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3:16:55

용비어천가

땡X뉴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attachment/용비어천가/yongbi.jpg
보물 (구)제1463호 용비어천가의 모습
1. 개요2. 판본3. 내용
3.1. 분석
4. 본문5. 비유적 표현6. 기타7.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용비어천가 권1~2, 7~8.jpg
파일:보물 제1463-3호 용비어천가 권1·2 본문.jpg
표지 본문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27년(1445) 편찬되어 세종 29년(1447)에 발간된 악장·서사시다. 세종대왕훈민정음[1]을 창제한 뒤 훈민정음을 시험하기 위해 권제와 정인지, 안지 등에게 맡겨 펴낸 책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으로 쓰인 현존하는 최초의 책[2]이자 한글 반포 이전에 지은 유일한 한글 작품이다. 제목은 '용(임금)이 날아올라 하늘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조선 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선전하고 찬양하는 내용인데 끝에가서는 아무리 어진 임금이라도 하늘과 백성 알기를 무지하다면 그 대와 후대를 좋게할수없으니 부단히 힘쓰라는 경구로 마무리된다. 한국어 가사 - 한문 번역가사 - 한문 주석으로 구성된다.
\[제125장\]千世천세 우희 미리 定ᄒᆞ샨 漢水北한수북에 累仁開國누인개국ᄒᆞ샤 卜年복년이 ᄀᆞᇫ 업스시니 聖神성신이 니ᅀᆞ샤도 敬天勤民경천근민ᄒᆞ샤ᅀᅡ 더욱 구드시리이다 님금하 아ᄅᆞ쇼셔 洛水낙수예 山行산행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ᅌᅵᆺ가
(현대)천년 전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쪽에 어진 덕을 쌓고 나라를 여시어 왕조의 운수가 끝이 없으시니, 성자신손이 대를 이으셔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데에 부지런히 힘쓰셔야 (나라가) 더욱 굳건할 것입니다. (후대의) 임금이시여, 아소서. (하나라 태강왕이) 낙수에 사냥하러 가 있으면서 (죽은)할아버지(공덕)만 믿으셨겠습니까?

훈민정음과 함께 교과서에 실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용비어천가 정도는 본 적이 있다. 문제는 그게 용비어천가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노래 가사로 창작된 만큼 실제로 '봉래의'라는 이름으로 곡과 안무를 더해서 궁중에서 공연되기도 했다. 한문 가사와 중세 한국어 가사를 함께 부르는데, 이 중 '치화평'이 중세 한국어 가사로 부르는 부분에 해당한다.

2. 판본

1447년에 발간한 초간 초쇄본은 현재까지 권1, 2의 1책만 남아 있다.

16세기에 초간본을 찍은 목판으로 다시 찍은 판본이 전해지지만 이 초간 후쇄본은 불에 타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는 부분도 있다. 자획과 방점이 마멸되고 노랫말 장 차례가 임의로 변개된 부분이 있긴 하나, 10권 5책이 온전하여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그 뒤 초간본의 판식을 따러 여러 번 중간본이 나왔다. 제1차 중간본은 광해군 4년(1612)에 초간본을 판하로 복각한 것이고, 제2차 중간본은 효종 10년(1659)에 새로운 판하를 써서 중간한 것이며, 제3차 중간본은 영조 41년(1765)에 제2차 중간본의 책판 중에서 훼손된 것만을 보각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밖에도 초간본의 판식과는 다르나 세종실록에 실린 실록본과 용비어천가에 수록된 한시와 그 한시를 국역한 용비어천가 약본이 남아 있다.

3. 내용[3]

ᄒᆡ〯도ᇰ륙〮료ᇰ이〮ᄂᆞᄅᆞ샤〮일〯마〯다天복〮이〮시니〮。[M¹]
해동의 여섯 용이 날으사, 일마다 천복이시니,

고〯셔ᇰ이〮同또ᇰᄒᆞ〮시니〮[M²]
옛 성인들과 부절을 합친 듯 꼭 맞으시니.

불휘〮기픈〮남ᄀᆞᆫ〮ᄇᆞᄅᆞ매〮아니〮뮐〯ᄊᆡ〮。곶됴〯코〮여름〮하〮ᄂᆞ니〮[M³]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리므로, 꽃 좋고 열매 많나니

ᄉᆡ〯미〮기픈〮므〮른〮ᄀᆞ〮ᄆᆞ래〮아니〮그츨〮ᄊᆡ〮。내〯히〮이러〮바ᄅᆞ〮래〮가〮ᄂᆞ니〮[M⁴]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치므로, 내[川]가 되어 바다에 가나니.[8]
용비어천가 1장, 2장[9]
뿌리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은 교과서 및 여러 매체에 자주 나오는데, 용비어천가의 노래 중 유일하게 비유와 상징 등 문학적 구성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나머지는 그저 사실을 열거한 것이라고 할 만큼 투박하다.

