 게임 지원에 기여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결국 두 에뮬레이터의 UI가 매우 유사하게 디자인이 되어 버렸으며 아이콘도 거의 같은 것을 사용하게 되었다. - DuckStation-Qt 한글 패치: Hack茶ん이 작업하여 100% 한글화가 되었다. 한국 시간 2023년 8월 19일 저녁에 공개한 프리뷰 버전(0.1-5648-g78900511)부터 이용할 수 있다.
- PSEmu Pro: 초창기에 등장한 PS 에뮬레이터로, 이후에 ePSXe나 SSSPSX, FPse 같은 에뮬레이터의 기반이 되었다.
- bleem!: 이쪽은 콘솔용 에뮬레이터로 상당히 유명했다. 소니의 소송으로 몰락하기 전까지는.
- ePSXe: 내장 그래픽 플러그인의 문제로 해상도가 원본에 맞춰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와이드 화면에서는 특정 게임은 와이드로 강제로 늘려서 사용된다. 이것은 PCSXR도 마찬가지. 소프트웨어 모드에서는 4:3 비율로 조정할 수 있다. 윈도우의 배율 및 레이아웃 설정에 영향을 받다 보니 이 부분이 100% 이상 설정되어 있으면 전체화면 때 화면 배율이 안 맞는 문제가 생긴다. 100%로 설정하면 해결된다.
- ePSXe for Android: 안드로이드용 2.0.5로 개발이 거의 중단된 PC 버전과 달리 이쪽은 열심히 업데이트하고, 메일 피드백도 잘 받아 준다. 실질적으로 이쪽이 주력이다.
- SSSPSX: 현재 플스 에뮬에 기반이 된 에뮬레이터. PSEmu Pro가 기본 틀을 만들었다면 플러그인 구성과 화면 구성은 SSSPSX에서 완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 VGS
- PCSX: PCSX2의 초창기 개발진들의 전작. 개발진이 PCSX2로 이동하면서 PCSX는 업데이트가 종료되었다. 그랬어도 소스가 공개된 덕분에 다른 개발자에게서 개발이 계속 진행된다. ePSXe와 플러그인이 호환되고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지만 플러그인들이 구 버전에 개발이 중지된 거라 버그도 많은 편이며, 특히 패드 부분은 최신 기능을 업데이트하지 않아 진동 및 호환성 등이 문제가 있다. 이것은 외부 플러그인을 사용해도 마찬가지이다.
- PCSX-Reloaded: PCSX는 오픈 소스인 덕분에 다른 팀에서 개발을 재개해서 'PCSX-Reloaded'라는 이름으로 내놓았다.
- PCSXR-PGXP: Parallel eXtended Graphics Pipeline 기능을 추가한 포크. 본래 PS1은 보조 연산칩의 부동소수 연산 미지원과 z-buffer의 미지원으로 인해 폴리곤이 떨리거나 텍스처가 일그러지는 부작용이 있었는데, PGXP는 해당 기능들을 핵으로 구현해 낸다. 문제는 PGXP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그래픽 플러그인은 클로즈드 소스고, 원 개발자는 이미 오래 전에 인터넷에서 사라졌다는 것. 때문에 PGXP 기능으로 인하는 그래픽 버그가 보고되고 있음에도 개발자는 여기에 손을 쓰지 못한다. PGXP 기능을 바라면 Duckstation이나, Libretro의 Beetle PSX HW 코어가 좋은 선택이다.
- PCSX-ReARMed: 이름 그대로 ARMv7[22] 프로세서에 최적화된 브랜치. ARMv7용 JIT 리컴파일러가 높은 속도를 제공하면서도, 정확성이 비교적 우수해 New 3DS, PS Vita, Raspberry Pi와 같은 저사양 기기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장점 덕분인지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에도 채택되었다.
