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9 00:13:49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141414 20%, #141414 80%, #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52525,#252525><colcolor=#ffffff,#ffffff> 사부 <colbgcolor=#fff,#1f2023><colcolor=#181818,#e5e5e5>누르시아의 베네딕토
정보 일반 베네딕도회 · 아빠스
베네딕도회 총연합 <colbgcolor=#3b3b3b,#3b3b3b><colcolor=#ffffff,#ffffff> 총연합 베네딕도회 총연합 · 성 안셀모 수도원 ·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교
연합회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올리베따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수비아코-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바이에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발롬브로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보이론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브라질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성모영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솔렘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아메리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슬라브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실베스트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잉글랜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코노-수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헝가리 연합회
해외 주요 수도원 몬테카시노 수도원 · 성 오틸리엔 대수도원 · 몬테 올리베토 마조레 대수도원 ·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국내 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 · 성 베네딕도회 요셉수도원
독립 수사회 몬테 코로나의 까말돌리 독수도승회
수녀회 연합기구 국제 베네딕도회 공동체
개별 수녀회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비가톨릭 성공회 성공회 베네딕트회 공동체
정교회 성 라브렌티오스 베네딕토스회 · 해외 러시아 정교회 베네딕트 수도원
베네딕도회 수도자
}}}}}}}}} ||
<colbgcolor=#000><colcolor=#fff> 왜관 성 마오로 쁠라치도 수도원
Abbatia Sancti Mauri et Sancti Placidi in Waegwan
왜관수도원 | 倭館修道院
파일:왜관 수도원.png
기본 정보
종교 가톨릭
소속 베네딕도회 총연합,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지위 아빠스좌 수도원(Abbey)
아빠스 박현동 블라시오
위치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관문로 61
<nopad>
{{{#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웹사이트 <colbgcolor=#ffffff,#1c1d1f>파일:왜관 수도원.png 홈페이지
파일:왜관 수도원.png 선교총무국
파일:external/www.bundobook.co.kr/logo.gif 분도출판사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
파일:Abbazia-Waegwan-3.jpg
<colbgcolor=#000> 수도원 성당 정면
파일:La-chiesa-Waegwan-1.jpg
수도원 성당 내부
파일:Adorazione-della-croce.jpg
박현동 블라시오 아빠스의 성 십자가 현양

1. 개요2. 역사
2.1. 초기 선교와 확장2.2. 공산정권의 박해와 남하2.3. 왜관에서의 정착과 재기2.4. 오늘날
3. 역대 아빠스4. 여담

1. 개요

왜관수도원으로도 불리는 왜관 성 마오로 쁠라치도 수도원(Abbatia Sancti Mauri et Sancti Placidi in Waegwan)은 한국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베네딕도회 수도원으로,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소속이다. 1952년 북한 지역 선교지에서 철수한 독일인 수사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한국 베네딕도 수도생활과 선교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현재는 한국 내 오딜리아 연합회의 모원이자 수도성소 양성, 전례, 사목 활동의 핵심 거점이며 탄자니아의 항가 수도원, 음빔와 수도원과 함께 오딜리아 연합회 내에서 수사가 100명 이상인 셋뿐인 수도원이다.

2. 역사

2.1. 초기 선교와 확장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는 1909년 12월 13일,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이자 제8대 조선대목구장이었던 귀스타브샤를마리 뮈텔 주교의 요청에 따라 독일인 수사 2명을 한국에 파견하면서 조선 땅에 입국하였다. 이들은 서울 백동 낙산 아래, 현재의 혜화동 일대 약 3만 평 부지에 수도원 부지를 마련하고, 1911년 3층 석조 건물로 서울 성 베네딕도 수도원(백동수도원)을 완공하였다. 이 수도원은 1913년 5월 15일 교황청에 의해 아빠스좌 수도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초대 아빠스로 보니파시오 사우어(신상원)가 선출되었다.

서울 수도원은 실업 및 사범교육을 중심으로 사도직을 전개하였다. 1910년 숭공학교, 1911년 숭신학교를 각각 설립하여 목공, 철공, 원예 등의 직업교육도 함께 실시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1913년 숭신학교를 강제로 폐교하였고, 수도원의 교육 활동은 제약을 받았다. 이후 오딜리아 연합회는 북방지역 선교로 활동의 중심을 옮기게 되었으며, 1920년 서울대목구의 분할로 새롭게 설정된 원산대목구의 사목 책임을 맡게 되었다.

서울 수도원 공동체는 1927년 함경남도 덕원군으로 이전하였고, 1928년까지 신학교가 완공되었다. 이어 1929년부터 1931년까지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성당이 건립되었으며, 본당 사목과 성소 양성, 출판 사도직이 병행되었다.

