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0 05:48:35

리아 리플리

파일:RHEA RIPLEY OF JAPAN SUPER SHOW.jpg
RHEA RIPLEY
1. 프로필2. 소개3. 경력4. 평가5. 기타6. 둘러보기

1. 프로필

파일:Rhea_PROFILE.png
RAW
<colbgcolor=#fff><colcolor=#eb1926> 링네임 <colbgcolor=white,#1f2023>Demi Bennett
Rhea Ripley
본명 Demi Bennett
(데미 베넷)
생년월일 1996년 10월 11일 ([age(1996-10-11)]세)
출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애들레이드
175cm (5'9")[1]
체중 77kg (170lbs)
별칭 The Nightmare
The Eradicator[2]
Mami[3]
가족관계 배우자 버디 매튜스
유형 테크니션 + 파워하우스
피니쉬 무브 립타이드[4]
프리즘 트랩[5]
주요 커리어 RCW 위민스 챔피언 2회
NXT UK 위민스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 (2018)[6]
NXT UK 위민스 챔피언 1회[7]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RAW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스맥다운 / 위민스 월드 챔피언 2회[8]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2023년 여성 로얄럼블 우승
테마곡 Black Night
Final Straw
Brutality
Demon In Your Dreams[9]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Demon In Your Dreams

2. 소개

파일:030_JEWEL_11042023CA_27807--2b5a8383cac95fd76e13c01bc1a2b518.jpg
THIS IS MY BRUTALITY
"Mami's Always On Top!!"

호주WWE 소속 프로레슬러.

3.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아 리플리/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아 리플리/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아 리플리/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비앙카 벨레어, 이요 스카이와 함께 포 호스위민의 뒤를 잇는 WWE 여성부의 얼굴이자 성공적인 여성부 세대교체의 주인공. 경기력 뿐 아니라 스타성 및 상품성도 남성부까지 통틀어 다섯손가락 안에 들 만큼 2020년대 WWE를 대표하는 스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NXT 위민스 디비전에서 희귀한 최상급에 해당하는 우수한 체격과 강력한 힘을 갖춘 파워하우스 계열[10]로 강해 보이는 외형과 카리스마가 여성판 빌 골드버그를 보는 것 같다는 평이 많다. 경기력도 NXT의 실력자들과 경기하며 빠르게 수준급으로 올라섰다. 특히 샬럿 플레어와의 경기에서 보듯 본인처럼 크고 운동능력 좋은 장사 체형의 선수와 더 잘 어울린단 평이 많다. 투샷 잡혔을 때 그림도 좋고. 다만 작은 체구의 이요 스카이와 연달아 명경기를 만들어내는 등 경기력도 충분히 인정받고 있다. 그외에 기술 접수에도 탁월한 면을 보인다.

기대에 걸맞게 데뷔 초부터 빠르게 강푸쉬를 받았다. 2019년 8월 NXT에 데뷔하여 무적의 탑힐이던 셰이나 베이즐러를 연달아 압도하더니 데뷔 넉 달 만에 셰이나를 꺾고 NXT 위민스 타이틀을 차지하고, 서바이버 시리즈 2019에선 팀 NXT 로스터의 주장을 맡았다. 심지어 이듬해 레슬매니아 36에서는 NXT 소속으로 레슬매니아 데뷔전을 치렀는데 로얄럼블 우승자였던 샬럿 플레어를 도발해 자신의 NXT 위민스 타이틀에 도전하게끔 만들었다. 정식으로 메인로스터에 승격한 2021년에는 레슬매니아 37에서 아스카를 꺾고 RAW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했으며 이후 샬럿과 타이틀을 놓고 상반기 내내 대립하는 등 젊은 신성임에도 비앙카 벨레어와 함께 포스트 포 호스위민 시대를 이끌어갈 여성 메인이벤터로 낙점 받았다.

섬머슬램 2021에서 최종적으로 패한 뒤 1선 타이틀 전선에서 태그팀 전선으로 밀려나며 입지가 약해졌으나 2022년 5월 선수경력의 터닝포인트가 된 저지먼트 데이에 합류하며 전성기의 토대를 마련했다.

팀 내 포지션은 실질적인 리더. 본인이 합류한지 한 달도 안 돼 후배 육성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던 에지가 축출되며 위기를 맞었는데 이는 오히려 기회로 작용했다. 남아있는 멤버들끼리 리더 없이 팀을 수습할 때 가장 적극적으로 깽판을 주도한 멤버. 같은 여성을 상대할 땐 상대를 경기에서 압도하면서 접수 능력 및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셀링을 하고, 동료 남성 레슬러들이 경기할 때는 링 밖에서 경기 흐름에 맞춰 다양한 개입 활동을 통해 경기의 주도권을 저지먼트 데이 쪽으로 가져오는 서포터로 몰입을 높여주었다. 상대팀으로선 리아는 자신들에게 슬램 계열의 기술로 확실한 한 방을 먹일 수 있는 장사인데, 정작 자신들은 상대가 여자라 보복을 못하니 그녀가 대단히 위협적일 수밖에 없다. 중계진도 그녀를 가리켜 "저지먼트 데이를 상대할 땐 머리 뒤에도 눈이 있어야 하는 이유" 라든가 "저지먼트 데이의 가장 사악한(the most wicked) 멤버", "difference maker"라 칭하는 등 막내임에도 가장 위험한 멤버로 손꼽혔다.

이후 도미닉 미스테리오 합류 각본에서도 여자임을 이용해 핀 밸러와 데미안 프리스트의 방패 역할을 하거나 도미닉을 완력으로 제압해 끌고 나오는 등 팀의 조커로 맹활약했다. 도미닉 타락의 주범으로 저지먼트 데이에 합류시킨 뒤에는 막내 자리는 도미닉에게 넘겨주고 가족들을 뒷바라지하는 억척스러운 홍일점으로 활약했다. 도미닉의 '마미'를 자처하며 함께 나올 때마다 보여주는 엄마 미소는 덤. 덕분에 도미닉은 얼굴만 비춰도 쇼가 재밌어지는 치트키 수준으로 성장했고, 리아 또한 모든 것이 미숙한 도미닉의 보호자이자 선배의 면모 그리고 남녀 간의 케미를 통해 포악무도한 캐릭터에 자연스레 변화를 주는 등 상호이득을 보았다. 둘의 케미가 좋다보니 현실에선 각자 짝이 있음에도[11] 진짜 사귀냐는 반 농담까지 나올 정도.