- PCSX-Redux: PCSX-Reloaded에서 포크된 에뮬레이터이다. 정체된 PCSX-PGXP 이후로 새롭게 포크되어 개발되는 버전이다. 기존 플러그인 구조에서 벗어나 다른 에뮬레이터들처럼 기본 내장으로 개발한다. 인터페이스도 전체 화면 메뉴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옵션도 간소화되어서 간편해졌다. 리눅스 버전도 있다. 2020년 코로나 여파로 개발이 잠시 중지되었다가 2021년부터 활발하게 개발을 진행한다. 현재는 x64 버전도 공개될 정도로 좋지만 아직도 불안정한 그래픽과 사운드 부분의 노이즈 UI 부분의 미완성 및 너무나도 부족한 그래픽 옵션 등 아직도 갈 길이 너무 먼 에뮬레이터이다.
- Avocado: 새롭게 등장한 에뮬레이터이다. 안드로이드 중심으로 개발하다 보니 인터페이스가 윈도우 방식이 아닌 터치 형태로 되어 있다.
- PSXjin
- PSX emulator ▩: 개발이 중단됐지만 실행률이 의외로 높으며, 인터페이스와 플러그인 구조가 나중에 개발이 시작된 PCSX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 mednafen: mednafen의 오리지널 코어. 정확성이 특히 우수한 에뮬레이터들 가운데 하나.
- Beetle PSX, Beetle PSX HW ☆: mednafen의 오리지널 코어들을 libretro로 이식하며 'Beetle'로 이름을 바꾸었다. Beetle PSX는 원본에 충실한 편이지만, Beetle PSX HW는 하드웨어 가속, 안티 에일리어싱, PGXP 등등 정확성을 깎아먹는 부가 기능들을 많이 채워넣었다. 2020년 현재 부가 기능이 가장 빵빵한 PS1 에뮬레이터지만, 요구 사양이 매우 높아 저성능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하기는 어렵다.
- Xebra ★: 일본에서 만들어진 에뮬레이터. 실기 중심의 정확성을 목표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바이오스를 지원하지 않는 에뮬레이터이다. 그래서 바이오스를 활용하는 메모리 카드 관리가 안 되기에 메모리 카드 전용 프로그램도 같이 내장되어 있다. 완성도가 나쁘지 않지만 실기 중심이다 보니 고해상도 설정을 할 수가 없다. 같은 제작자가 만든 포켓스테이션 에뮬레이터 PK201과 연동할 수 있다.(방법, 예시)
- No$PSX: NDS 에뮬레이터로 유명한 제작사가 만든 플스 에뮬레이터. 2.0까지 나와 있으며 버전 업이 해마다 하기에 늦기는 하는 편이다.
- FPSё: 윈도우 모바일용.
- FPSe for Android: 안드로이드용. 유료지만 계속 업데이트되므로 호환성이 좋다.
- psx4all: iOS용. 탈옥 필요.
- JPSX: Java로 구현한 PSX 에뮬레이터이다. Java로 구현한 특성상 JVM과 LWJGL JNI 라이브러리만 포팅되어 있다면 어디에서든 실행이 가능하다. 현재 업데이트가 종료되었고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지만 Log4j의 심각한 취약점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보안 취약점이 있을 수 있어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는다. 굳이 사용해야 한다면 Log4j를 신 버전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23] 호환성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6.2. 플레이스테이션 2
- PCSX2: 오픈 소스. 사실상 플레이스테이션 2 에뮬레이터의 본좌이다. 높은 구동율과 잘 다듬어진 인터페이스, 완성도도 높다.
- DamonPS2: PCSX2의 안드로이드용 해적판.
- AetherSX2▩: 2021년 11월 첫 발표 뒤, 12월 4일 구글 플레이를 통해 오픈 베타로 공개된 안드로이드용 PS2 에뮬레이터.
PCSX2 기반이며, 스냅드래곤 845 이상의 SoC가 권장 사양이다. 스냅드래곤 SoC에서 가장 좋은 호환성을 제공하지만 고성능의 미디어텍 SoC에서도 준수한 성능을 달성한다고 한다. 현재 개발자는 끊임 없는 사칭, 불만, 괴롭힘, 각종 분쟁에 지쳤고 더 이상 이 '취미'가 재미가 없다고 업데이트를 무기한은 중단했다. 2023년 이후 앱스토어에 올라와 있는 버전은 광고가 포함된 버전이다. 오죽하면 개발자조차 최신 버전을 내려받지 말라고 할 정도. 하지만 여기에서 받을 수가 있다. - NetherSX2: 개발 중단된 AetherSX2를 개조한 에뮬레이터로, AetherSX2의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했다. 프레임 방어가 AetherSX2보다 잘 된다. 이곳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 Play!
