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3180><tablebgcolor=#073180>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일반 문서 | |
<colbgcolor=#96c800><colcolor=#073180> 모기업 관련 정보 | 모기업 | |
일본시리즈 우승 ★★★★★★ | 1978 · 1993 · 1995 · 1997 · 2001 · 2021 | |
리그 우승 (9회) | 1978 · 1992 · 1993 · 1995 · 1997 · 2001 · 2015 · 2021 · 2022 | |
클라이맥스 시리즈 | 2009 · 2011 · 2012 · 2015 · 2018 · 2021 · 2022 | |
시즌별 요약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3-4월 | |
경기장 | 1군 메이지진구 야구장 · 2군 야쿠르트 토다 구장 · 지방구장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 |
현역 선수 경력 | 무라카미 무네타카/선수 경력 · 야마다 테츠토/선수 경력 · 오쿠가와 야스노부/선수 경력 | |
홈 중계 채널 | 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후지 테레비 1 | |
주요 인물 | 단장 오가와 준지 · 감독 타카츠 신고 · 선수회장 시미즈 노보루 · 주장 야마다 테츠토 | |
구단 상세 정보 | 구단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도쿄온도 · 츠바쿠로 · 도쿄 시리즈 | |
틀 문서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1. 3월 28일 ~ 3월 30일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원정) / 피스윕2. 4월 2일 ~ 4월 3일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 (홈) / 위닝 시리즈3. 4월 4일 ~ 4월 6일 vs 주니치 드래곤즈 (홈) / 동률4. 4월 8일 ~ 4월 9일 vs 한신 타이거스 (원정) / 위닝 시리즈5. 4월 12일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원정) / 1패
5.1. 4월 12일 (패배)
6. 4월 15일, 4월 17일 vs 한신 타이거스 (홈) / 루징 시리즈7. 4월 18일 ~ 4월 20일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홈)8. 4월 22일 ~ 4월 23일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 (원정)9. 4월 25일 ~ 4월 27일 vs 주니치 드래곤즈 (원정)10. 4월 29일 ~ 5월 1일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홈)1. 3월 28일 ~ 3월 30일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원정) / 피스윕
1.1. 3월 28일 (패배)
2025.3.28(금) 18:15~21:41 |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1차전 - 도쿄 돔 (관객 수: 42,270명) | |||||||||||||||||||||||||||||
<rowcolor=#000000>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H | E | |||||||||||||||
야쿠르트 | 오쿠가와 야스노부 | 0 | 0 | 0 | 0 | 4 | 1 | 0 | 0 | 0 | 0 | 5 | 8 | 0 | |||||||||||||||
요미우리 | 토고 쇼세이 | 0 | 0 | 0 | 0 | 0 | 0 | 0 | 2 | 3 | 1X | 6 | 17 | 1 |
선발 라인업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1 | 니시카와 하루키 | 우익수 | 1 | 와카바야시 가쿠토 | 좌익수 |
2 | 이와타 유키히로 | 중견수 | 2 | 트레이 캐비지 | 우익수 |
3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3 | 요시카와 나오키 | 2루수 |
4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오카모토 카즈마 | 1루수 |
5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엘리어 에르난데스 | 중견수 |
6 | 아카하네 요시히로 | 2루수 | 6 | 사카모토 하야토 | 3루수 |
7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7 | 카이 타쿠야 | 포수 |
8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카도와키 마코토 | 유격수 |
9 | 오쿠가와 야스노부 | 투수 | 9 | 토고 쇼세이 | 투수 |
승리투수 : 라이델 마르티네스(1승) : 1이닝 1탈삼진 무출루
패전투수 : 시미즈 노보루(1패) : 0.2이닝 1탈삼진 2피안타 1실점(1자책)
홈런
트레이 캐비지 1호 (8회 말, 2점)
도밍고 산타나 1호 (6회 초, 1점)
타카츠 신고 감독은 개막전 선발투수로 2022년 이래 재활에만 몰두하다 2024년에야 다시 1군에서 모습을 보인 오쿠가와 야스노부를 지명하는 모험을 선택했다.