이전한 뒤 서울에 남아 있던 백동수도원과 두 학교 건물과 부지는 명동성당이 소유하게 되었다. 이후 수도원 자리에는 서울대교구의 신학교가 자리잡게 되었고, 숭공학교는 종탑을 추가로 지어서 백동성당이 되었다가 이후 혜화동성당이 되었고, 1960년에 성당을 새로 지으면서 기존 건물이 철거되었다. 숭신학교는 일찍 폐교되어서 숭공학교 기숙사로 사용되다가 동성중학교동성고등학교 교사가 되었으나 1982년에 새 건물을 짓기 위해 철거되었다.

한편 오딜리아 연합회는 1922년 만주 간도지방의 사목도 담당하게 되었고, 1928년에는 연길에 성 십자가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이 수도원은 1934년 아빠스좌 수도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초대 아빠스로 테오도루스 브레허(백화동) 신부가 임명되었다. 연길수도원은 목공·철공 작업장과 인쇄소를 갖추고 조선인 및 중국인을 대상으로 선교와 초등교육을 실시하였다.

1940년 1월 12일, 교황청은 덕원수도원을 중심으로 한 덕원자치수도원구(Abbatia Territorialis Tokwonensis)를 설정하였다. 관할 구역은 원산시, 문천시, 안변군, 고원군, 천내군이었으며, 보니파시오 사우어 주교아빠스가 초대 자치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동시에 함흥대목구장을 겸임하였다.

2.2. 공산정권의 박해와 남하

광복 이후 덕원수도원은 소련군 점령하에 놓이게 되었으며, 초기에는 일부 제한 속에서도 수도생활이 재개되었다. 당시 수도원에는 독일인과 한국인 수사 약 60명이 있었고, 툿찡수도회 소속 수녀 약 20명은 인근 원산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활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8년부터 북한 당국은 종교에 대한 본격적인 탄압을 시작하였고, 덕원 공동체는 중대한 위기에 직면하였다.

1949년 5월, 북한 내무성 정치보안국은 덕원수도원을 점거하였고, 모든 수사와 수녀들을 체포하였다. 이들은 평양, 신의주, 남평 등의 정치범 수용소와 교화소로 분산 이송되었으며, 1950년 7월에는 미군의 공습으로 덕원 대성당이 파괴되었다. 1949년부터 1952년 사이, 14명의 수사와 2명의 수녀가 고문과 총살로 사망하였고, 17명의 수사와 2명의 수녀는 강제노동, 기아, 질병으로 순교하였다. 초대 자치수도원장이자 주교아빠스였던 보니파시오 사우어는 1950년 2월 1일 평양 감옥에서 사망하였다.

한편, 덕원에 남아 있던 조선인 수사 중 일부는 체포를 피해 남쪽으로 탈출하였다. 이들 중 2명의 조선인 수사는 경상북도 대구시에 도착하여 임시 공동체를 형성하였고, 이후 오딜리아 연합회 총재아빠스 크리소스토무스 슈미트의 지시에 따라 미국 뉴튼수도원에 체류하던 디모테오 비테를리 신부가 1952년 1월 한국에 파견되었다. 비테를리 신부는 대구에서 조선인 수사들과 합류한 뒤,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본당 사목 거점을 마련하고 수도공동체의 재건을 준비하였다.

1954년 1월, 생존한 독일인 수사와 툿찡 수녀 42명은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통해 본국으로 송환되었으며, 덕원자치수도원구는 실질적으로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황청은 법적으로 이 자치수도원구를 폐지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도 법적으로 존속하고 있다. 2007년부터는 이 시기 순교한 수사 및 수녀 36인의 시복 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하느님의 종 신상원 보니파시오 아빠스와 동료 37위'로 불린다.

2.3. 왜관에서의 정착과 재기

비테를리 신부는 왜관에서 임시 공동체를 형성한 뒤 1955년 수도원 본관을 완공하였고, 1956년 1월 9일 교황청으로부터 원장좌 예속 수도원으로 정식 인가를 받았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순심중학교순심고등학교를 인수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기숙사 시설인 성 마오로관과 자체 인쇄소, 분도출판사도 이 시기에 설립되어 교육과 출판 사도직이 본격화되었다.