- DobieStation ▩(2021년): 2020년 12월 28일에 첫 버전이 올라온 신생 에뮬레이터. 실행되는 게임이 매우 적은 편이다. 하지만 DuckStation의 개발 능력에 보여준 비교적은 빠른 개발 속도와 빠른 업데이트를 고려하면 역시나 기대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이다. PCSX2와는 달리 안드로이드 호환을 염두에 두고 만든지라 제대로 만들어진다면 DamonPS2를 능가할 수 있을 듯했으나 개발자가 PCSX2에 불칸의 3D API를 제공하는 등으로 행보를 바꾸었기에 PCSX2로 개발 방향을 돌렸을 것이란 이야기가 있다. 2022년 5월 PCSX2에 QT 디자인이 크게 바뀌면서 DuckStation와 유사한 디자인이 되었는데, 이로서 DobieStation은 개발이 거의 중단되었다는 쪽으로 기울여졌다.
- PS2 클래식▩: 하위호환 PS3의 생산 비용이나 하드웨어적 문제로 하위호환 부분을 제거한 이후 동작이 보장되는 게임들만 소프트웨어 에뮬레이터 방식의 단품만을 PSN에서 다운로드로 판매하는 상품. PS4에서도 서비스 중이며, 2배 해상도 렌더링과 후처리 안티 에일리어싱으로 높은 이미지 퀄리티를 제공한다. 탈옥을 했다면 이 에뮬레이터를 활용해 임의의 롬 파일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나 호환성은 다소 떨어진다. PS3 호환 목록 PS4 호환 목록
6.3. 플레이스테이션 3
- RPCS3: 현재 cemu와 맞먹는 구동률을 자랑한다. PCSX-PCSX2와 이름이 비슷하지만, 개발자도 다르고 아무런 연계성이 없는 에뮬레이터다. 초기 개발자가 이름을 정했을 때 가짜 PS3 에뮬레이터들이 인터넷에서 떠돌아다니던 상황에서 자신의 에뮬레이터가 유일한 진짜(Real) PS3 에뮬레이터라는 뜻에서 이름을 'RPCS3'로 정했다.
- Nucleus
6.4. 플레이스테이션 4
현역에서 물러나고 차세대기인 PS5가 발매될 때부터 에뮬레이션 프로젝트들이 등장하여 도전장을 내밀었다. 하지만 대부분 동력을 잃거나 잠적하여 PS4 에뮬레이션은 첫 발을 떼지 못하는 듯 하였으나, 24년 8월에 shadps4가 블러드본 최초 실행에 성공하며 마침내 PS4 에뮬레이션의 본격적인 서막을 열었다.- shadPS4
현 시점 최고 수준의 진척도를 가진 에뮬레이터로, 24년 기준 PS4 에뮬레이션의 성배라고 말할 수 있는 블러드본 실행에 성공한 유일한 에뮬이다. 개발자들의 활동도 활발하며, 블러드본 실행 소식을 듣고 온 유저들이 피드백을 전해주자 개발 속도가 상승, 이에 더 많은 유저가 와서 더 많은 피드백을 전해주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았고,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AAA 게임을 기초적이나마 실행하거나 최소한 타이틀 화면 진입까지는 성공하는 엄청난 속도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단순히 게임을 실행하는 것을 넘어 UI 개선, 설정 세분화, 모드와 패치 구현, 후원 링크 개시 등 기초적인 단계를 끝내고 본격적인 에뮬레이터로서 정착하는 중이다. - Orbital - 활동 없음
오픈 소스, 저레벨 에뮬레이터. 상업 게임 구동 불가능. 2021년 이후 업데이트 없음. - Spine - 활동 없음
클로즈드 소스, 고레벨 에뮬레이터. Linux에서만 실행된다. 2022년 이후 업데이트 없음. - GPCS4 - 활동 없음
테스트용 게임 We are Doomed가 내장되어 있다. 2023년 이후 업데이트 없음. - PS4Delta - 활동 없음
2020년 이후 업데이트 없음. - RPCSX - 활동 없음