경기는 오쿠가와가 초반부터 선제점의 위기를 2번이나 자초하면서도 요미우리 타선의 흐름을 나름대로 적절히 끊어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6이닝 무실점을 기록했고, 타선도 5회와 6회에 산타나의 솔로포를 포함한 적시타 4방으로 토고를 격침시키면서 무난히 야쿠르트가 승리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8회 말에 등판한 야마모토 다이키가 아웃카운트를 1개도 못잡고 캐비지에게 2점 홈런을 허용해 강판되며 불안한 조짐을 보이더니, 9회 말에 마무리 투수로 나온 타구치 카즈토가 피안타 3개에 몸에 맞는 공 하나를 포함한 4연속 출루로 난타당해 3실점으로 동점을 내주는 사고를 쳐버렸고 결국 연장전으로 이어진 10회 말에 시미즈 노보루가 2사 2루에서 와카바야시 가쿠토에게 끝내기 안타를 내주며 불펜진의 단체 방화로 5점차 리드를 뒤집히는 역전패라는 최악의 시작으로 2025년 정규시즌의 막을 열게 되었다.
1.2. 3월 29일 (패배)
2025.3.29(토) 14:00~16:48 |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2차전 - 도쿄 돔 (관객 수: 41,863명) | |||||||||||||||||||||||||||||
<rowcolor=#000000>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야쿠르트 | 요시무라 코지로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1 | ||||||||||||||||
요미우리 | 아카호시 유지 | 1 | 6 | 3 | 2 | 0 | 0 | 0 | 0 | X | 12 | 13 | 0 |
선발 라인업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1 | 니시카와 하루키 | 우익수 | 1 | 와카바야시 가쿠토 | 좌익수 |
2 | 이와타 유키히로 | 중견수 | 2 | 트레이 캐비지 | 우익수 |
3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3 | 요시카와 나오키 | 2루수 |
4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오카모토 카즈마 | 1루수 |
5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엘리어 에르난데스 | 중견수 |
6 | 아카하네 요시히로 | 2루수 | 6 | 나카아마 라이토 | 3루수 |
7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7 | 카이 타쿠야 | 포수 |
8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카도와키 마코토 | 유격수 |
9 | 요시무라 코지로 | 투수 | 9 | 아카호시 유지 | 투수 |
승리투수 : 아카호시 유지(1승) : 5이닝 5탈삼진 1피안타 무실점
패전투수 : 요시무라 코지로(1패) : 1.1이닝 6피안타 7실점(4자책)
홈런
트레이 캐비지 2호 (3회 말, 3점), 카이 타쿠야 1호 (4회 말, 2점)
없음
선발 투수로 등판한 요시무라가 1.1이닝만에 5실점을 허용하며 KO당해버렸고, 후속 투수로 등판한 카나쿠보 유토도 요시무라의 승계주자 2명을 불러들인 데 이어 3회와 4회 말에 홈런을 한 방씩 얻어맞으며 고작 4이닝만에 12:0이라는 참담한 스코어가 성립되었다. 그나마 전날 5점을 냈던 타선도 이 날은 요미우리 투수진에게 9이닝 내내 3안타에 그친 채 무득점으로 틀어막히며 전날에 이어 처참한 패배를 당했다.