다만 여자라는 이유로 남성 선수들이 리아에게 손을 못 대는 반면, 리아는 상대편 남자들을 무자비하게 두들겨 패는 모습 때문에 일각에선 역반응도 슬슬 올라왔다. 리아의 잘못이라기보단 PC 세력 눈치를 봐서 그런 것이란 눈초리가 팬덤에 깔려있다.[12] 이에 대한 대처로 저지먼트 데이의 대립 상대들도 리아를 의식해 디 O.C는 여성 멤버인 미아 임을 영입하고, 레가도 델 판타스마젤리나 베가가 소속되어 있고, 에지는 아내인 베스 피닉스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대항하는 중.[13]

2023년 들어선 로얄럼블과 레슬매니아에서 보여준 맹활약으로 큰 환호를 받았다. 특히 레슬매니아 39 둘째 날 메인이벤트가 끔찍한 참사로 끝나버린지라 리아와 샬럿의 매치가 사실상 레슬매니아 39의 진짜 메인이벤트였다는 평가까지 있을 정도다. WWE의 경기에 박한 평가를 하는 데이브 멜처도 샬럿과의 레슬매니아 경기를 두고 'WWE 여성 디비전 사상 최고의 경기'라고 평했을 정도. 그녀를 2017년 매 영 클래식 때부터 지켜봐온 폴 르백은 레슬매니아 39 기자회견에서 "로만 레인즈가 스토리텔링과 캐릭터에서 격이 다른데(diffent level) 리아가 그 수준에 도달했다." 라는 극찬을 했다. '이제 정점에 올랐다' 싶으면 6개월 뒤 '아직도 정점이 아니구나.' 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그리고 이 때부터 팀 내에서 실질적인 리더로 막강한 발언권과 카리스마를 보여주었다. 도미닉은 물론 벨러와 프리스트도 리아 앞에선 한 수 접을 정도였고[14], 팀의 대표로 나선 폴 헤이먼과 단독회동에선 로만 레인즈의 "나를 인정해라(Acknowledge Me)"라는 대사를 인용하며 상당한 카리스마를 자랑하였다.#

챔피언에 등극한 이후론 악역 스테이블인 저지먼트 데이임에도 엄청난 환호를 받는 최상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남성 선수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어 2023년 상품판매량 TOP10에 대부분 이름을 올릴 정도로 대단한 상품성을 보여주었다. 서바이버 시리즈 2023에서는 마이클 콜이 "사전에서 'STAR'를 검색하면 리아 리플리의 이름이 나온다." 라는 발언을 하고 폴 르백이 이를 인용하는 등 이미 회사 간판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15] 2024년 7월 석 달의 공백을 깨고 복귀했을 때 큰 환호가 쏟아졌으며, 이 때부터 여성 디비전을 넘어 코디 로즈, 로만 레인즈 등과 함께 회사 전체를 대표하는 스타로 인정받고 있다. 팬미팅이 200달러가 넘는 높은 가격에 판매됨에도 가장 먼저 매진되는 등 현재 인기와 위상은 남녀 통틀어 최상위다.

업계 전설들 사이에서도 평이 좋은데 위의 폴 르백의 칭찬과 함께 스티브 오스틴스테파니 맥맨과의 대담에서 그녀에 대해 "플로리다에서 만났을 때[16] 그 어린 소녀가 참 인상적이었다. 그녀는 미모와 탄탄한 골격(solid frame)을 갖추었고 계속 발전하고 있어. 왜냐면 그녀는 모두가 유능한 인재(blue-chipper)임을 알고 있으니까."라며 "난 아직도 그녀가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다 생각해. 그래서 그녀의 미래 또는 현재가 기대돼. 왜냐면 사람들은 그녀가 가져올 긍정적인 측면 때문에 그녀에게 푹 빠졌거든. 그녀는 모든 걸 가져올 수 있어. 그녀는 원하는 대로 체크박스에 표기할 수 있지." 라는 극찬을 해주었다.