RPCS3 개발자 일부가 참여한 것으로 인지도를 얻었던 에뮬레이터.[24] Linux에서만 실행된다. 2024년 3월 이후 업데이트 없음. - fpPS4 - 활동 없음
본래 PS4 에뮬레이터 중 가장 유명하고 활발했던 프로젝트였다. 구동 가능한 게임의 수는 가장 많지만, 구동되는 게임의 거의 전부가 소규모의 2D 게임이며, 그 이상은 작동되는 것이 없다. 활발했던 업데이트 역시 2024년 4월 이후 소식이 끊겼다. - Kyty - 활동 없음
PS4 일부 게임과 PS5 홈브루 구동이 가능하다고 알려진 에뮬레이터. 2022년 이후 업데이트 없음. - Obliteration
Kyty를 레퍼런스로 개발 중인 에뮬레이터. shadps4와 더불어 유이하게 활동 중인 에뮬레이터로, 아직은 구동 가능한 게임이 없다. Windows와 Linux, MacOS를 전부 지원.
6.5. 플레이스테이션 5
게임이 구동 가능한 에뮬레이터는 없으며, 기초적인 홈브루 클라이언트만 존재한다.- Kyty
일부 홈브루의 구동이 가능하다. 2022년 이후 업데이트 없음.
7. 마이크로소프트 계열(Xbox)
엑스박스는 전 세대 기종들의 하위 호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신형 기종으로 구동할 때 그래픽 향상 등을 지원해 에뮬레이터의 필요성이 크지 않고 보안이 뛰어난 편이라 에뮬레이터 제작이 어렵기에 제작된 에뮬레이터의 수가 많지 않고 대개 완성도도 뛰어나지 않다. Windows가 공식 Xbox 에뮬레이터라 없는거라는 농담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7.1. Xbox
Xbox 에뮬레이터는 오랜 기간에 개발이 진척되지 못했는데,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GPU 및 오디오 프로세서의 제조 기업 NVIDIA가 세부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일절 문서로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에[25] 이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것이 있다. 그래도 어찌저찌 느리지만 꾸준히 개발되다가 2020년대 들어서 완성도가 대폭 향상된다. xemu 같은 경우는 2023년 4월 기준 플레이 가능 게임이 80%를 넘겼을 정도.- cxbx: 오픈 소스.
- Cxbx-Reloaded: cxbx의 포크로 64비트 처리를 지원하고 dxbx의 기능 가운데 일부를 추가하는 빌드. 전반적으로 프레임은 좋지만 렌더링이 불완전해 몇몇 게임은 모델 렌더링이 스킵 되는 등의 버그가 있다. 현재 라인업 중에선 가장 좋은 진척률을 보이며, 하단에 서술된 XQEMU보다도 Release 버전의 접근성이 굉장히 좋아서 선두에 선 상태이다.
- dxbx ▩(2011년): 2011년 4월에 갑자기 업데이트 중단을 선언했다. 아마도 마소측과 모종의 무엇이 일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 XQEMU: 오픈 소스. QEMU 기반. 현재 개발 단계에 있다. 렌더링 상태는 좋지만 최적화면에선 한참 더딘 면을 보인다. 첫 발표 이후로 개발도 더디고 접근성도 좋지 않아 서서히 잊히는 중이다.
- xemu: 오픈 소스. XQEMU의 포크 버전으로, Cxbx-Reloaded와 함께 2023년 기준은 가장 좋은 성능과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26]
7.2. Xbox 360
- Xenia - 개발 속도와 안정화 정도가 CEMU와 RPCS3보다 심하게 낮은 편이다.
