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04:20:17

성유진(성우)

{{{#!wiki style="margin: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62a59> 파일:MBC 성우극회 로고.pngMBC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성우
<colbgcolor=#262a59> 제1기 (1961) <colbgcolor=#ffffff,#191919> 남 김현직†, 맹관영, 이묵원, 정승현, 최응찬
김석옥, 김영옥, 나문희, 백수련, 정소희†, 최선자
제2기 (1965) 김성겸, 변희봉†, 이영달†, 전운†, 최병학, 현길, 홍성민†, 황일청
김유선, 김희숙, 유명옥†, 이수나
제3기 (1968) 김용건, 나성균, 이진성, 신충식, 한규희
김은영, 박소현, 안정현, 우문희, 정희선
제4기 (1970) 강성욱, 김기현, 박영지, 박일†, 윤지하, 이규연†, 한상혁
서영애, 송도영, 최방란, 한영숙
제5기 (1972) 김용식, 김태훈, 박태호, 전국근, 한인수, 심양홍
강미, 이명숙, 전임복, 홍승옥, 최은숙
제6기 (1974) 김명수, 이도련†, 이성, 탁재인
김성란, 김진숙, 양윤선
제7기 (1976) 권혁수, 김관식, 이인성, 이종오, 최상기
기경옥, 김순선, 김윤정, 박인숙†, 최성우
제8기 (1982) 곽대홍, 김기성, 박기량, 신성호, 장영린
박부이, 박영희, 오혜숙, 윤소라, 이미자, 이선주, 홍혜정
제9기 (1983) 김관철, 박영화, 이우신, 이윤연, 이종혁, 황윤걸
김정신, 김혜경, 이선호, 조향이
제10기 (1985) 김강산, 김동현, 김영훈, 손원일, 이승환
정미연, 황미영, 성유진
제11기 (1993) 신경택, 안장혁, 안지환, 양희문, 최원형
배주영, 우정신, 이승현, 정소영, 조예신, 주현영
제12기 (1994) 박조호, 변종필, 안종덕, 윤복성, 이진홍, 전수빈
강수진, 유은숙, 이영란, 임유진
제13기 (1996) 김영선, 김호성†, 엄태국, 이철용, 장성호, 최석필
박소라, 엄현정, 윤성혜, 정남
제14기 (1997) 김기철, 김민성, 김용준, 송준석, 이상범
김아영, 박선영, 오주연, 최수진, 한수림
제15기 (1999. 11.) 고성일, 노계현, 이상훈, 최한, 표영재
김서영, 김지영, 배정민, 이자옥, 채의진
제16기 (2002) 방성준, 이원찬, 정재헌
문남숙, 박신희, 조현정
제17기 (2004) 김두희, 류승곤, 양준건
유상우, 이민하, 한경화
CM 1기 (1973) 정명옥
김순자, 정부용, 최정양, 한순자
CM 2기 (1976) 박기량, 한대수
정숙경, 차영주, 문병례
CM 3기 (1979) 권영운, 신현식
김수희, 김춘방
CM 4기 (1983) 박홍식, 민응식, 김주형
박혜경
CM 5기 (1984)
송은주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KBS · PBC
※ 제명 및 소속을 옮기거나 은퇴 또는 사망한 성우는 취소선으로, 최고령 성우는 굵게,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표시함.
}}}}}}}}} ||

성유진
Seong Yu-jin
파일:1988_mbc_연기_0000018530ms.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출생 1965년 1월 12일 ([age(1965-01-12)]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영국|]][[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종교 개신교[1]
소속 MBC 성우극회 10기 (프리랜서)
활동 시기 전속: 1985년 ~ 1987년
프리랜서: 1988년 ~ 2000년

1. 개요2. 연기3. 출연작
3.1. 애니메이션3.2. 게임3.3. 내레이션3.4. 외화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직 성우이자 현직 아나운서. 1985년 MBC 성우극회 10기로 입사했으며 1988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하다가 2000년에 은퇴하였다.

2. 연기

상당히 미려한 목소리의 소유자였으며 주로 히로인 및 여주인공을 많이 맡았다. 섬세하고 다양한 감정변화를 표현하는데 강점이 있었고, 특히 김승준과의 커플링이 상당히 유명해서 당시 강수진에게 최덕희가 있다면 김승준에게는 이 분이 있다는 것이 정석으로 치부되었을 정도였다.[2] 활동 당시에는 동시기에 활약한 정미숙, 최덕희, 지미애, 박영희와 함께 애니메이션 소녀 연기의 본좌로 꼽히기도 했다. 다만 언급한 이들보다 훨씬 일찍 은퇴했기에 올드팬을 제외하고 현재는 인지도가 많이 낮은 편이다.[3] 마찬가지로 2003년경부터 11년 동안 성우 일을 접고 자녀들의 교육을 위해 캐나다로 이민 갔다가 2014년에 복귀를 한 최덕희도 현재까지 인지도가 상당한 걸 감안하면 확실히 많이 잊혔다.