1953년, 대구대목구최덕홍 요한 주교는 왜관 지역을 중심으로 경상북도 서북부 지방인 상주, 문경, 김천, 금릉, 선산, 성주, 칠곡 지방의 사목 구역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관리 체계를 갖추고자, 디모테오 비테를리 신부에게 해당 지역의 사목권을 위임하였다. 이로서 왜관감목대리구가 설정되어, 비테를리 신부는 수도자 공동체의 장상뿐 아니라 정식 사목 권한을 가진 교구급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왜관감목대리구는 그 관할 하에 있던 본당 수의 증가와 함께 점차적으로 그 위상이 확대되었고, 오딜리아 연합회가 주도하는 본당 사목의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1964년 2월 17일, 왜관수도원은 교황청에 의해 아빠스좌 수도원으로 승격되었고, 초대 아빠스로 오도 하스 신부가 선출되었다. 수도원은 이후 본당을 18곳까지 확대하였으며, 한국 최초의 피정의 집을 설립하여 전례 교육과 영성 훈련의 중심지로도 기능하였다. 농장, 공방, 식음료 생산 시설 등 자급적 기반도 이 시기에 확충되었다.

1971년 제2대 아빠스로 이동호 플라치도 신부가 선출되면서 한국인 아빠스 시대가 시작되었고, 이후 서울 장충동에 분도회관과 신학원을 개설하여 서울 지역 사도직도 병행하였다. 1975년에는 왜관수도원 성당이 새롭게 축성되었고, 1982년에는 필리핀 민다나오 디고스에 선교 수도자를 파견하였다.

1986년에는 2월 28일을 기해 왜관감목대리구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관할 구역에 속했던 본당들은 대구대교구와 1969년 분리 설립된 안동교구로 이관되었다. 이로써 왜관수도원이 감목대리 자격으로 행하던 사목 활동은 종결되었으며, 이후 왜관수도원은 본당 사목보다는 수도생활 본연의 삶과 특수 사도직에 주력하게 되었다.

한편 1987년에는 경기도 남양주시성 요셉 수도원이 분원으로 설립되었고, 1998년에는 원장좌 예속수도원으로 승격되었으며, 2014년에는 원장좌 자치수도원으로 독립하였다. 미국 뉴튼수도원은 2001년 왜관수도원에 인수되어 현재까지 원장좌 예속수도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2.4. 오늘날

왜관수도원은 오딜리아 연합회 한국 진출 100주년이 되던 2009년에 이를 기념하여 심포지엄, 음악회, 기념 미사 등을 개최하였다. 2010년대 이후 수도원은 교육, 출판, 피정, 사회복지, 해외선교의 다섯 영역을 중심으로 사도직을 재정비하였다. 대구, 서울, 부산, 화순 등지의 분원 집은 수도적 영성을 나누는 공간으로 활성화되었으며,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분도 노인마을과 성심양로원의 운영이 더욱 체계화되었다. 분도출판사는 전례서 개정 작업과 영성·신학서의 출간을 이어가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 발행에도 집중하고 있다.

현재 왜관수도원은 아빠스좌 수도원으로서 본원 외에도 성 바오로 원장좌 예속수도원(미국 뉴저지 뉴튼), 서울 장충동 분도회관, 부산 명상의 집, 대구와 서울의 피정의 집, 분도출판사, 순심중학교와 순심고등학교 등 여러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3. 역대 아빠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60651, #3E107C 20%, #3E107C 80%, #26065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장상 초대 제2대 제3대
티모테우스 비테를리
이성도 디모테오
(1952~1964)
오도 하스
오도환 오도
(1964~1971)
이동호 플라치도
(1971~1985)
이덕근 마르티노
(1985~1995)
<rowcolor=#fff,#fff> 원장 서리 제4대 제5대
김구인 요한 보스코
(1995~2001)
이형우 시몬 베드로
(2001~2013)
박현동 블라시오
(2013~)
}}}}}}}}}}}}

4. 여담

  • 왜관수도원이 2001년 인수한 미국 뉴튼수도원은, 한국전쟁 흥남철수작전 당시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선장이었던 레너드 라루가 생전에 수도생활을 했던 곳이다. 본래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라루는 전쟁 이후 베네딕도회에 입회하여 '마리너스'라는 수도명을 받아 수도자가 되었고, 조용히 수도생활에 전념하다가 세상을 떠났다. 이러한 인연으로 왜관수도원은 뉴튼수도원을 인수하게 되었으며, 가톨릭교회에서는 마리너스 수사를 복자품에 올리기 위한 시복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 공지영 마리아 작가의 장편소설 <높고 푸른 사다리>의 배경이 되는 공간이다. 왜관수도원의 생활, 젊은 수도자들의 고뇌, 덕원수도원의 수난과 월남, 흥남철수작전, 마리너스 수사의 이야기 등을 잘 엮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