7.3. Xbox One, Xbox Series X|S
제작되지 않는다. 기기의 철저한 보안으로 인해 개발이 불가능할뿐더러 이때부터 독점작들이 전부 PC로 출시됬기 때문에 개발의 필요성이 거의 없다.8. NEC 계열
8.1. 슈퍼 카세트 비전
전작인 카세트 비전은 성능이 매우 낮지만 CPU가 카트리지에 탑재되어 있는 난해한 구조 때문인지 에뮬레이터가 제작되지 않았다.- eSCV: 홈페이지
- MAME ☆
8.2. PC 엔진
- Turbo Engine ▩(2010년, 0.32): 7z로 압축된 롬 파일도 바로 읽을 수 있다.
- YAME
- Magic-Engine: 몇 없는 유료 에뮬레이터. 다만 이쪽은 PC-FX 버전인 Magic-Engine FX도 개발하고 있다(무료인 mednafen보다 처참하지만...). Ootake보다는 못하지만 높은 완성도를 보이며, 사양은 Ootake보다 낮다. 인터페이스가 매우 편리하고 쓰기 쉬운 치트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단지 구동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좀 있는데 아예 처음부터 구동이 안되면 알기 쉽지만, 잘 되는 것 같다가 도중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아서 진행이 막힌다거나 특정 지점에서 튕기는 식의 골치아픔 케이스도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
- Ootake: PC 엔진 에뮬레이터 가운데 최고의 구동 능력을 갖고 있는 일본산 에뮬레이터이다. 마우스와 메모리 128 기능을 지원하고, 아케이드 전용 게임도 잘 돌아간다. 다만 여러가지 시스템 단축키가 shift+●와 같이 이중키 할당이 아니고 그냥 키보드의 버튼이 할당되어 있는 게 많아서 인터페이스 편의성은 매직 엔진보다 나쁜 편.[27]
- PCEjin: mednafen 기반.
- Mednafen ☆
8.3. PC-FX
- Magic-Engine FX
- Mednafen ☆
- Xe ☆
9. 기타
9.1. 네오지오 CD
9.2. 페어차일드 채널 F $
- MAME ☆
9.3. 인텔리비전 $
- MAME ☆
- Nostalgia
- jzintv
- jzintv4droid: 안드로이드용
9.4. 콜레코비전 $
- ColEm: fMSX 제작자가 만든 오픈 소스 에뮬레이터. 안드로이드 버전도 있다.
- blueMSX ☆▩(2009년, 2.8.2)
9.5. 벡트렉스
- ParaJVE
- MAME ☆
9.6. FM TOWNS 마티
- Unz(うんづ): FM TOWNS와 같음.
- Xe ☆
9.7. 3DO
- 3DOplay
- 4DO
- Real3DOPlayer: 안드로이드용.
- FreeDo
- Phoenix
9.8. Nuon
- Nuance
2007년에 원 개발자가 사망하여 방치되어 있다가 2020년에 어떤 개발자가 원 개발자의 유가족이 공개한 소스 코드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재개했다. 여전히 버그가 많지만 개선 작업을 이어한다.
