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7 02:19:10

암태도 소작쟁의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전개3. 의의4. 둘러보기

1. 개요

전라남도 무안군 암태면[1]에 위치한 암태도[2]에서 농민들이 지주에 대항하여 소작료 인하를 요구하며 파업 및 농성한 사건.

2. 전개

뭉치어라 작인들아 뭉치어라 우리들의 부르짖음 하늘이 안다
뭉치어라 작인들아 뭉치어라 마음껏 굳세게 뭉치어라
이 뼈가 닳게 일하여도 살 수 없거늘 놀고먹는 지주들은 누구의 덕인가
그들의 몸에 빛난 옷은 우리의 땀이요 그들이 입에 맞는 음식은 우리의 피로다
봄 동산에 좋은 꽃 지주의 물건 가을밤에 밝은 달도 우리는 싫다
소작쟁의 당시 농민들이 부른 <소작인의 노래>

1920년대 들어 전국적으로 농민노동자들의 소작쟁의, 노동쟁의가 불붙었는데 암태도도 예외는 아니었다. 당시 암태도에는 문재철[3], 나카시마 세이타로(中島淸太郞), 천후빈(千后彬, 1870. 5. 9 ~ ?. 5. 15)[4] 3명의 지주가 있었는데 이 중 문재철은 대지주로서 논 29만 평과 밭 11만 평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런데 문재철은 가혹하게 소작료를 징수했다. 당시 일제강점기의 소작료는 높아 봐야 추수한 곡식의 절반인 것에 비해 그는 무려 6~8할이나 가져갔다. 이것 때문에 소작인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고 나중에는 분노하여 서태석[5], 서창석 등의 청년들을 중심으로 1923년 8월 '암태소작인회'를 조직했다. 암태소작인회는 그 해 9월 문재철을 비롯한 암태도의 지주들에게 "소작료는 논 40%, 밭 30%로 하고 소작료로 내는 농작물 운반도 1리 이내로 해달라"고 요구하며 이에 불응하면 소작료를 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요구조건에 일본인 지주 나카시마와 천후빈은 농민들과 충돌을 일으키고 싶지 않아[6] 다들 수긍하고 암태소작인회와 합의했으나 문재철만은 격분하여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암태소작인회도 반발하며 문재철한테 소작료를 납부하지 않는 방식으로 저항했다. 그러자 분노한 문재철은 깡패들을 고용하여 소작인들을 마구 폭행하며 체납한 소작료를 낼 것을 강요했다. 소작인들은 크게 분개했고 소작료 납부를 계속 거부하며 1924년 3월 27일 암태면 동와촌리에서 '지주 규탄 면민대회'를 열어 문재철의 이런 만행을 성토했다. 4월 22일에는 분노한 소작인들이 문재철의 부친 문군옥(文君玉, 1848 ~ ?)[7]을 위해 세워진 송덕비를 무너뜨리고 문재철이 고용한 폭력배들과 충돌하였는데 폭력배들이 소작인들한테 역으로 두들겨맞았다.[8] 이 일로 50여 명의 소작인이 문재철의 신고를 받은 일본 경찰에 붙잡혀 그 중 서태석을 포함한 13명이 목포로 이송되었다. 그러자 암태도에 있었던 농민들과 그 가족들의 분노가 폭발했고 암태도 주민 전체가 봉기했다.

1924년 6월 4일과 5일에는 400여 명의 암태도 주민들이 배 수십 척을 나눠타고 목포항에 모였다. 그들은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앞에서 6월 8일까지 농성을 벌였다. 그럼에도 일본 경찰은 구금한 13명을 재판에 회부했다. 그러자 농성은 더욱 격화되어 7월 8일 600여 명의 주민들이 법원 앞에서 '아사동맹(餓死同盟)'을 결성하고 단식투쟁에 들어갔다.[9] 11일에는 문재철의 집 앞에서도 시위가 발생해 출동한 일본 경찰에 의해 수십 명이 연행되기도 했다. 그래도 암태도 주민들은 처절하게 투쟁했고 이런 투쟁 소식은 점차 신문을 통해 전국에 알려지면서 큰 반향을 낳았다. 여기저기에서 암태도 주민들을 위한 지원이 이어졌고 한국인 변호사들도 13명의 구금자들을 위한 무료 변호에 나섰다. 사건의 파장이 커지면서 일본 경찰과 문재철은 당황했다.