각 장은 대체로 중국의 고사가 나온 뒤 그 고사와 비슷한 세종 선조들의 일화가 나온다. 그래서 중국의 고사 중에서 오랑캐를 피해 기산으로 올라간 고공단보, 주나라를 세운 주무왕, 소열제, 당태종, 송태조, 남송을 멸망시킨 몽골재상 백안(바린 바얀) 등 당대 슈퍼스타들이 등장하고 이들의 행적에 비교되는 세종 조상들의 고사를 나란히 배치했다.

건국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역사가 짧은[10] 조선왕조의 정당성을 선전하는 내용이다. 첫장에 해동육룡이란 목조(穆祖), 익조(翼祖), 도조(度祖), 환조(桓祖), 태조(太祖), 태종(太宗)이다.[11] 세종대왕의 6대조 할아버지까지 찬양하는 글이다. 한글이 얼마나 한국어를 잘 표현할 수 있는지 시험하기 위해 용비어천가에서 조선 왕조를 찬양하는 내용을 빌려 써 본 것이다.

그리고 정종은 빠졌다. 이 시기는 정종이 오직 '공정왕'이란 시호만을 받고 제대로 된 왕 대우는 못 받는 때였던 데다가, 세종의 6대조다 보니 세종의 직계 조상이 아닌 정종은 빠질 수밖에 없었다.[12]

덤으로 2장만이 순우리말로 된 하나뿐인 장이란 자습서도 꽤 있는데, 67장과 68장도 순우리말로 된 장이다. 이 가운데 67장은 1장, 2장, 4장, 48장, 결사인 125장과 함께 특히 많이 언급되는 데다 그 내용도 바이얀의 남송 정벌 당시 일화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다룬 장이라서 정도전이 지은 제례악인 정동방곡과도 연결되어서 그 중요도가 높다. 이를 모름은 용비어천가를 제대로 살펴보지 않았다는 뜻이다.

3.1. 분석

불·휘 기·픈 남·ᄀᆞᆫ ᄇᆞᄅᆞ·매 아·니 :뮐·ᄊᆡ。 곶 :됴·코 여·름 ·하ᄂᆞ·니
'불휘'는 ㅣ로 끝나는 체언이므로 뒤에 주격 조사가 생략되어 있는데, 이를 '제로 주격'이라고 한다. '깊은'이 '기픈'으로 연철 표기되었고 나무를 뜻했던 '나ᇚ'과 보조사 'ᄋᆞᆫ'이 결합되어 '남ᄀᆞᆫ'으로 나타난다. 'ᄇᆞᄅᆞᆷ' 뒤에는 부사격 조사 '애'를 사용하여 모음 조화가 지켜졌으며 표기는 연철되어 'ᄇᆞᄅᆞ매'가 되었다.

'뮈다'는 '움직이다'라는 뜻을 지닌 옛말이며[13] '곶'에서는 종성 자리에 ㅈ이 사용되어 용비어천가가 작성됐을 당시에는 8종성법[14]이 완전히 자리잡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좋다[好]'는 중세 국어에서 '둏다'로 표기되었고[15] '여름'은 동사 '열다'의 어간 '열-'을 어근으로 하고 명사 파생 접미사 '-음'을 결합한 말을 연철한 것으로 열매를 뜻하며[16] '하다'는 '많다'를 뜻한다.[17]
:ᄉᆡ·미 기·픈 ·므·른 ·ᄀᆞᄆᆞ·래 아·니 그·츨·ᄊᆡ。 :내·히 이·러 바·ᄅᆞ·래 ·가ᄂᆞ·니
'ᄉᆡᆷ'과 주격 조사 '이'가 결합하였다. 연철된 표기만 보면 주격조사 'ㅣ'가 사용되었다고 오해할 수 있으니 주의. 'ᄀᆞᄆᆞ래', '바ᄅᆞ래' 모두 'ᄀᆞᄆᆞᆯ'과 '바ᄅᆞᆯ'에 부사격 조사 '애'가 연철로 표기된 것이다. '내히'는 중세 한국어에서 내(川)를 뜻했던 '' 뒤에 주격 조사 '이'가 사용되어 연철 표기된 것이다.