5. 기타

  • 그러던 어느 날 본인 가족과 그 친구 가족이 함께 퀸즐랜드로 여행을 떠나던 중 호주에서 열리는 레슬링 쇼를 우연히 목격하였다. 본인은 여태 호주에서도 레슬링 쇼가 있는 줄은 몰라서 어안이 벙벙했다고. 어쨌든 친구와 함께 어른들을 졸라 그 날의 쇼를 관람했고 그날 이후로 완전히 레슬링 세계에 빠져들었다. 여행을 다녀온 후에는 호주의 단체들을 찾던 중 'Riot City Wrestling'을 알게 되었고 13~14세의 나이에 2년 정도 쇼를 관람하다[17] 16세 때 트라이아웃에 합격해 그 단체의 일원이 되었다. 17세에는 단체의 지원으로 뉴질랜드 여성과 함께 일본에서 석 달 간 머물기도 했다. 본인도 RCW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며 고마운 마음을 갖고 있다.
  • 트리플 H와 미즈, CM 펑크의 팬이었으며, 미즈를 특히 더 좋아했다.
    • 2019년 할로윈 특집 NXT에서 트리플 H의 옛 복장으로 코스프레를 한 적 있다. #[18] 2020년 4월에는 트리플 H의 데뷔 25주년을 맞아 당시 복장 사진을 올려 감사인사를 전했다. # 매 영 클래식 이후 리아는 폴 르백의 신임을 받아 스타로 성공했고 리아 역시 그를 아버지 같은 존재라며 고마워하고 있다.
    • 2021년 11월 더 락의 데뷔 25주년을 맞아 후배들이 락의 과거 의상을 코스프레 할 때 '패니 팩(Fanny Pack)' 복장을 코스프레 한 적 있다. #
    • 리아가 CM 펑크를 좋아하듯 펑크도 리아를 언제나 극찬하고 있다. 여담으로 2023년 12월 하우스쇼에서 도미닉 미스테리오와 경기하는 CM 펑크를 심판 몰래 가격한 적은 있다. 때려놓곤 아무 일도 없었던 듯 팬 카메라에 해맑은 눈웃음을 지어보이는 것이 포인트. # 2025년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인 언리얼 홍보 인터뷰는 두 사람이 함께 맡았다.
    • 에지도 자신의 우상으로 여겼으며 그가 2011년 은퇴했을 때 울었음을 고백했다. #[19] 세월이 흘러 레슬매니아 37 백스테이지에서 전섲럭인 대선배와 대화를 나누었다. 에지가 눈물을 흘리고 있는 모습을 리아가 목격했고 에지는 리아에게 윙크와 함께 고개를 끄덕이며 "리아 너도 이 순간을 맞이하게 되었구나. 넌 링을 휩쓸게 분명해."라고 해줬다고 한다. 이에 리아는 엄청나게 감동했다고.[20] 그리고 2022년 5월 저지먼트 데이에 리아가 가입하여 링 내에서도 인연을 이어가게 되었다. 2023년 에지가 팟캐스트 'WWE After The Bell'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저지먼트 데이를 구상할 때 처음부터 데미안, 리아, 핀 밸러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다만 회사에서 밸러의 입단과 동시에 에지가 축출되며 선역 전환할 것을 결정했을 땐 모두가 화 나고 속상해했다고.
  • 존경하는 여성 선배로는 차이나베스 피닉스를 늘 언급한다. 후술하겠지만 리아는 10대 때부터 타고난 넓은 어깨와 근육질 몸 때문에 '여자 아니고 남자 같다'는 소리를 들으며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렸는데 강인한 외모에 남자들과도 겨루는 두 사람을 보며 용기를 얻으며 자연스레 우상화하게 되었다.
    • 본인과 차이나를 비교하는 질문을 수차례 받아왔는데 "영광이고 특권이지만, 난 첫 번째 리아 리플리이고 싶다."라는 일관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WWE 페이백(2023)에서 입고 나온 의상은 차이나의 과거의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며 본인도 💜 댓글을 달며 긍정하였다. #
    • 베스 피닉스는 싸워보고 싶은 꿈의 상대로 꼽는 선배이다. 2023년 인터뷰에서 밝히길 베스의 외모를 비난하는 어떤 글을 봤을 때 외모 때문에 놀림당했던 자신의 과거가 떠올라 정말 싫었지만 그럼에도 이에 신경쓰지 않고 늘 그녀 자신답게 행동하는 점이 존경스러웠다고. 그리고 2022~23년 싱글매치는 아니었지만 서로 적으로 마주하며 소원을 이루었다.
    • 그 외에도 케이틀린AJ 리를 좋아했으며 2025년 AJ 리의 복귀 때 인스타스토리로 환영의 메시지를 올렸다.
파일:G123042XoAAjMrB.jpg
크리스 모션리스와 함께. 학창 시절 그리고 레슬매니아 40
  • 헤비메탈 장르의 열렬한 팬으로 파파 로치, Of Mice & Men을 좋아했다. 학창 시절 구석에서 'Of Mice & Men'의 노래를 들으며 헤드배잉을 하다 사람들의 비웃음을 산 적도 있다고. 이후 가장 좋아하는 가수로 Motionless in White를 늘 언급하고 있다. 고스 룩 메이크업도 메인보컬인 크리스 모션리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녀의 테마곡인 'Demon in your Dreams'도 리아가 먼저 협업을 요청한 것이다. 덕분에 멤버들과 친분도 쌓았으며 레슬매니아 40에서는 입장할 때 라이브공연도 했다.
  • 취미는 악마 관련 상품과 박제 수집으로 쉬는 날에는 잔뜩 구매해 집에 전시하고 있다.
  • 입장로에서 늘 부츠로 바닥을 한 번 찍는 발구르기(stomp)를 하고 있다. 이는 2012년 오토바이 사고로 사망한 수어사이드 사일런스의 보컬인 故 미치 러커(Mitch Lucker)를 기리기 위함으로 러커 스텀프(Luker Stomp)라 부른다. 2018년 매 영 클래식 시즌 2에서부터 시작하여 이제는 완전히 그녀를 상징하는 동작이 되었다. 수어사이드 사일런스 멤버들도 선물을 보내며 고마움을 표했다. #
  • 또 하나의 상징적인 동작으로 핀폴 시 상대의 다리를 머리까지 올려 C자 형태로 접어버리는 특유의 핀 자세가 있다. 호주 시절부터 트레이너들이 이를 '섹시 핀'이라 불렀고 자신도 같이 "Ha! Sexy Pin!"이라 부르며 웃었다고. 그러다보니 어느새 머리에 박혀 지금도 자동으로 "하! 섹시핀!" 소리가 나온다고 한다.
  • 2024년 6월 같은 호주인 레슬러인 버디 매튜스와 교제 끝에 결혼했다. 드레스 색은 리아 답게 검은색으로 입었다. 미아 임처럼 아내는 WWE, 남편이 AEW 소속인 부부.