1.3. 3월 30일 (패배)
2025.3.30(일) 14:00~17:42 |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3차전 - 도쿄 돔 (관객 수: 41,943명) | |||||||||||||||||||||||||||||
<rowcolor=#000000>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야쿠르트 | 타카하시 케이지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7 | 0 | ||||||||||||||||
요미우리 | 이시카와 타츠야 | 0 | 2 | 0 | 0 | 0 | 0 | 0 | 1 | X | 3 | 8 | 0 |
선발 라인업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요미우리 자이언츠 | ||||
1 | 아카하네 요시히로 | 2루수 | 1 | 와카바야시 가쿠토 | 좌익수 |
2 | 니시카와 하루키 | 중견수 | 2 | 트레이 캐비지 | 우익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3 | 요시카와 나오키 | 2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4 | 오카모토 카즈마 | 1루수 |
5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5 | 엘리어 에르난데스 | 중견수 |
6 | 하마다 타이키 | 우익수 | 6 | 사카모토 하야토 | 3루수 |
7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7 | 카이 타쿠야 | 포수 |
8 | 마츠모토 나오키 | 포수 | 8 | 카도와키 마코토 | 유격수 |
9 | 타카하시 케이지 | 투수 | 9 | 이시카와 타츠야 | 투수 |
승리투수 : 이시카와 타츠야(1승) : 5이닝 4탈삼진 3피안타 2사사구 무실점
패전투수 : 타카하시 케이지(1패) : 4이닝 4탈삼진 4피안타 3사사구 2실점(2자책)
세이브 : 라이델 마르티네스(1승 1세이브) : 1이닝 1탈삼진 1피안타 1사사구 무실점
홈런
없음
없음
이 날도 타카하시가 2회 말 2사 만루에서 투수 이시카와에게 선제 적시타를 얻어맞은 데 이어[1] 폭투로 1점을 더 내주며 2점 리드를 내줬고 타선은 요미우리보다 1개 적은 7안타를 치긴 했지만 전부 연타로 이어내지 못해 무득점에 그친 채 질질 끌려가다 8회 말 오시로 타쿠미에게 1타점 적시타를 더 얻어맞으며 그대로 0:3으로 완패했다.
이로써 개막 3연전을 3전 전패 및 2경기 연속 완봉패라는 최악의 성적으로 마무리지으며 시작부터 악운이 끼게 되었다.
2. 4월 2일 ~ 4월 3일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 (홈) / 위닝 시리즈
원래는 4월 1일부터 4월 3일까지 3연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4월 1일 경기는 우천으로 취소되었다.2.1. 4월 2일 (승리)
2025.4.2(수) 18:00~21:49 |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 1차전 - 메이지진구 야구장 (관객 수: 25,522명) | |||||||||||||||||||||||||||||
<rowcolor=#0D264B>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H | E | |||||||||||||||
히로시마 | 오세라 다이치 | 0 | 2 | 0 | 0 | 0 | 2 | 0 | 0 | 0 | 0 | 4 | 7 | 1 | |||||||||||||||
야쿠르트 | 야마노 타이치 | 1 | 0 | 0 | 0 | 0 | 0 | 0 | 3 | 0 | 1X | 5 | 10 | 0 |
선발 라인업 |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후타마타 쇼이치 | 중견수 | 1 | 아카하네 요시히로 | 중견수 |
2 | 야노 마사야 | 유격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3 | 코조노 카이토 | 3루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도바야시 쇼타 | 1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스에카네 쇼타 | 우익수 | 5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6 | 키쿠치 료스케 | 2루수 | 6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7 | 산드로 파비안 | 좌익수 | 7 | 미야모토 타케시 | 우익수 |
8 | 아이자와 츠바사 | 포수 | 8 | 코가 유다이 | 포수 |
9 | 오세라 다이치 | 투수 | 9 | 야마노 타이치 | 투수 |
승리투수 : 키자와 나오후미(1승 2HP) : 0.2이닝 무출루
패전투수 : 호리에 아츠야(1패) : 0.1이닝 2피안타 1사사구 1실점(1자책)
홈런
없음
산드로 파비안 1호(2회 초, 2점), 스에카네 쇼타 1호(6회 초, 2점)
우천으로 하루 미뤄진 시즌 첫 홈경기였던 이 날은 오와라이 콤비 러브레터즈가 시구식을 맡고 토카이대학 부속 타카나와다이고등학교 취주악부가 응원가를 연주하며 매스게임을 진행하는 세레머니가 펼쳐졌는데, 세레머니에서 스프링캠프 도중 사망한 츠바쿠로의 슈트 액터[2]를 추모하는 의미에서 2896(츠바쿠로) 숫자를 만드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또한 손가락 탈구로 2군에서 조정 중이었던 야마다 테츠토가 복귀했다.
1회 말에 호세 오수나가 선제 적시타를 터뜨리며 3경기 만에 드디어 득점에 성공했으나 직후 2회 초에 야마노가 2사 1루에서 산드로 파비안에게 2점 홈런을 얻어맞으며 곧바로 역전당했다. 6회 초에도 스에카네 쇼타가 야마노에게 2점 홈런을 추가로 뽑아내 점수차가 3점으로 벌어졌다.
