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30 01:44:49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141414 20%, #141414 80%, #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52525,#252525><colcolor=#ffffff,#ffffff> 사부 <colbgcolor=#fff,#1f2023><colcolor=#181818,#e5e5e5>누르시아의 베네딕토
정보 일반 베네딕도회 · 아빠스
베네딕도회 총연합 <colbgcolor=#3b3b3b,#3b3b3b><colcolor=#ffffff,#ffffff> 총연합 베네딕도회 총연합 · 성 안셀모 수도원 ·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교
연합회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올리베따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수비아코-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바이에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발롬브로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보이론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브라질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성모영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솔렘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아메리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슬라브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실베스트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잉글랜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코노-수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헝가리 연합회
해외 주요 수도원 몬테카시노 수도원 · 성 오틸리엔 대수도원 · 몬테 올리베토 마조레 대수도원 ·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국내 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 · 성 베네딕도회 요셉수도원
독립 수사회 몬테 코로나의 까말돌리 독수도승회
수녀회 연합기구 국제 베네딕도회 공동체
개별 수녀회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비가톨릭 성공회 성공회 베네딕트회 공동체
정교회 성 라브렌티오스 베네딕토스회 · 해외 러시아 정교회 베네딕트 수도원
베네딕도회 수도자
}}}}}}}}} ||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Congregatio Americana Casin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
파일:the-american-cassinese-congregation-coat-of-arms_.png
<colbgcolor=#346733,#346733><colcolor=#fff,#fff> 표어 <colbgcolor=#346733,#346733><colcolor=#fff,#fff> 라틴어 {{{#346733,#fff 'Ora et Labora'}}}
영어 Pray and Work
한국어 기도하고 일하라
설립자 보니파스 위머 O.S.B.
설립 시기 1855년 8월 24일 ([age(1855-08-24)]주년)
설립 허가 교황 비오 9세
총재아빠스 초대 보니파스 빔머 O.S.B.
현재 조나단 리카리 O.S.B.
규모 595명 (사제 345명)
종교 가톨릭
소속 베네딕도회, 베네딕도회 총연합
모원 미국 펜실베이니아 라트롭 성 빈센트 대수도원
(300 Fraser Purchase Rd, Latrobe, PA 15650 USA)
<nopad>
언어별 명칭
{{{#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6733,#346733> 라틴어 <colbgcolor=#fff,#1f2023>Congregatio Americana Casin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
영어 American-Cassinese Benedictine Congregation
스페인어 Congregación benedictina americano-casinense
포르투갈어 Congregação Beneditina Americano-Cassinense
프랑스어 Congrégation américano-cassinaise
이탈리아어 Congregazione Benedettina Americana Cassinese
중국어(번체) 本篤會美國卡西尼修會
일본어 ベネディクト会・アメリカ・カシネーゼ連合会
}}}}}}}}}}}} ||
링크
{{{#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46733,#346733> 웹사이트 <colbgcolor=#fff,#1f2023>파일:the-american-cassinese-congregation-coat-of-arms_.png 홈페이지 }}}}}}}}}}}}
1. 개요2. 역사
2.1. 설립과 제도화2.2. 20세기 초의 확장과 성장2.3. 냉전기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2.4. 오늘날의 연합회
3. 역대 총재아빠스4. 소속 수도원
파일:리카리 아빠스 축복식.jpg
조나단 리카리 총재아빠스 축복식 기념 사진[1]

1. 개요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는 성 베네딕도 수도규칙을 따르는 베네딕도회 수도원들의 연합체로, 1855년 교황 비오 9세의 인가 아래 미국 펜실베이니아성 빈센트 대수도원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는 이탈리아 카시노 연합회의 제도적 구조를 본보기로 삼았으며, 미국 각지에 독립된 수도원을 세우고 교육, 사목, 선교 활동을 전개하였다. 20세기에는 브라질, 대만, 일본 등 해외에도 수도원을 설립하였고, 베네딕도회 총연합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역사