  • 어릴 때부터 럭비, 수영, 가라테, 네트볼 등 여러 운동을 배웠으며 축구는 호주 풀럼 유나이티드 팀에서 선수생활을 한 바 있다. AFL 구단들 중에선 고향팀 애들레이드 크로우즈를 응원한다. 본인 팀 경기가 없을 땐 남편이 응원하는 칼튼 풋볼 클럽 유니폼을 입을 때도 있다.
  • 데드리프트 335lbs(약 152kg) #, 벤치프레스 185lbs (약 84kg) # 수행하는 영상을 올린 적 있다. 악력은 125.8lbs (약 57kg)를 기록했다. 이 수치가 코너 맥그리거의 123lbs 수치(약 55.8kg)보다 높게 나오자 본인도 윙크 이모티콘을 올려 나름의 기념을 하기도 #. 한편 리브 모건의 74.2lbs (약 34kg) 수치를 보고 조롱하는 영상을 찍기도 했다.
  • 쇼에서 보여주는 살벌한 피지컬과 비주얼 때문에 간과하기 쉽지만 굉장히 이른 나이에 입문했다. 호주 프로레슬링 입문은 10대 때, WWE 계약 체결은 만20세, 메인 로스터 승격시에도 24세에 불과했다. 그런 어린 나이에도 2020년과 2021년, 2023년에 걸쳐 샬럿 플레어와 대립 구도를 형성했는데 둘의 나이차는 10살 차. 심지어 메인로스터 승격과 동시에 엮였던 아스카와는 무려 15살 차이다. 엄마와 아들로 묶이는[21] 도미닉 미스테리오와는 불과 6개월 차이이다. 심지어 자신보다 후발주자인 줄리아, 스테파니 바케르보다 어리다. 메인 로스터에 등재된 여성 선수들 중에서 리플리보다 어린 선수로는 티파니 스트랫턴, 록샌 페레즈, 키아나 제임스, 맥신 듀프리에 불과하다.
  • 퍼포먼스 센터의 수련생 당시 스카티 투 하티의 지도를 받은 제자였다. 하티가 '가장 교감하며 아버지가 된 것처럼 느끼게 해준 제자가 있었느냐' 라는 질문에 리아와 라켈 로드리게즈라 답한 바 있다. 리아 역시 하티에게 존경심을 표했다. #
  • 친화력이 좋아 NXT 시절부터 함께 해온 여러 동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NXT 시절부터 함께 성장했던 비앙카 벨레어, 라켈 로드리게즈와 친하다. 특히 2021년 세 사람이 각각 WWE의 3개 브랜드쇼의 챔피언이 되어 NXT 무대에서 재회했던 순간을 특별한 순간으로 꼽았다.
    • 저지먼트 데이 멤버들을 '가족'이라 부르며, 그 때부터 관중들 앞에 나서기 편해졌다며 자신의 커리어에 큰 도움이 된 것에 고마워하고 있다. 2024년 섬머슬램을 끝으로 스테이블에서 축출된 뒤 무대 뒤에서 누군가 울었다는 글이 인터넷에 돈 적 있는데 자신이 그랬다고 인정했다. 지난 2년 반의 시간이 이제 바뀌었으며 돌아갈 수도 없고, 정말 속상하고 슬펐다고.
    • 데미안 프리스트와 절친한 사이로 퍼포먼스 센터에서 처음 만나 연말 파티에서 음악 얘기를 나누다 친해졌다. 그녀의 상징적인 'Mami' 별명을 제안한 사람이기도 하다. 2022년 7월 레이 미스테리오의 WWE 데뷔 20주년 기념 RAW에서 리아는 2005년 도미닉 양육권 분쟁 각본 당시 에디 게레로가 입었던 'I'm your Papi' 티셔츠를 입고 등장했다. 이를 계기로 리아는 아빠 기믹을 밀어붙이려 했으나 회사에 거부당했는데, 이 때 데미안이 'Mami'를 제안하며 마미 별명을 얻었다. 이외에도 넷플릭스 시대를 개막하는 2025년 새해 첫 RAW에서 타이틀전을 앞두고 긴장하는 리아를 위해 조언도 해준 적도 있다. 데미안은 리아에 대해 지구 반대편으로 날아와 꿈을 이루고자 노력하는 것에 존경을 표하며, "변한 적이 없어. 내가 NXT에서 만난 소녀 그대로야. 모두에게 인정 많고, 남을 짓밟지 않고도 자신의 꿈을 이루고자 뭐든 할 사람"이라 극찬했다.
    • 도미닉 미스테리오와도 친하다. 도미닉과의 연인 각본을 하며 언제나 함께 다니며 스테이블 내에서도 특히 가까워졌는데, 덕분에 자신의 기믹이 다르게 변형될 수 있었다며 '자신의 또 다른 터닝포인트'라 생각한다고.
    • 이요 스카이와는 NXT 시절부터 깊이 존중하는 사이. 2025년 인터뷰에 따르면 레슬매니아 41 위민스 타이틀전을 삼자간으로 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폴 르백의 질문에 이요는 자격 있으므로 찬성의 입장을 밝혔고, 덕분에 세 사람의 명경기가 나올 수 있었다. 팬들의 현장영상을 보면 체격이 큰 리아가 이요를 안아 올리거나 들쳐업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각본상으로도 선의의 경쟁자 겸 천적으로 엮여[22] 워맨스를 선보였다. 팬들은 두 사람을 한데 묶어 'RHIYO'란 애칭을 붙여주었는데 이것이 유명해져 WWE 공식계정은 물론 본인들도 쓰는 공식 애칭이 되었다.
    • 토니 스톰과는 절친으로 16세 때부터 친구 사이였다. 이후 WWE 에볼루션(2018)에 출연한 것을 기념하여 함께 두 사람의 왼손목에 PLE 개최일인 10월 28일의 로마자 표기(X.XXVIII)를 문신으로 새겼다.
    • 드웨인 존슨의 딸인 에이바 #와 백스테이지 리포터인 캐시 켈리와도 친밀한데 이 쪽은 아예 우정 이상의 사랑 관계를 암시하는 영상을 많이 찍고 있다.
  • 데뷔 초에는 긴 금발머리를 자랑하던 지금과 다른 외모를 지녔다. 이 당시 '미니 샬럿' 등의 별명으로 선배 샬럿 플레어와 자주 비교당하며 본인에겐 상당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특히 2017년 매영 클래식에 참여했을 땐 본인의 첫 경기를 하기 전에 공포심에 사로잡혀 울었으며, 계속된 비평에 주눅들고 본인 스스로를 의심하여 호주로 귀국할 것을 고려하는 등 마음고생이 많았다.
  • 미국에 온 첫 해에는 수줍음과 함께 너무 달라지고 싶진 않다는 마음이 컸지만,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며 이듬 해부터 남들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비로소 진짜 자신을 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밴드와 존경하는 이들로부터 영감을 얻어가며 거기서부터 '리아 리플리'가 시작되었다고. 이처럼 머리를 짧게 자르는 등 이미지를 계속해서 바꾼 끝에 다른 여성들과 차별화된 모습을 갖게 되었다. 지금과 데뷔 초의 모습이 너무 달라서 국내 각종 커뮤니티에선 '대체 삼사장이 이 아가씨에게 무슨 짓을 한거냐?'는 식의 유머짤들이 올라오곤 한다. 머리도 처음엔 아예 검은색으로 염색했다가 나중엔 원래 색깔(갈색)에 검은 물을 뿌리는 식으로 간이염색하고 등장한다.
