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포메트 Baphomet | |
|
|
바포메트의 상징 |
1. 개요
기독교 신비주의 전설에서 등장하는 악마로, 악마 숭배자들이 주로 섬기는 신이다.2. 특징
새 혹은 박쥐의 날개, 염소 또는 산양의 머리와 하반신, 인간 여성의 상반신을 가진 악마다. 흑미사를 주관하며 양성구유의 모습을 하는 등 극히 음란한 조형을 하고 있다. 13세기경 성전 기사단이 언급한 것이 최초라는 주장도 있으나, 실제 문헌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건 1195년에 음유시인 Gavaudan이 쓴 시에 "Bafometz"라는 이름이 나오면서부터다.성전 기사단이 프랑스 왕국의 필리프 4세에게 탄압받을 때 고문을 당한 많은 프랑스인 기사들이 바포메트를 자주 언급했으나 사람마다 묘사하는 바가 서로 달랐고, 아예 모른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수백 년 뒤에 사람들이 유사역사학을 이용해 바포메트와 프리메이슨을 연결시키는 음모론을 만들어냈고 19세기 Eliphas Levi라는 사람이 Dogme et Rituel de la Haute Magie를 내면서 표지에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뿔 달린 염소나 산양 머리에 날개가 달린 인간의 모습을 한 바포메트를 그렸는데 그것이 현재의 이미지까지 내려왔다.
바포메트라는 이름의 기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제일 유력한 건 마호메트(무함마드)의 옛 프랑스어가 변질된 것이라는 설이다. 십자군 전쟁 당시 중동에 오랫동안 주둔하고 있던 기사단 중 일부는 점차 이슬람의 생각을 신앙 체계에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1987년에 나온 성전기사단과 그들의 신화(The Knights Templar and their Myth, Peter Partner)에 의하면 성전기사단 재판에서 이들의 주요한 죄목 중 하나는 바포메트=마호메트라는 이교도의 우상 머리[1]를 숭배한 것이라고 한다. 같은 책에는 기사단이라고 여겨지는 음유시인이 프로방스 방언으로 쓴 시도 인용되어 있는데, 1265년 당시 십자군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던 전황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매일 저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패배를 안겨주네. 우리의 편에 서서 지켜주는 신은 지금 잠들어있고 마호메트(Bafometz)는 술탄을 돕기 위해 더욱더 그 힘을 쏟아붓노라."
무슬림들이 무함마드에 대해 '마호메트'라고 표기하는 것을 불쾌해하는 이유 중 하나도 마호메트라는 표기가 '바포메트'와 비슷하여 일부러 이슬람을 적대/비하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2]
바포메트는 소피아, 즉 지혜의 암호라는 설도 존재한다. 바포멧을 모음을 배제하는 히브리어의 방식으로 적은 다음에 그것을 성경에서 자주 사용된 아트바시(atbash) 암호체계[3]를 사용하면 sofya, 즉 고대 그리스어로 지혜가 된다. 이 지혜 숭배가 문제가 되는 것은 영지주의를 주장하던 유명한 기독교의 이단인 그노시스파와 엮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영지주의, 소피아 문서 참고.
여기서 한 술 더 떠서 초고대문명설을 주장하는 그레이엄 핸콕은 이 지혜가 초고대문명의 유산이라는 비약이 심한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3. 대중 문화 속의 바포메트
- 강철전기 C21과 코즈믹 브레이크 - 바포그리즈
-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 티타누스 바포메트[4]
-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 바포메트
- 데스티니 차일드 - 바포메
- 둠 시리즈 - 아이콘 오브 신
- 디지몬 시리즈 - 메피스몬, 가르프몬, 벨페몬
- 라그나로크 온라인 - 바포메트, 바포메트 주니어[5]
- 마피아42 - 교주 보석 파이라이트 16강 바포메트
- 베르세르크(만화) - 사교도 교단
- 보스였음 - 바포메트
- 사신 짱 드롭킥 - 악마 A
- 섀도우버스 - 바포메트
- 서울괴담 - 10번째 에피소드 '방탈출(Escape Game)'의 주요 소재로 등장한다.
- 아이작의 번제 - 사탄
- 여신전생 시리즈 - 바포메트
- 왕벽한 멸멍의 날: Patches' Infurno - 바포멧[6]
- 유희왕 - 바포메트[7], DD 바포메트, 창성신 sophia
- 청의 엑소시스트 - 아스타르토(주인공 찾은 악마)
펌프 잇 업 - 1949(펌프 잇 업)[8]- 핸섬가이즈 - 바포메트[9]
- 헬테이커 - 바포메트
- Evil Nun - 2층에 바포메트의 공간이 따로 있다. 아주 옛날에는 탈출에 꼭 필요한 곳이었으나, 지금은 그냥 열기구 엔딩을 보려면 필요한 퀘스트 중 하나가 되었다.
- Infernax - 주인공인 앨시도르 공작의 성향이 극선일때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 Pony Island - Baphomet
- Warhammer 40,000 - 슬라네쉬 고위 악마 키퍼 오브 시크릿[10]
[1] 이걸 세례자 요한의 머리로 보는 이들도 있다.[2] 다른 이유로는 무함마드를 마호메트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기독교인들의 발음대로 부르는 것이기 때문에 원전대로 발음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3] 문자체계의 첫 번째 문자를 마지막 문자로 바꾸고, 2번째 글자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로... 이렇게 전체를 역순으로 하는 형태로 만든 암호체제. 알파벳 기준이면 a=z, b=y... 뭐 이런 식이 된다. 단적으로 성서의 세샥이 이 방식으로 해석하면 바빌론이 된다는 식이다.[4] 직접적으로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았지만 이름이 등장한다.[5] 바포메트의 미니어처 버전. 바포메트가 소환하는 슬레이브 몬스터로도 등장하지만 일부 던전에서는 단독으로 출현하며, 펫으로 테이밍 가능하다. 덤으로 이 녀석을 펫으로 데리고 있을 때 퍼포먼스를 시켜보면 나오는 모션 중 술을 마시는 게 있다. 그것도 병나발로(...).[6] Baphomet이 아닌 Bapawmet이다.[7] 정발 게임 내 명칭이나 북미판 명칭은 각각 '버포멧'과 Berfomet으로 다르지만 일판 원칭은 바포메트다.[8] 게임내 BGA패치 이후 지워지거나 해골로 대체되었다.[9] 영화에서는 프랑스의 오컬트학자 스타니슬라스 데 과이타가 그린 오망성 염소 펜타그램까지도 자세히 표현하고 있다. #[10] 동물의 머리와 뿔, 외설적이고 기괴한 생김새 등 바포메트에서 따온 형상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