2.1. 설립과 제도화

1846년, 독일 바이에른 메텐 수도원(Metten Abbey) 소속의 보니파스 빔머(Boniface Wimmer) 신부는 유럽 사회의 급속한 세속화와 교회의 위축에 직면한 가운데, 새로운 수도생활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그는 특히 미국으로 이주하는 독일계 가톨릭 이민자들의 종교적 필요에 주목하였다. 빔머 신부는 미국 내 이민 공동체에 수도적 돌봄과 교육, 사목 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당시 메텐 수도원 및 수도원이 속해있던 바이에른 연합회의 지원을 받아 미국 선교를 준비하였다. 교황청과의 교섭을 통해 미국 내 선교 활동을 위한 파견 승인을 받은 빔머 신부는 동료 수도사들과 함께 출국 준비를 마치고 미국으로 향하였다.

미국에 도착한 빔머 신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라트로브(Latrobe)에 성 빈센트 대수도원(Saint Vincent Abbey)을 설립하였다. 이 수도원은 미국 내 첫 번째 베네딕도회 수도원이었으며, 독일계 가톨릭 이민자들을 위한 사목 활동과 수도생활의 정착을 목표로 하였다. 빔머 신부는 유럽 베네딕도 전통을 바탕으로 미국 상황에 맞는 공동체를 조직하였고, 수도사들은 베네딕도 수도규칙의 모토에 따라 전례와 노동을 병행하며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1855년, 교황 비오 9세는 성 빈센트 대수도원을 중심으로 미국 내에 설립된 베네딕도 수도원들을 하나의 연합체로 승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미주의 베네딕도회 연합회가 공식 출범하였다. 연합회의 이름은 연합회가 위치한 지리적 이름인 '아메리카'와, 이탈리아카시노 연합회의 제도와 규율을 본보기로 삼았음을 나타내는 '카시노'가 합해져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American-Cassinese Benedictine Congregation)로 정해졌다. 각 수도원은 자치권을 보장받은 상태에서 정기 총회를 통해 공동 규율을 논의하고, 총재아빠스의 지도 아래 협력 체계를 유지하였다.

19세기 후반, 연합회는 미국 전역으로 수도원 설립을 확대하였다. 미네소타주의 성 요한 수도원(St. John's Abbey), 캔자스주의 성 베네딕도 수도원(St. Benedict's Abbey), 뉴저지주의 뉴어크 수도원(Newark Abbey) 등이 설립되었고, 각 수도원은 해당 지역 교구와 협력하여 본당 사목과 교육 활동을 함께 수행하였다. 수사들은 이민자 공동체에 파견되어 미사 집전, 교리 교육, 고해성사 등 사목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또한, 연합회는 사제 양성과 청년 교육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였다. 성 빈센트 대학(Saint Vincent College), 성 요한 대학교(St. John’s University), 벨몬트 애비 대학(Belmont Abbey College) 등은 연합회가 운영한 대표적인 교육 기관이다. 이들 학교는 사제 양성뿐만 아니라 일반 신자들의 고등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20세기 초까지 연합회는 수도원 수와 수사 수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미국 내 베네딕도회 수도생활의 제도적 정착을 완성하였다.

2.2. 20세기 초의 확장과 성장

20세기 초,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는 수도원의 수와 수도사 수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기존 수도원들은 인접 지역에 분원을 설립하거나 새로운 수도원을 지원하였으며, 일부 수도원은 수도사 양성과 사도직 운영에 필요한 건물을 확장하였다. 이 시기 연합회는 교육 기관 운영을 강화하고, 고등교육 수준의 학문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성 빈센트 대수도원과 성 요한 수도원을 비롯한 수도원 부속 대학들은 교과과정 정비, 교수진 확보, 도서관 확충 등을 통해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수사들은 교육 외에도 출판, 전례, 음악,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수도원 내 인쇄소를 활용하여 교리서, 전례서, 학교 교재 등을 출판하였고, 일부 수도원은 성가대 활동과 작곡을 통해 전례 음악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수도 공동체의 자급자족을 위한 농장 경영이 계속되며 농업 부문에서 사회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는데, 일부 수도원은 지역사회에 농업 기술을 보급하는 수준에 이르기도 하였다.