2000년에 공주는 못말려 2를 마지막으로 성우 활동을 은퇴하게 되고 선교사인 남편을 따라 영국으로 이민을 갔다. 그리고 2004년 성우극회와 성우협회를 탈퇴하였다. 신앙심이 깊어서 일본 애니메이션은 자극적이라 더빙하기가 부담스럽다는 말을 하기도 하였다.[4]

현재 현지 한인 방송국 아나운서로 활약하고 있다고 하는데 한 때 제주도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살고 있다고 알려지기도 했지만 사실이 아니다.

활동 당시에는 의외로 장난기가 있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환상게임 녹음 당시 감정에 몰입한 다른 성우들의 연기를 보다 그만 웃음이 터졌는데(방해가 안 되게 입을 가리고 있는 상태였다) 이를 본 상대 역이던 김승준에게 한 소리 들은 에피소드가 있다.[5]

3. 출연작

※ 굵은 표시는 주인공, 히로인, 주연급 역할

3.1. 애니메이션

3.2. 게임

3.3. 내레이션

3.4. 외화

4. 관련 문서


[1] 남편이 선교사 활동을 하고 있고, 성우를 은퇴한것도 남편의 선교활동을 따라 영국으로 이민 간 것이다. 본인도 신앙심이 깊어서 일본 애니메이션은 자극적이라 더빙하기가 부담스럽다는 말을 하기도 하였다.[2] 김승준 만큼 유명하진 않지만, 동기였던 손원일과 선배인 박기량의 케미도 상당히 좋았다.[3] 2000년경에 은퇴했다. 따라서 최소 90년대 초반생 이후의 팬들은 이 성우를 거의 모른다. 참고로 2024년 기준으로 2000년생은 만 24세인 성인이다. 그나마 아는 사람들도 환상게임의 유우키 미아카나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의 그랑디스, 미녀와 야수의 벨 정도만 아는 정도다.[4] 그래도 2000년에 영국으로 이민가기 전에 외화와 나레이션을 몇 개하고 은퇴를 했다.[5] 참고로 김승준은 성유진보다 2살 연하, 성우로서는 5년 후배다. 선배, 그것도 직속 극회 선배도 아닌, 다른 성우극회 소속 성우 선배한테 지적하는 게 쉽지는 않은데, 심지어 본인보다 1년 선배에 3년 연상인 정미숙한테도 연기에 대해 지적해 한동안 둘 사이가 험악했던 일도 있었다고 한다.[6] 애니메이션[7] 초기는 송도영.[8] 비디오판 후기는 장혜선, 투니버스판은 윤여진이 담당했다.[9] 2012년 리메이크판은 박선영.[10] 이민간 이후에 나온 2, 3편에서는 정미숙으로, Human Again 더빙 및 하우스 오브 마우스에서는 서혜정으로, 리틀 프린세스 소피아에서는 서지연으로, 실사 영화에서는 김서영으로 교체되었다.[11] MBC 방영 당시 제목은 '출동! 러쉬맨'.[12] KBS판은 김정애.[13] 1980년 작 극장판. 1991년 '우주불새'란 제목으로 방영.[14] 극장 편집판. 방영 당시 제목은 '끝없는 사랑'이었다.[15] KBS판은 김정애.[16] 투니버스판은 홍영란.[17] 76년 단편에서는 송도영이 했고, 성유진은 90년 장편에서 했다.[18]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애니메이션판.[19] 이민간 이후에 나온 외전 2편은 정미숙이 맡았다.[20] KBS판은 송도영.[21] 유일한 EBS 출연작이다.[22] MBC판은 비디오판에서 정령 올리에를 맡은 박영희가 맡았다.[23] MBC판은 송도영.[24] 비디오판의 캐스팅이 그대로 유지되었다.[25] 신성호와 공동 출연.[26] 1회, 3~7회, 9회까지 해설을 하였다.[27] MBC판 2편은 송도영, SBS판은 박영희.[28] KBS 방영판에서는 정경애.[29] KBS 방영판에서는 이용순.[30] 1994년작 영화[31] 방영 당시 원제(The Fourth Protocol)를 직역한 제목. 정식 번역명은 「소련 kgb」.[32] 방영 당시 제목은 공포의 바다.[33] MBC 방영판에서는 박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