이렇듯 본문에는 현대 한국어에서 더 이상 쓰이지 않는 단어 표기가 많이 사용되었고, 분철 표기보다는 연철 표기가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은 8종성법의 부재 등을 제외하면 《석보상절(1447)》, 《월인석보(1459)》 등 동시대의 다른 중세 한국어 문헌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중세 한국어의 형태소 이해를 위해 위 예문들을 시험 삼아 아래와 같이 분철로 표기해 볼 수 있겠다.[18] 실제로 일부 국어학 전공 서적에서는 이러한 취지의 연습 문제를 풀게 하는 경우도 있다.
불·휘 깊·은 나ᇚ·ᄋᆞᆫ ᄇᆞᄅᆞᆷ·애 아·니 :뮐·ᄊᆡ。 곶 :둏·고 열·음 ·하ᄂᆞ·니
:ᄉᆡᆷ·이 깊·은 ·믈·은 ·ᄀᆞᄆᆞᆯ·애 아·니 긏·을·ᄊᆡ。 :냏·이 이·러 바·ᄅᆞᆯ·애 ·가ᄂᆞ·니

4. 본문

5. 비유적 표현

오늘날 한국 정치권에서는 정권 찬양물을 빗대어 이르는 로도 쓰인다. 방송이나 신문에서 지나치게 정권을 옹호하는 홍보물이 나타나면 "또 용비어천가 쓴다.", 혹은 x비어천가(x는 해당 인물의 성씨)"[19]'문비어천가는 문재인 정부를 찬양하는 글을, 비어천가는 윤석열 정부를 찬양하는 글을 의미한다. 꼭 성씨만 들어가는 것은 아니라서 이명박 정부를 찬양하는 글은 명비어천가 내지 엠비어천가'''로 불렸다.]라면서 까는 게 보편화되었다. 전제군주제인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작품인 만큼, 민주주의 국가인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 무언가를 용비어천가와 비교한다면 '민주주의 사회를 역행한 전제군주정에서나 볼 수 있는 무언가'라는 뜻도 내포한다.

하지만 용비어천가는 군주가 갖추어야 할 덕목도 말하고 있다. 이를테면 125조에는 경천근민(敬天勤民)[20]이라는 말이 있다. 중국의 제왕들과 태조 이성계를 비교하는 노래 2줄로 구성된 용비어천가는 110장~125장에서 결국 패왕적 위업을 달성하든 유교적 업적을 달성하든 본 목적이 무엇이었냐는 것을 묻고 경천애민을 잊지 말 것을 당부하면서[21] 끝나는데, 성경전도서와 매우 흡사한 면이 있다. "우리 조상님들이 이렇게 고생고생하시면서 집안을 보존하고 일으키셨으므로 오늘날의 왕업이 있게 되었으니 후세 왕들은 부디 선왕이 창업하실 때의 초심을 잊지 말아달라"는 당부에 가깝다.

여느 조선에서 착안된 비유적 표현이나[22] 밈들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점을 보았을 때 정권 찬양물을 용비어천가에 빗대는 것은 용비어천가에 대한 실례일 수도 있다. 물론 용비어천가가 기본적으로 조선 왕조에 대한 찬양이 들어간 건 사실이니 딱히 할 말은 없겠지만 적어도 친정부 언론의 숱한 정권 찬양 기사들에 비하면야 점잖은 편에 속한다.

6. 기타

훈민정음이 창제 및 반포된 후 간행된 문헌이다 보니 한국어학뿐만 아니라 언어학적으로 매우 중요도가 높다. 중세 몽골어는 물론 여진어로 된 각종 인명과 고유명사가 한자 가차표기와 함께 당대의 발음으로 주석에 적혀 있기 때문이다.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을 뜻하는 ''의 한글 문헌상 첫 용례가 이 문헌에 등장한다. 다만 범위를 넓히자면 더 이른 시기인 1103년에 집필된 계림유사라는 여행기에서 '客曰孫(손님은 손이라고 한다.)'라는 문구가 등장하여 용비어천가가 최초라고 볼 수는 없다.

영어로는 보통 Yongbieocheonga[23]라고 쓰며, Song of Dragons Flying in Heaven라고 번역된다. 제임스 호이트(James Hoyt)의 뿌리깊은 나무 번역은 "A tree with deep roots, Because the wind sways it not, Blossoms Abundantly And bears fruit. The water from a deep spring, Because a drought dries it not, Becomes a stream And flows to the sea."라고 한다. 2008년 경 삼성이 만든 영국의 한국 갤러리에 있는 용비어천가 현판에서는 Songs of Dragons라고 번역했으며 내용 중 일부가 "The deep-rooted tree Is not swayed by the wind... The deep-sprung well Is not dried by drought..."라고 번역되었다.