  • 쇼에서는 고스 룩을 한 '강한 여성'으로 무시무시한 포스를 자랑하지만, 쇼 바깥에서 보이는 모습은 순둥순둥하다. 데뷔 초 긴 머리 시절 모습이 실제 성격과 더 가깝다. 또한 화장을 지운 민낯 모습을 보면 링에서 보여주는 이미지와 확연히 다르다.
  • 소셜 미디어를 굉장히 싫어한다. 특히 큰 체격에 대해 시비를 거는 악성댓글에 스트레스에 이만저만 시달린 것이 아니었다. '남자 같다', '머리 길러라' 같은 말은 예사. 2020년 여성 레슬러들을 대상으로 한 노메이크업 화보 촬영 당시 대화의 시간에서 소셜미디어를 'Poison'이라 칭하며 정말 싫다고 말했다. 다행히 악플과 함께 성장하며 해를 거듭할수록 자신감을 얻었다고. 그러면서 약 2년 전엔 자신이 그 악플에 악영향을 받아 어리석고 나쁜 짓을 했다며 우울증에 빠져 자기 몸을 그어버린 적도 있었음을 고백했다. 어릴 땐 잡지 속 슈퍼모델 같은 몸을 원했지만 지금 자신은 그런 몸이 아니어도 행복다고 말했다.
  • 2020년 릴리안 가르시아가 진행하는 'Chasing Glory' 팟캐스트에 출연해 당시 자신의 불우했던 정신상태를 고백했다. 당시 심각한 신체이형(body dysmorphia)에 시달렸는데, 거울을 보며 '자신의 몸이 역겹다. 뱃살 쪘다.'라며 필요 이상으로 자책했다. 또한 피트니스 모델들을 보며 '저들 상당수는 스테로이드를 맞은 것 같다. 절대 안 해야지'라고 생각했다고. 다만 '이렇게 노력했는데 왜 다리가 안 자랄까' 하는 고민이 많았다고 한다. 또한 몸에 흉터가 있는데 이는 자신의 체형과 프로레슬러의 꿈에 시비 거는 사람들이 주는 정신적 고통을 이겨내고자 자해를 했기 때문이다. 자신이 그어버린 살갖에서 피가 펌핑하는 걸 보며 살아있음을 느꼈다고.
  • 2024년 인터뷰에 따르면 학창 시절 WWE에 관한 일을 하고 싶다 했을 때 주변에선 "바보 같은 꿈"이라며 반대가 많았으며 학교과제로 WWE를 언급했다는 이유로 교사에게 비웃음을 당하기도 했다. 이 일화를 공개한 리아는 "이에 대해 내가 할 말은 하나, 당신들 어딨는데?(Where are you guys?). 난 내 꿈을 실현하고자 여기에 왔다. 난 이 꿈을 위해 노력했는데, 저들은 하찮고 한심한 삶 속에 비참하게 있지. 그래, 나 고소해라." 라고 일갈했다.
  • 중요한 경기를 앞두고 부담감에 짓눌려 공황에 휩싸인 적이 몇 번 있다. 레슬매니아 40 때는 제이슨 조던이 그녀의 심신을 안정화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리아 역시 조던은 최고라고 말했다. #. 그 외 2025년 넷플릭스 시대를 여는 새해 첫 RAW에서는 울 뻔 했을 정도로 힘들었다고.
  • 레슬매니아 37 본인 경기를 앞두고 입장시간을 잘못 판단해 실수를 한 적 있다. 이날 리아의 입장곡인 'Brutality'를 애쉬 코스텔로(Ash Costello)가 연주할 예정이었는데 하필 이날 비 때문에 시간이 늦춰지며 리허설을 못한 채 쇼가 시작되었다. 본래 제작진이 신호를 주면 나가야 하는데, 고릴라 포지션에 대기하는 동안 가사가 잘 들리지 않았던 데다 '스텀프 언제 하나' 란 조급함에 제작진의 외침을 외면하고 후다닥 나가 곧장 스텀프를 해버렸다. 하지만 예정된 폭죽이 터지지 않자 그제서야 자신이 실수했음을 깨달았다. 펜데믹 이후 팬들에게 인사하는 자신의 첫 레매 명장면을 등장씬에서 만든 셈(...). 다행히 노래를 들으며 '이 때였구나'를 깨닫고 다시 한 번 스텀프를 해 폭죽을 터뜨릴 수 있었다.
  • 페이스 페인팅이 편하지는 않은지 하우스 쇼 경기에선 화장을 하지 않는다. 대신 방송에서 선보이는 강한 마미의 모습이 아닌 본래 성격대로 밝고 다정하면서도 장난꾸러기 모습을 보인다. 또한 경기복 하의를 잔뜩 끌어올려 엉덩이 전체를 노출하거나 리키시스팅크페이스를 하는 것이 반향을 일으켰는데, 이에 대해 2025년 7월 드류 맥킨타이어로건 폴 팟캐스트에 출연해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해 얘기하던 중 "WWE의 가장 강한 무기는 나야. 리아 리플리 엉덩이 빼고." 발언을 한 바 있다. 이 영상은 리아 엉덩이를 과장하여 로건 폴 채널 썸네일에 올라갔는데 이에 분노한 리아 팬들이 드류와 로건을 비난하자 리아가 "여러분 이해합니다. 하지만 악의는 없었어요." 라고 옹호해주었다.
  • 팬서비스가 좋다. 실제로도 장난끼가 있어서 캐릭터를 깨지 않는 선에서 팬서비스를 해주는 편. 악역일 때는 팬, 특히 어린아이들을 놀래키거나 본인 뺨을 때려보라며 도발하곤 했다. 링사이드에 엎어져 있을 때 팬이 신고 있는 신발끈을 풀어버리는 식의 깨알 같은 악역 팬서비스도 보여주기도 했다.[23] 선역 전환 후에는 선한 미소와 함께 다정히 대해준다.
  • 다만 팬이라도 선을 넘는 무례함은 단호히 거부하며 사생활에 대한 존중을 호소한다. 회사에서 마련한 팬미팅 장소가 아닌 팬 개인이 집 주소를 알아내 우편으로 보내는 편지 등은 열지 않고 죄다 버릴 정도. 2025년 발렌타이 데이 때는 미국의 자택에 웬 여성이 나타나 자신의 링 카메라를 빤히 쳐다보더니 문 매트에 "너는 해, 나는 달. 우린 함께 할 운명"이란 시를 써붙인 사건도 있었다. 다행히 사건 당시 자신은 호주의 자택에 있어서 그 여성과 직접 대면하진 않았다. 2025년 8월 31일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팬들이 사진 찍자고 몰려와 우버 택시와 사람들 사이에 갇혀 곤혹을 겪기도 했다. 이에 X에 "기억해. 우린 인간이야. 광분한 좀비 떼처럼 나 또는 누군가에게 몰려들지 마... 방금 내가 경험했듯 우버드라이버 문으로 밀려나고 둘러싸이는 일이 벌여져선 안 돼. 기본예의랑 인간성 좀 지키자. No는 No란 뜻이야. WTF." 이란 글을 올렸다. #
  • 2025년 3월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여자레슬링 팬들의 위선을 비판하는 을 올렸다.