이것 때문에 사태가 커지기를 원하지 않던 일본 경찰은 8월 30일 목포경찰서장실에서 전라남도경찰국 고등과장 고가(古賀)가 지주 문재철과 농민대표 박복영을 불러서 중재를 진행했다. 마침내 문재철은 일본 경찰의 권고에 따라 암태도 농민들의 요구사항을 수용했고 이로써 소작쟁의는 농민들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이날 합의된 타협안은 ① 소작료는 4할로 지정, ② 지주는 암태소작인회에 2,000원 기부, ③ 체납된 소작료는 향후 3년 간 분할상환, ④ 구금 중인 쌍방 인사들은 서로가 고소를 취하, ⑤ 부서진 비석은 암태소작인회 부담으로 복구 등이었다. 이후 잡혀간 13명은 집행유예와 벌금형만 받고 풀려났다.

3. 의의

1920년대 소작쟁의 중 가장 큰 승리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전라남도 신안군의 다른 섬들도 소작쟁의를 벌였고 이후 전국적으로 소작쟁의가 퍼져나갔다.[10]

일제강점기의 노동투쟁 중 원산 총파업과 더불어 양대 투쟁으로 손꼽힌다.

4. 둘러보기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노동 관련 사건사고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60년대 이전
임오군란(1882)L Na / 암태도 소작쟁의(1924)L / 원산 총파업(1929)L / 9월 총파업(1946)L
1970년대
전태일 분신 사건(1970.11.13.)L X / YH 사건(1979.8)L X Na
1980년대
사북사건(1980.4.)L X Na / 원진레이온 사태(1981~1991)A / 전국 노동자 대투쟁(1987.7.~9.)L
1990년대
KBS 사태(1990)L Na 1994년 전국 철도·지하철 파업사건(1994)L 한국통신 노조 파업 사태(1995)L 노동법 날치기(1996)Na
2000년대
문화방송의 연예계 노예계약 폭로에 대한 연제협의 보복성 출연 거부 사건(2001)G X KTX 비정규직 여승무원 해직 사태(2004~2018)X Na 코리아냉동 물류창고 화재 사고(2008)A 쌍용자동차 사태(2009)L N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0년 당진 용광로 사고(9.)A
2011년 홍익대학교 청소·경비노동자 농성 사건(1.)L
2012년 KBS·MBC·YTN 총파업(1.)L Na / 성수역 방음벽 작업인부 사망사고(5.)A
2013년 성수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1.)A / 포스코 임원 기내 승무원 폭행 사건(4.)G / 팝픽 착취현황 폭로 사건B X / 전국철도노조 총파업(12.)L Na
2014년 울산 현장실습 고교생 사망사고(2.)A / 독산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4.)A / 부산 열처리업체 직원 기계끼임 사망사고(8.)A / 월성원전 3호기 잠수부 사망 사건(9.)A Na / 대한항공 086편 이륙지연 사건(12.)B G
2015년 청주 지게차 사망사고(7.)A / 강남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8.)A
2016년 진접선 공사현장 붕괴사고(1.)A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5.)A / 한국철도공사 총파업(9.~12.)L Na / 구미 스타케미칼 폭발 사고(10.)A
2017년 전주 콜센터 현장실습생 자살사건(1.)A / 파주 LG디스플레이 직원 기계끼임 사망사고(6.)A /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7.)B G X / KBS·MBC 총파업(9.)L Na / 제주 현장실습 고교생 사망사고(11.)A
2018년 다산신도시 택배 사건G / 정선 한덕철광 발파 사고(4.)A / 택배 물류센터 알바생 감전 사망사고(8.)A / 삼성반도체 기흥사업장 CO2 누출 사고(9.)A / 광동제약 제주공장 끼임 사망 사고(10.)A / 제주대병원 재활의학과 폭행 및 갑질 사건((2016~)11.)B G X / 태안화력발전소 사고(12.)A
2019년 2019년 서울대학교 청소노동자 사망 사건(6.)A / 성남 대출사기단 닭강정 거짓주문 보복협박 사건(12.)G MBC NEWS 부당해고 사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오리온 직원 투신자살 사건(3.)B /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4.)A / 광주 재활용업체 20대 청년노동자 사망사고(5.)A / 군산 공무원 갑질사건(8.)B G / 강아지 택배 무고 사건(12.)G
2021년 카카오 직원 유서 논란(2.)? / 평택항 대학생 사망 사고(4.)A / 고덕 그라시움 택배 사건(4.)G / 네이버 직원 자살 사건(5.)B / 광주 학동 붕괴 사고(6.)A / 동작구 새우튀김 사건(6.) A G / 2021년 서울대학교 청소노동자 사망 사건(8.)A / 여수 현장실습 고교생 사망사고(10.)A
2022년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매몰 사고(1.)A /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1.)A / 연세대 청소노동자 쟁의(3.)L X / 록사나 그림작가 착취사건(8.)G X / 평택 SPL 제빵공장 직원 기계끼임 사망 사고(10.15.)A / 안성 물류창고 신축현장 붕괴사고(10.21.)A / 샤니 성남공장 직원 손가락 끼임사고(10.23.)A / 봉화 광산 붕괴 사고(10.26.)A / 농심 부산공장 끼임 사고(11.2.) / A 의왕 코레일 직원 사망 사건(11.5.)A /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요구 파업L Na
2023년 윤석열 정부의 주 69시간 근무제 추진 논란(3.)Na 서대문구 엘리베이터 수리 기사 추락사 사건(6.)A 코스트코 하남점 주차장 직원 폭염 사망 사건(6.)A 대구 염색산업단지 황산 누출 사고(7.)A 성남 샤니 제빵공장 직원 기계끼임 사망 사고(8.8.)A 현대모비스 직원 기계끼임 사망 사고(11.)A 삼성디스플레이 협력업체 직원 기계끼임 사망 사고(12.)A
2024년 평택 엘리베이터 수리 기사 추락사 사건(1.)A 종로 공사장 건설 노동자 추락사 사건(1.)A 쿠팡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2.)G 김포시 공무원 사망 사건(4.)G 남원 사전투표 업무 공무원 사망 사건(4.)A Na
}}}}}}}}} ||
A: 산업재해 / B: 직장 내 괴롭힘 / G: 갑질 사건 / L: 노동운동 / X: 노동착취 / Na:국가조직 연루 및 개입 / ?: 사건 경위 불명 }}}}}}}}}