이 시기 연합회는 미국 외 지역으로의 수도원 설립 가능성도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남아메리카동아시아 지역이 잠재적 선교지로 고려되었으며, 일부 수도사들이 해외 선교를 위한 준비 과정을 밟았다. 다만 본격적인 해외 수도원 설립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미루어지게 된다.

제1차 세계대전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에도 연합회의 활동은 계속되었다. 여러 수도원이 전시 상황에 따라 신학생 입학의 감소, 수사들의 병역 참여, 운영 재정의 제약 등을 겪었으나, 교육과 사목 활동은 중단되지 않았다. 일부 수사는 군종대교구의 군인 사목에 참여하여 병영 내에서 종교 활동을 지원하였고, 본당을 맡은 수사들은 지역 공동체의 안정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였다.

2.3. 냉전기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

1950년대 이후,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회 변화와 교회 내부 개혁의 흐름에 직면하게 되었다. 냉전 체제가 형성되는 가운데, 미국 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세속화 과정을 겪었으며, 가톨릭 교회 내부에서는 전례와 수도생활에 대한 재검토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연합회는 수도생활의 정체성과 사회적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에 직면하였다.

1962년부터 1965년까지 개최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연합회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공의회는 수도생활의 본래 정신으로의 회귀와 시대에 맞는 개방적 태도를 강조하였으며, 그에 따라 여러 수도원에서는 전례 언어의 현지어 사용, 공동체 생활의 재조정, 복장 간소화, 수도 규칙 해석의 유연화 등을 시행하였다. 연합회 차원에서도 총회에서의 논의와 공동 지침 마련을 통해 수도생활의 쇄신을 추진하였다.

이 시기부터 성소 감소 현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1950년대 말까지도 수도자 수는 증가세를 보였으나, 1960년대 후반부터는 신규 수도 지원자의 수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여러 수도원은 양성 체계를 개편하고, 청년층 대상의 영성 프로그램, 학교 사목, 청소년 선교 등의 활동을 강화하였다. 성소 부족으로 인해 일부 수도원은 규모를 축소하거나, 부속 학교와의 관계를 재조정하기도 하였다.

국제적 활동도 이 시기 확대되었다. 브라질대만 등지에서 본격적인 선교 수도원 설립이 이루어졌으며, 수도사들이 현지 문화와 언어를 익히고 교육·사목 활동을 병행하였다. 일부 수도원은 해외 수도회와의 교류를 통해 수도생활 경험을 공유하였으며, 베네딕도회 총연합 내부의 협력도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졌다.

2.4. 오늘날의 연합회

1990년대 이후,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는 지속적인 성소 감소와 수도원 공동체의 고령화에 직면하였다. 많은 수도원이 신규 입회자의 부족으로 인해 규모를 축소하거나, 과거에 비해 활동 범위를 조정하였다. 일부 수도원은 교육 기관이나 본당 사목 등 기존 사도직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에 따라 외부 사제나 평신도 전문가와의 협력 구조가 확대되었다. 수도원 운영 방식은 인원 감소에 따라 간소화되었으며, 공동체 생활의 재조정과 고령 수도자 돌봄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연합회는 수도생활의 지속 가능성과 사도직 방향을 모색하였다. 각 수도원은 전통적인 규칙과 현대 사회의 요구를 조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영성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수도원 개방, 온라인 매체 활용 등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사목 활동을 실험하였다. 일부 수도원은 피정, 영성 지도, 성경 공부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였다. 연합회 차원에서도 구조 조정이 이루어졌다. 장상들은 총회를 통해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고령화와 인원 감소에 대응한 연합회 내 상호 지원 체계와 수도원 간 자원 공유를 추진하였다.

오늘날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기도, 공동체, 환대의 가치를 중심에 두고 베네딕도회의 전통을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3. 역대 총재아빠스

4. 소속 수도원


[1] 주교관을 쓴 인물 중 안경을 쓴 인물은 미국 뉴어크교구 보좌주교이자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의 전임 총재아빠스를 지낸 엘리아스 로렌조 주교. 그 옆의 인물이 현임 총재아빠스인 리카리 아빠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