8회 말 테일러 헌에게서 무사 만루를 뽑아냈으나 직후 야마다 테츠토와 하마다 타이키가 희생 플라이조차 뽑지 못한 채 허무하게 물러나며 이대로 개막 4연패에 빠지는 듯 했지만, 여기서 선발 포수로 출장한 코가 유다이가 파비안의 송구 실책까지 겹친 싹쓸이 적시타로 주자들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4:4 동점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연장 10회 말, 호리에 아츠야를 상대로 만든 1사 1, 2루 찬스에서 마루야마 카즈야가 끝내기 적시타를 날리며 야쿠르트가 3연패에서 극적인 시즌 첫 승리를 달성했다.
2.2. 4월 3일 (승리)
2025.4.3(목) 18:00~20:14 |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 - 메이지진구 야구장 (관객 수: 25,379명) | |||||||||||||||||||||||||||||
<rowcolor=#0D264B>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히로시마 | 타마무라 쇼고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 | ||||||||||||||||
야쿠르트 | 오가와 야스히로 | 0 | 0 | 0 | 2 | 0 | 0 | 1 | 0 | X | 3 | 7 | 0 |
선발 라인업 |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후타마타 쇼이치 | 중견수 | 1 | 아카하네 요시히로 | 중견수 |
2 | 야노 마사야 | 유격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3 | 코조노 카이토 | 3루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도바야시 쇼타 | 1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스에카네 쇼타 | 우익수 | 5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6 | 산드로 파비안 | 좌익수 | 6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7 | 키쿠치 료스케 | 2루수 | 7 | 하마다 타이키 | 우익수 |
8 | 이시하라 토모키 | 포수 | 8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9 | 타마무라 쇼고 | 투수 | 9 | 오가와 야스히로 | 투수 |
승리투수 : 오가와 야스히로(1승) : 9이닝 4탈삼진 2피안타 무실점 완봉승
패전투수 : 타마무라 쇼고(1패) : 5이닝 3탈삼진 5피안타 1사사구 2실점(2자책)
홈런
없음
없음
극적인 승부가 펼쳐졌던 전날과는 달리 이날 경기는 야쿠르트의 일방적 리드로 흘러갔다. 4회 말 무사 1, 2루에서 호세 오수나, 모기 에이고로의 연속 적시타로 2점을 먼저 뽑은 데 이어 7회 말에도 아카하네 요시히로의 적시타로 1점을 더 추가했고, 선발 투수로 등판한 오가와 야스히로는 히로시마 타선을 단 92구 2피안타로 철저히 막아내며 3:0 완봉승을 달성했다.
3. 4월 4일 ~ 4월 6일 vs 주니치 드래곤즈 (홈) / 동률
3.1. 4월 4일 (무승부)
2025.4.4(금) 18:00~22:25 | vs 주니치 드래곤즈 1차전 - 메이지진구 야구장 (관객 수: 28,728명) | |||||||||||||||||||||||||||||
<rowcolor=#ffffff>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 | H | E | |||||||||||||
주니치 | 타카하시 히로토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6 | 1 | |||||||||||||
야쿠르트 | 타카나시 히로토시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4 | 0 |
선발 라인업 | |||||
주니치 드래곤즈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오카바야시 유키 | 중견수 | 1 | 아카하네 요시히로 | 2루수 |