여자레슬링 팬들은 "여자들은 더 나아질 자격이 있어"

동시에(Same breath)

- "그녀는 보스와 잔 덕분에 그 자리에 있는 것"
- "그녀는 은퇴해야 해"
- "그녀는 그럴 자격이 없어"
- "그녀는 모든 걸 건네받았을 뿐, 어떤 것도 해본 적 없다."
- "그녀가 부상당하길 바란다."

여성레슬러로서 당신들이야말로 진지하게 (여러분을 팬으로)받아주기 어려운 진정한 이유이다. 당신들이 성공한 여성들을 폄훼하는 만큼 당신들의 참담한 삶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어쩌면 스스로 뭔가를 해낼지도 모르겠다.
  • WWE 레슬매니아 39 홍보 영상 중 하나에 목소리만 나온 존 시나와 출연하여 기묘한 이야기라는 드라마를 패러디했는데 정신이 불안정한 초능력자인 리아가 존 시나가 자신의 명대사들을 비튼 말들을 하며 자극하자[24] 폭주하여 눈앞에 있는 캔을 비롯한 사물들을 날려버리는 내용이다. # 이때 캔을 잘 보면 'Flair'라고 적혀있는데 리아가 샬럿을 꺾고 챔피언에 오른다는 암시라 할 수 있다.
  • 펑크스러운 의상과 화장, 잘 단련된 근육질 몸매에 훤칠하게 큰 키 등이 엮여 오버워치의 정커퀸과 닮았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다. 마침 정커퀸도 스토리 설정상 호주 출신이다.
  • 독보적인 위상을 반영하듯 WWE 2K24에서 오버롤이 무려 96인데 DLC로 나온 2009 언더테이커와 동급이다. 후속작인 WWE 2K25에서도 96으로, 코디 로즈, OTC 로만, 언더테이커와 동급의 수치이다.
  • 학생 시절, '학교에 가기 싫다', '학교는 지루하다', '학교가 싫다'는 트윗을 올린 흑역사가 발굴되었다. 전형적인 사춘기에 접어든 소녀의 모습이였어서 팬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 학창 시절엔 아이들 앞에서 발표도 못하고 그저 자신만의 세게에서 음악과 운동에 푹 빠져 살았던 소녀였다.
  • 원피스의 새로운 거인족 캐릭터 리플리의 모티브가 그녀라는 설이 있다.[25] 본인도 알고 있어서 팬의 추측글에 하트를 누르기도 했다.

6. 둘러보기

파일:WWE_J_Day_2024.png
핀 밸러 도미닉 미스테리오 JD 맥도나
록샌 페레즈 리브 모건 라켈 로드리게즈
{{{#!wiki style="color: #333"
{{{#!folding 【 전 멤버 】
에지 데미안 프리스트 리아 리플리 칼리토
}}}}}} ||
파일:WWE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32929><colcolor=#fff>남성 달성자 - 이전 기준 총 12명 / 현행 기준 총 18명
이전 기준숀 마이클스 · 트리플 H · 케인 · 크리스 제리코 · 커트 앵글 · 에디 게레로 · 랍 밴 댐 · 부커 T · 제프 하디 ·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크리스찬 · 빅 쇼
현행 기준커트 앵글 · 에디 게레로 · 에지 · 빅 쇼 · 미즈 · 대니얼 브라이언 · 크리스 제리코 · 딘 앰브로스 · 로만 레인즈 · 랜디 오턴 · 세스 롤린스 · 제프 하디 · 코피 킹스턴 · 레이 미스테리오 · AJ 스타일스 · 케빈 오웬스 · 핀 밸러 · 존 시나
여성 달성자 - 총 7명
베일리 · 아스카 · 사샤 뱅크스 · 샬럿 플레어 · 리아 리플리 · 베키 린치 · 이요 스카이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후보 선수}}}}}}}}}