[1] 당시에는 신안군이 없었고 무안군의 일부였다. 신안군이 설치된 건 45년 뒤인 1969년이었다.[2] 압해도와는 천사대교로 연결되어 있다.[3] 문재철은 암태도 출신으로 해양 사업에 나서서 많은 돈을 벌었고 중추원에서 직책을 맡으며 토지를 불려나갔다. 그래서 1920년대 후반에는 300만 평, 1940년대에는 500만 평의 토지를 소유하였다. 이후 여러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1941년에는 자신의 자금으로 학교를 세우기도 하는데 그것이 지금의 문태고등학교다. 헌데 그는 암태도 소작쟁의 이후 농민활동가를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자금을 전달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일 때문인지 친일인명사전에 등록되었다가 나중에 빠졌다.[4] 영양천씨대동보 현감공편 1권 60쪽에는 천두학(千斗學)으로 등재되어 있다. 천정배법무부장관의 7촌 재종증조부(再從曾祖父)다.[5] 1885~1943. 3.1 운동 당시 태극기와 격문을 붙이는 등 적극 참여하다가 붙잡혀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출소 후 8년갓 암태면장으로 활동하며 암태도 소작쟁의를 주도했다. 이후 각종 농민운동과 조선공산당 활동 등에 참여하다가 여러 번 감옥살이를 했다. 결국 계속된 투옥으로 인해 건강이 약해졌고 투옥된 후유증으로 인해 정신분열증에 걸려 고생하다가 1943년에 사망했다. 공산당 경력 때문에 독립운동가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사후 60년이 지난 2003년에야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었다.[6] 괜히 충돌을 일으키면 소작료를 거두기가 어려워서 손해이기 때문이다.[7] 족보명은 문태현(文泰炫).[8] 왜냐면 폭력배들의 숫자가 농민들보다 적다 보니 농민들이 작정을 하고 덤비니 당해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9] 단식농성은 6박 7일 동안 이어졌다.[10] 사실 이 사건이 일어나기 한참 전인 조선 시대인 1600년대부터 현재 신안군에 해당하는 하의3도에서는 농민운동이 진행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