2 | 무라마츠 카이토 | 유격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3 | 우에바야시 세이지 | 우익수 | 3 | 니시카와 하루키 | 중견수 |
4 | 이시카와 타카야 | 3루수 | 4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5 | 이타야마 유타로 | 2루수 | 5 | 호세 오수나 | 1루수 |
6 | 나카타 쇼 | 1루수 | 6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7 | 오오시마 요헤이 | 좌익수 | 7 | 하마다 타이키 | 우익수 |
8 | 카토 타쿠마 | 포수 | 8 | 마츠모토 나오키 | 포수 |
9 | 타카하시 히로토 | 투수 | 9 | 타카나시 히로토시 | 투수 |
홈런
없음
없음
2회 초에 타카나시 히로토시가 나카타 쇼에게 선제 적시타를 맞은 데 이어 실점 위기를 여러 번 허용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어떻게든 막아내며 6이닝을 소화했고, 타선은 7회까지 타카하시 히로토에게 틀어막히며 계속해서 열세에 몰리다 8회 말 1사 만루에서 아카하네 요시히로의 유격수 땅볼을 틈타 3루 주자 나미키 히데타카가 홈으로 들어오며[3] 동점에 성공했다. 그러나 그 직후 연장 12회까지 양팀 타선 모두 추가점을 내지 못하며 그대로 1:1 동점으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3.2. 4월 5일 (승리)
2025.4.5(토) 14:00~16:37 | vs 주니치 드래곤즈 2차전 - 메이지진구 야구장 (관객 수: 28,183명) | |||||||||||||||||||||||||||||
<rowcolor=#0D264B>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주니치 | 마츠바 타카히로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
야쿠르트 | 피터 램버트 | 0 | 2 | 0 | 0 | 0 | 0 | 0 | 0 | X | 2 | 5 | 1 |
선발 라인업 | |||||
주니치 드래곤즈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오카바야시 유키 | 중견수 | 1 | 아카하네 요시히로 | 3루수 |
2 | 우에바야시 세이지 | 좌익수 | 2 | 니시카와 하루키 | 중견수 |
3 | 호소카와 세이야 | 우익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이시카와 타카야 | 3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이타야마 유타로 | 2루수 | 5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6 | 나카타 쇼 | 1루수 | 6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7 | 키노시타 타쿠야 | 포수 | 7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무라마츠 카이토 | 유격수 | 8 | 하마다 타이키 | 우익수 |
9 | 마츠바 타카히로 | 투수 | 9 | 피터 램버트 | 투수 |
승리투수 : 피터 램버트(1승) : 6이닝 4탈삼진 3피안타 1사사구 무실점
패전투수 : 마츠바 타카히로(1승 1패) : 5이닝 1탈삼진 4피안타 1피홈런 2사사구 2실점(2자책)
세이브 : 이시야마 타이치(1세이브) : 1이닝 9구 3탈삼진 무출루 - 무결점 이닝
홈런
야마다 테츠토 1호(2회 말, 2점)
없음
2회 말에 호세 오수나의 좌측 외야라인을 파고드는 2루타로 출루한 데 이어 야마다 테츠토가 마츠바의 2구째 몸쪽 슬라이더를 제대로 받아치며 본인의 통산 300호 홈런이 되는 좌월 선제 2점 홈런으로 선제점을 따냈고 이것이 그대로 결승점이 되었다. 6회 초엔 5회까지 안타를 단 1개만 허용했던 램버트가 무라마츠 카이토와 대타 브라이트 켄타에게 연속 안타(좌중간 2루타, 우전 안타)를 맞은 데 이어 오카바야시 유키도 볼넷으로 출루시켜 무사 만루 위기에 몰렸지만 후속 타자들인 우에바야시 세이지를 루킹 삼진, 호소카와 세이야를 투수 앞 병살타로 잡아내며 깔끔하게 위기를 막아냈고, 이후 시미즈 노보루, 타구치 카즈토, 이시야마 타이치가 차례대로 등판해 주니치 타선을 무출루로 막고 완봉승을 거두면서 개막 후 처음으로 5할 승률에 도달했다.