세계 프로레슬링 단체 여성 그랜드슬램 달성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북미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000><colcolor=#dfca4a><rowcolor=#dfca4a> 링네임
단체
챔피언십, 횟수
베일리
(WWE)
WWE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2회
아스카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3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4회
사샤 뱅크스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5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3회
샬럿 플레어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6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7회
NXT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리아 리플리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베키 린치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2회
위민스 월드 챔피언 5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이요 스카이
(WWE)
WWE 위민스 챔피언 1회
위민스 월드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2회
총 7명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 아시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aa520><colbgcolor=#000><colcolor=#dfca4a><rowcolor=#dfca4a> 링네임
단체 ||<#000> 챔피언십, 횟수 ||
후지모토 츠카사
(ICE RIBBON)
아이스 리본 ICEx60 챔피언 7회
아이스 트라이앵글 리본 챔피언 3회
아이스 리본 국제 리본 태그팀 챔피언 8회
아이스 리본 IW19 챔피언 2회
시라이 이오
(STARDOM)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원더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가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1회
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 6회
하이 스피드 챔피언 1회
SWA 월드 챔피언 1회
이와타니 마유
(STARDOM)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원더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가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2회
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 5회
하이 스피드 챔피언 1회
SWA 월드 챔피언 1회
타츠미 리카
(TJPW)
프린세스 오브 프린세스 챔피언 1회
프린세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인터내셔널 프린세스 챔피언 1회
와타나베 미우
(TJPW)
프린세스 오브 프린세스 챔피언 1회
프린세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인터내셔널 프린세스 챔피언 1회
총 5명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yalRumbleWWElogo_2017.png
역대 로얄럼블 경기 우승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1988 ~ 2000 ]⠀
{{{#!wiki style="margin: -5px 0 -5px"
19881989199019911992
짐 더간빅 존 스터드헐크 호건헐크 호건릭 플레어
19931994199519961997
요코주나렉스 루거, 브렛 하트숀 마이클스숀 마이클스스티브 오스틴
199819992000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빈스 맥마흔더 락}}}}}}}}}{{{#!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01 ~ 2020 ]⠀
{{{#!wiki style="margin: -5px 0 -5px"
20012002200320042005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트리플 H브록 레스너크리스 벤와바티스타
20062007200820092010
레이 미스테리오언더테이커존 시나랜디 오턴에지
20112012201320142015
알베르토 델 리오셰이머스존 시나바티스타로만 레인즈
201620172018GRR2019
트리플 H랜디 오턴나카무라 신스케
아스카
브론 스트로우먼세스 롤린스
베키 린치
2020
드류 맥킨타이어
샬럿 플레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21 ~ 2040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20212022202320242025
에지
비앙카 벨레어
브록 레스너
론다 로우지
코디 로즈
리아 리플리
코디 로즈
베일리
제이 우소
샬럿 플레어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4a56a8> 파일:디시인사이드 심볼.svg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 닷컴포함 흰색.svg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올해의 여성 레슬러
}}}
베키 린치
(2018)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리아 리플리
(2019)
알렉사 블리스
(2020)
비앙카 벨레어
(2022)
리아 리플리
(2023)
리브 모건
(2024)
파일:qdqddxzw.jpg CBS 스포츠 선정 올해의 획기적인 선수
버디 머피
(2018)
리아 리플리
(2019)
미정
파일:v2T9qSqP_400x400.jpg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악의 여성 대립
창설
리아 리플리 vs 알리야 & 로버트 스톤
(2020)
듀드랍 vs 에바 마리
(2021)
파일:v2T9qSqP_400x400.jpg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고의 여성 레슬러
비앙카 벨레어
(2022)

리아 리플리
(2023, 2024)
-
(2025)
파일:v2T9qSqP_400x400.jpg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고의 여성 대립
대미지 컨트롤 vs 비앙카 벨레어
(2022)
샬럿 플레어 vs 리아 리플리
(2023)
리브 모건 vs 리아 리플리
(2024)
샬럿 플레어 vs 리아 리플리
(2023)
리브 모건 vs 리아 리플리
(2024)
-
(2025)
파일:v2T9qSqP_400x400.jpg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고의 WWE 여성 레슬러
비앙카 벨레어
(2022)
리아 리플리
(2023, 2024)
-
(2025)
파일:pn-white-png-logo-18.png ESPN 어워드 선정 올해의 여성 레슬러
비앙카 벨레어
(2022)
리아 리플리
(2023)
록샌 페레즈
토니 스톰
(2024)
위민스 레슬링 팬 어워드 선정 최고의 악역
맨디 로즈
(2022)
리아 리플리
(2023)
나이아 잭스
(2024)
파일:PWI 로고.png PWI 250인 선정 올해의 여성 레슬러
슈리
(2022)
리아 리플리
(2023)
토니 스톰
(2024)
파일:PWI 로고.png PWI 선정 올해의 여성
비앙카 벨레어
(2022)
리아 리플리
(2023)
토니 스톰
(2024)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의 MVP 여성 레슬러 부문
슈리
(2022)
리아 리플리
(2023)
사레이
(2024)
파일:슬래미어워드 로고.jpg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여성 슈퍼스타
사샤 뱅크스
(2020)
리아 리플리
(2024)
리브 모건
(2025)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경기
2023년 1위 4월 1일
레슬매니아 39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샬럿 플레어(C) vs 리아 리플리
파일:v2T9qSqP_400x400.jpg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고의 여성 경기 [★]
2020년
4월 5일
WWE
레슬매니아 36 - DAY 2
NXT 위민스 챔피언십
리아 리플리(C) vs 샬럿 플레어
2020년
6월 7일
WWE
NXT 테이크오버: 인 유어 하우스
NXT 위민스 챔피언십
샬럿 플레어(C) vs 리아 리플리(X) vs 시라이 이오(O)
2023년
4월 1일
WWE
레슬매니아 39 - DAY 1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샬럿 플레어(C) vs 리아 리플리
파일:PWI 로고.png PWI 선정 올해의 경기 [★]
2023년
4월 1일
WWE
레슬매니아 39 - DAY 1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샬럿 플레어(C) vs 리아 리플리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2025년
4월 20일
WWE
레슬매니아 41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
_이요 스카이_(C)(O) vs 비앙카 벨레어(X) vs 리아 리플리