사극 뿌리 깊은 나무육룡이 나르샤의 제목이 이를 인용한 것이다. 각각 세종 치세와 여말선초가 배경인데 다음 구절인 샘이 깊은 물계유정난을 배경으로 만들 예정이었으나 계획만 나온 채 몇 년째 소식이 없다.

한때 동의보감에서 유래한 "동의? 어 보감"을 응용하여 청소년들이 "용비? 어 천가"라는 은어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이후 사장되었다.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 EBS 연계 지문으로 출제되었다.

2019년 계명대도서관 소장본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파일:attachment/용비어천가/01.jpg
용비어천가 2장은 1만 원권 지폐 도안에도 사용되었는데 앞면의 일월오봉도 위에 있다.

고대 이집트에도 이와 비슷한 것이 존재한다. 로제타 석이 바로 그 것으로,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은덕을 기리는 내용이 적혀 있다.

7. 관련문서


[1] 훈민정음은 세종 28년(1446)에 반포됐다.[2] 두 번째는 부처의 은덕을 찬양하는 석보상절로 세종 28년(1446)에 편찬되었다.[3] 원문에는 한자만 적혀 있고 동국정운식 한자음은 기재되지 않았다.[M¹]:ᄒᆡ도ᇰ·륙료ᇰ·이ᄂᆞᄅᆞ·샤:일:마다天·복·이시·니。[M²]:고셔ᇰ·이同또ᇰ·ᄒᆞ시·니[M³] 불·휘기·픈남·ᄀᆞᆫᄇᆞᄅᆞ·매아·니:뮐·ᄊᆡ。곶:됴·코여·름·하ᄂᆞ·니[M⁴] :ᄉᆡ·미기·픈·므·른·ᄀᆞᄆᆞ·래아·니그·츨·ᄊᆡ。:내·히이·러바·ᄅᆞ·래·가ᄂᆞ·니[8] "내ㅎ+ㅣ(주격조사) 일(이루어지다, 되다; '이루다'는 원래 일+우+다의 형태이다.)ㅓ"의 형태이므로 "내가 되다" 쪽이 "내를 이루어"보다 더 원문에 가까운 직역이다.[9] 전문은 위키문헌으로.[10] 세종은 조선 4대 임금이다. 2대 정종과 3대 태종이 형제이므로 세종은 세대로는 겨우 3세대다.[11] 태조 위부터는 당연히 이성계가 왕이 된 뒤 추존되었다.[12] 다만 공식적으로는 태종이 정종의 양자로서 세자가 된 다음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6대조에 포함시켜도 아무 문제가 없긴 하다. 이렇게 되면 목조를 빼거나 7대조로 바꿔야 했겠지만 말이다. 물론 동북면으로 거점을 옮긴 사람이 목조인지라 목조를 제외시키기는 불가능했을 테고, 중원 왕조의 황제들도 6대조까지 추존하지 7대조까지 추존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13]훈몽자회(1527)》에서도 (움직일 동)의 훈음을 '뮐 도ᇰ'으로 표기하고 있다.[14] 종성 자리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만 쓸 수 있다는 중세 한국어의 표기 규범이다.[15] 반면에 당시 쓰이던 '좋다'는 '깨끗하다'라는 의미를 지녔다.[16] 계절 여름은 '녀름'이라고 표기하였다.[17] 현대 국어에서의 '하다'는 'ᄒᆞ다'로 표기되었다.[18] 현대 한국어로의 번역과는 다르다. 원문의 표현을 유지하되 표기 방식만 연철에서 분철로 바꾸는 것이다.[19] 예를 들면[20]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하여 부지런히 일함.[21] "님금하, 아ᄅᆞ쇼셔. 낙수(洛水)예 산ᄒᆡᇰ(山行)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ᅌᅵᆺ가(임금이여, 알아두소서. 낙수에 사냥 가 있으면서 할아버지만 믿고 있겠습니까.)" 이는 하나라 우왕의 손자인 태강왕처럼 정사를 소홀히 하면 안 된다는 내용이다.[22] 당장 선비, 유교 등이 현대 대한민국에서 어떤 식으로 자주 남용되는지 생각해 보자.[23] YongBiEoCheon-ga라고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