3.3. 4월 6일 (패배)
2025.4.6(일) 13:30~16:29 | vs 주니치 드래곤즈 3차전 - 메이지진구 야구장 (관객 수: 27,121명) | |||||||||||||||||||||||||||||
<rowcolor=#ffffff>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주니치 | 움베르토 메히아 | 3 | 0 | 0 | 1 | 1 | 0 | 1 | 0 | 0 | 6 | 8 | 0 | ||||||||||||||||
야쿠르트 | 오쿠가와 야스노부 | 3 | 1 | 0 | 0 | 0 | 1 | 0 | 0 | 0 | 5 | 9 | 1 |
선발 라인업 | |||||
주니치 드래곤즈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오카바야시 유키 | 중견수 | 1 | 아카하네 요시히로 | 중견수 |
2 | 브라이트 켄타 | 좌익수 | 2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3 | 올란도 칼리스테 | 1루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이시카와 타카야 | 3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이타야마 유타로 | 2루수 | 5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6 | 호소카와 세이야 | 우익수 | 6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7 | 무라마츠 카이토 | 유격수 | 7 | 코가 유다이 | 포수 |
8 | 키노시타 타쿠야 | 포수 | 8 | 마루야마 카즈야 | 우익수 |
9 | 움베르토 메히아 | 투수 | 9 | 오쿠가와 야스노부 | 투수 |
승리투수 : 움베르토 메히아(1승 1패) : 6이닝 3탈삼진 8피안타 2피홈런 1사사구 5실점(5자책)
패전투수 : 코자와 레이지(1패) : 1이닝 1탈삼진 1피안타 1피홈런 1사사구 1실점(1자책)
세이브 : 마츠야마 신야(3세이브) : 1이닝 1탈삼진 무출루
홈런
야마다 테츠토 2호(1회 말, 3점), 코가 유다이 1호(6회 말, 1점)
호소카와 세이야(4회 초, 1점), 브라이트 켄타(7회 초, 1점) 1호
선발로 등판한 오쿠가와 야스노부가 개막전처럼 시작부터 불안한 모습을 보이다 이시카와 타카야, 이타야마 유타로에게 연속 적시타를 얻어맞고 1회 초부터 3점을 내주는 최악의 스타트를 끊었다. 야쿠르트는 그 직후 1회 말에 야마다 테츠토가 2시합 연속이 되는 동점 3점포를 터뜨리며 경기를 원점으로 되돌리고 2회 말엔 모기 에이고로가 적시타를 터뜨려 3:4로 역전했으나 오쿠가와가 주니치 타선에 또 다시 붙잡히며 4회 초 호소카와 세이야에게 동점 솔로포, 5회 초엔 선제타를 쳤던 이시카와에게 재역전 1타점 3루 땅볼을 허용한 채 5이닝 5실점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남기고 강판되었고, 6회 말 코가 유다이의 좌월 솔로포로 다시 동점을 만들었지만 직후인 7회 초에 코자와 레이지가 브라이트 켄타에게 좌월 솔로포를 얻어맞아 다시 리드를 허용했고 이것이 그대로 결승점이 되면서 동점과 역전이 치열하게 이 날의 경기는 주니치의 승리로 끝을 맺었다.
야쿠르트에게 있어선 지난 2경기와는 달리 타선이 나름 터졌음에도 오쿠가와가 개막전처럼 불안한 피칭을 보여준 것이 결국 치명타가 되면서 개막 3연패 이후 힘들게 복구한 승률이 하루 만에 다시 5할 밑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개막전 때는 오쿠가와가 운 좋게 요미우리 타선을 무실점으로 막고 대량 리드를 잡은 것을 불펜진의 방화로 날려버리는 대참사가 벌어졌는데 이 경기에선 코자와가 결승점을 헌납한 걸 빼면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진 것. 특히 상대팀인 주니치는 이 날 전까지 12구단 중 유일하게 홈런 및 4득점 경기가 없었지만 이 경기에서 드디어 오쿠가와를 상대로 타선이 불을 뿜으면서 그 기록을 깨뜨렸다.