[1] 매 영 클래식 시즌 1(2017년)에서는 171cm(5'7"), 시즌 2(2018년)에선 173cm(5'8")로 소개되었는데, 2023년 본인이 직접 '175cm, 77kg'라고 밝혔다.# 다만 WWE 공식홈페이지에는 5'7"로 표기돼있다.[2] 근절자, 저지먼트 데이 가입 이후의 별명[3] 도미닉 미스테리오를 포함한 저지먼트 데이 멤버들이 리아 리플리를 부를 때의 별칭. 유래는 에디 게레로의 캐치프레이즈 중 하나인 “I’m your Papi!”에서 따온 것으로, 도미닉이 턴힐 할 때 레이 미스테리오를 향해 “당신은 이 아이의 아버지(Papi) 역할을 제대로 해 주지 못했지만, 내가 도미닉의 Mami가 되어 그가 진정한 남자로 거듭나게 해 주었다”라고 도발한 데서 시작되었으나 이후 배신당한 후에는 팬들의 Mami 역할 수행중이다.[4] 파일:rhea-ripley-riptide.gif
펌프핸들 파워밤.
[5] 리버스 클로버 리프로 다리를 꼬아 잡은 채로 다리만 들어올린다.[6] 초대 챔피언 결승[7] 초대 챔피언[8] 최장기간 챔피언 (380일)[9] Brutality를 저지먼트 데이의 분위기에 맞게 리믹스하였으나 저지먼트 데이 탈퇴 이후에도 사용중이다..[10] 2m 빅맨인 루크 갤로우스를 바디슬램으로 메치기도 했다.[11] 도미닉은 고등학생 때 처음 만나 오래 사귄 여친이 있고 리아도 2022년부터 AEW 소속인 버디 매튜스와 사귀는 사이다. 그리고 2024년 둘 다 각자의 연인과 결혼[12] 애티튜드 시대와 루스리스 어그레션 시대에서는 선악에 상관없이 여성이 남성에게 공격당하는 모습이 자주 나왔다. 의도하지 않은 실수로 인한 공격도 있지만 오스틴이 스테파니 맥맨, 차이나, 심지어 린다 맥맨에게도 스터너를 쓴 건 유명하고, 트리플 H와 존 시나는 리타에게 각각 페디그리, FU/AA를 썼다. 랜디 오턴은 스테이시, 트리시에게 RKO, 스테파니에게 펀트 킥을 시전한 바 있으며 에지와 대립하던 시절의 언더테이커도 비키 게레로에게 툼스톤 파일드라이버를 사용한 적이 있다. 리키쉬는 스테파니에게 스팅크 페이스를 먹였다.[13] 다만 악역은 야유를 받는 게 역할 수행을 잘 한다는 증거이기도 해서 그냥 리아가 제 몫을 잘한다는 평가가 더 맞다. 리아의 방해 때문에 남성 선수들이 제 할 일을 못했던 것으로 인해 지겹다며 좋지 않은 반응이 올라왔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 와중에도 루크 갤로우스를 비롯한 거구의 남성들을 가볍게 바디 슬램으로 메친다던가 웬만한 남성선수들보다 더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 등의 여러 활약을 한 덕에 오히려 최근 프로레슬링 기준으로는 '여자가 난입해서 방해한다'라는 클리셰를 수행하는 역할 중에서는 그나마 볼거리라도 더 준 편. 여성부의 정상급으로 올라서기 전에도 저지먼트 데이 멤버들 중 유일하게 악역임에도 환호를 받아왔다.[14] 부상으로 잠시 공백기를 가지다 2023년 10월 2일 RAW에 복귀했을 때 큰 환호를 받았으며 이후 데미안과 도미닉을 링으로 불러내 자신이 없는 동안 맡은 바 역할을 제대로 못해낸에 대해 실망스럽다고 질책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계진의 웨이드 바렛도 그녀를 '저지먼트 데이의 여성 리더(matriarch of The Judgment)'라 불렀을 정도[15] 다만 드래프트 이후 여성 메인이벤터가 4명이나 포함된 스맥다운 쪽 여성부와 달리 RAW쪽엔 리아와 베키 린치를 제외하면 여성부 로스터가 상당히 부실했기에 의외로 높은 인기에 비해 이렇다할 좋은 싱글 대립을 만들지 못했다. 베키 린치의 경우 리아와 유이한 RAW 여성부 메인이벤터긴 했으나 2023년 내내 트리쉬 스트래터스와의 대립 및 NXT 위민스 챔피언으로서 후배들을 양성하는데 시간을 보냈다보니 리아의 챔피언 기간이 본의 아니게 장기화되었다.[16]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를 밝히지 않았으나 두 사람이 만났던 2020년 3월 16일 3:16 Day RAW로 추정된다.[17] 그 때 봤던 선수 중 한 명이 브론슨 리드였다고 한다.[18] 옆의 차이나 분장을 한 남자 레슬러는 셰인 트론[19] 본 트윗이 작성된 2022년 8월 23일에는 에지가 저지먼트 데이에서 축출된 시기로 리아와 에지가 적이 된 각본 내용와 섞여서 작성된 내용이다.[20] 이 날 레슬매니아는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 유관중으로 진행한 쇼였기에 백스테이지가 전반적으로 매우 고무된 상태였다고 한다. 쇼 시작 전 팬들 앞에 인사하는 자리에서 리아가 울먹이는 장면이 잡히기도 했다. 에지 역시 은퇴 선언 이후 처음으로 유관중 레슬매니아다보니 더더욱 감정적으로 격앙된 상태였던 듯.[21] 물론 SM 쪽에서 말하는 마미에 더 가까운 뉘앙스[22] NXT 시절을 포함하여 리플리가 이요에게 상대 전적 0:6을 기록할 정도로 극상성이다. 즉, 이요를 상대로 순수 1:1 경기로 승리한 적도 없고, 이요가 포함된 다자간 경기에서도 이기지 못했다.[23] '악역' 프로레슬러들이 이런 식으로 팬을 조롱하거나 도발하는 퍼포먼스를 하는 경우는 옛날부터 자주 있었던 일이다. 간혹 너무 과몰입하거나 연기라는 핑계로 무례하게 굴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프로레슬링 특유의 특별한 팬 서비스 이벤트로 받아들여지는 편.[24] "내가 보이지 않는다(You can't see me)고 놀라선 안 돼. 하지만 난 네가 레슬매니아 메인이벤트에 선다는 것에 압박을 받고 있음이 보이네. 지금 자극이 오니? (타이틀을)원해? 그럼 가져가 보라고! (You want some? Go get some!)"[25] 이외에도 골드버그를 모티브로 하였다는 설이 도는 인물, 콜론즈를 모티브로 하였다는 설이 도는 인물, 도리 펑크 주니어브루저 브로디를 모티브로 하였다는 설이 도는 인물들 등 프로레슬링을 모티브로 하였다는 설이 도는 인물들이 엘바프 편에서 유독 많이 나온다. 非거인족 중에서는 스팬담믹 폴리의 기믹인 맨카인드를 모티브로 제작된 캐릭터이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