[1] 이 이름은 패미컴의 북미판/유럽판 명칭인 'NES'와 'testicle'의 합성으로 보인다. 'testicle'은 고환이라는 뜻이다(...).[2] 마우스 커서가 잘린 손이며 버전이나 제작년도 설명 옆에 왠 괘상한 캐릭터 얼굴이 나온다. 그렇다. 이 에뮬은 한때 괴 게임으로 유명했던 블러드러스트 소프트웨어가 제작했다.[3] 가령 MOTHER의 영문판 베타 버전을 기반으로 공개된 Earthbound Zero는 이 NESticle로 구동되지 않아 해킹 팀에서 수정을 해야 했다.[4] 빨리 감기 말고도 되감기 기능이 있다!![5] 패미컴의 256×224 화면 에서 위쪽, 왼쪽, 오른쪽 각각 8픽셀씩, 아래 5픽셀을 잘라낸 240×213 화면. 아날로그 TV들은 화면 가장자리를 조금씩 잘라먹는 게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이 정도가 잘려나가도 큰 문제는 없다.[6] 위아래 방향으로 0.75배. GBA 액정의 잔상을 이용해 제법 그럴싸하게 블렌딩해 준다.[7] 패미컴은 256×224(일부 유럽 게임들은 256×240)이지만, NDS는 256×192로서 세로 해상도가 모자란다.[8] 현재는 지원 중단. 초창기에도 Windows 버전이 있었지만 사양이 높지 않았던 시대여서 성능 문제 때문에 DOS 버전이 인지도가 가장 높았다. VESA 설정을 해야 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9] CPU가 탑재된 고가의 NDS용 닥터 칩[10] 3.0 이상의 버전에서는 막혔다.[11] higan과 마찬가지로 64비트 전용이다.[12] 레이아웃은 파일로 저장되므로 직접 파일을 수정해 편집할 수 있다.[13] 이는 Wii의 구조가 오버클럭한 게임큐브나 다름없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하위호환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기 때문.[14] yuzu는 GPL 3.0 라이선스라 포크 시 해당 프로젝트 소스 코드 공개 및 출처 표기를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하지만 egg ns는 출처를 표기하긴커녕 소스 코드 공개도 일절 하지 않았으므로 명백한 라이선스 위반이며 영리적 목적까지 취하기 때문에 yuzu 측에서 고소한다고 하면 높은 확률로 eggns에서 문제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yuzu 측은 별다른 대응은 하지 않았으며, 상술한 Skyline을 사용하라고 권장하고 있었다.[15] 전용 컨트롤러 검사, 월정액 결제 여부에 대한 검사 때문이다. 곧 eggns 개발자들이 갑자기 잠적하고 도망치면 eggns의 크랙 버전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16] 게임은 실행되는데 특정구간에서 멈추기도 한다. 예: 극상 파로디우스 디럭스, 그리고 동영상 크기가 안 맞기도 한다. 예:그란디아[17] 프로젝트에서 10년 정도 일했던 개발자가 github와 디스코드 서버를 두고 있지만, 시간 내서 같이 일할 사람이 안 나와서 개발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해당 개발자의 언급에 따르면 오픈 소스화하지 않고 포기한 이유는 그래도 메인 개발자 말고는 아무도 관심을 안 가지는 경우가 많아서인 듯하다.[18] 이는 DEMUL은 보통 마메처럼 순수 덤프된 롬을 쓰지만, nullDC는 이 롬을 따로 컨버팅하여 써야 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2018년 8월, RetroArch의 reicast코어가 이 nullDC 나오미에 구동되는 롬을 그대로 사용하며, 이 롬들을 찾는 유저들이 늘어난 모양인지 구동영상과 가이드 등이 유튜브에 자주 게시되고 있다.[19] 세가 랠리 2, 하프라이프 등에서 사용된다.[20] 소수 인원의 그룹으로 말미암아 개발되었고,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코드를 가져오지 않았기 때문에 라이선스 전환에 제약이 없었다.[21] 최초에 Stenzek 본인이 Libretro 이식 후, 다른 개발자가 Swanstation이라는 이름으로 이식하자 손을 뗐다. 하지만 이후 Swanstation이 상업용 서비스에 무단으로 사용되자 Libretro 버전만 클로즈드 소스로 돌리고, 본인이 직접 지원을 재개했다.[22] 흔히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32비트 ARM 칩"들이 여기 속한다. 3DS와 PS Vita, Raspberry Pi 등 저전력 휴대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아키텍처.[23] Log4j 2는 별도의 API 라이브러리를 통해 Log4j 1에 대한 API 호환성을 제공한다.[24] RPCS3의 또다른 개발자 DH가 이미 RPCS4라는 독자적인 PS4 에뮬 프로젝트를 시작한 바 있어 이름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25]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사용하는 오픈 소스 NVIDIA GPU 드라이버 프로젝트인 nouveau가 있긴 하지만, 실제 Xbox의 GPU는 시판 GeForce와 레지스터 구성 일부가 달라서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했다.[26] 플레이 가능: 78%, 완벽구동: 3%[27] 예로서, 강제 세이브 기능이 S, 게임 열기가 O로 할당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키 설정 시에 이런 시스템 키를 피해서 설정하거나 그냥 패드를 쓰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