4. 4월 8일 ~ 4월 9일 vs 한신 타이거스 (원정) / 위닝 시리즈
원래는 4월 10일까지 3연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4월 10일 경기가 3회 초 도중에 우천으로 인해 노게임으로 선언되면서 2연전으로 끝났다.4.1. 4월 8일 (승리)
2025.4.8(화) 18:00~20:44 | vs 한신 타이거스 1차전 - 한신 코시엔 구장 (관객 수: 42,608명) | |||||||||||||||||||||||||||||
<rowcolor=#0D264B>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야쿠르트 | 타카하시 케이지 | 0 | 0 | 0 | 0 | 0 | 0 | 0 | 1 | 0 | 1 | 5 | 0 | ||||||||||||||||
한신 | 사이키 히로토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선발 라인업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한신 타이거스 | ||||
1 | 마루야마 카즈야 | 우익수 | 1 | 치카모토 코지 | 중견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2 | 나카노 타쿠무 | 2루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3 | 와타나베 료 | 3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4 | 모리시타 쇼타 | 우익수 |
5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5 | 오야마 유스케 | 1루수 |
6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6 | 마에가와 우쿄 | 좌익수 |
7 | 아카하네 요시히로 | 중견수 | 7 | 우메노 류타로 | 포수 |
8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키나미 세이야 | 유격수 |
9 | 타카하시 케이지 | 투수 | 9 | 사이키 히로토 | 투수 |
승리투수 : 타카하시 케이지(1승 1패) : 8이닝 9탈삼진 3피안타 3사사구 무실점
패전투수 : 사이키 히로토(2패) : 8이닝 6탈삼진 5피안타 3사사구 1실점(1자책)
세이브 : 이시야마 타이치(2세이브) : 1이닝 1탈삼진 무출루
홈런
없음
없음
7회까지 양팀 투수들 모두 상대 타선을 철저히 틀어막는 투수전[4]으로 전개되다 8회 초 1사 1, 2루에서 도밍고 산타나가 우익수 쪽 2루타로 선제점을 따냈고 이것이 그대로 이날 경기의 유일한 득점이자 결승점이 되었다. 선발 투수 타카하시 케이지가 8이닝 119구의 역투로 한신 타선을 무실점으로 막아낸 뒤 9회 말에 이시야마 타이치에게 마운드를 넘겼고, 이시야마는 무결점 이닝을 달성한 지난 경기에 이어 또 다시 삼자범퇴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4.2. 4월 9일 (승리)
2025.4.9(수) 18:00~21:22 | vs 한신 타이거스 2차전 - 한신 코시엔 구장 (관객 수: 42,580명) | |||||||||||||||||||||||||||||
<rowcolor=#0D264B>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야쿠르트 | 이시카와 마사노리 | 0 | 0 | 0 | 0 | 0 | 5 | 0 | 0 | 0 | 5 | 6 | 3 | ||||||||||||||||
한신 | 제레미 비슬리 | 0 | 3 | 0 | 0 | 0 | 0 | 0 | 0 | 0 | 3 | 6 | 1 |
선발 라인업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한신 타이거스 | ||||
1 | 니시카와 하루키 | 우익수 | 1 | 치카모토 코지 | 중견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2 | 나카노 타쿠무 | 2루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3 | 모리시타 쇼타 | 우익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4 | 오야마 유스케 | 1루수 |
5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5 | 마에가와 우쿄 | 좌익수 |
6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6 | 키나미 세이야 | 3루수 |
7 | 아카하네 요시히로 | 중견수 | 7 | 우메노 류타로 | 포수 |
8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오바타 류헤이 | 유격수 |
9 | 이시카와 마사노리 | 투수 | 9 | 제레미 비슬리 | 투수 |
승리투수 : 이시카와 마사노리(1승) : 5이닝 2탈삼진 5피안타 1사사구 3실점(1자책)
패전투수 : 쿠도 타이세이(1패) : 0.1이닝 2사사구 2폭투 2실점(1자책)
세이브 : 이시야마 타이치(3세이브) : 1이닝 1탈삼진 무출루
홈런
없음
없음
2회 말에 한신이 이시카와 마사노리에게 오오야마 유스케, 마에가와 우쿄의 연속 안타와 키나미 세이야의 볼넷 출루로 무사 만루 찬스를 만들었고, 여기서 우메노 류타로의 투수 쪽 땅볼을 이시카와가 홈병살로 처리하려다 송구를 높이 띄워버리는 실책을 저질러 오오야마의 홈인을 허용하며 선제점을 내줬다. 뒤이어 오바타 류헤이가 희생 플라이, 제레미 비슬리가 스퀴즈 번트로 마에가와와 키나미도 홈으로 불러들여 한신이 안타 없이 3점을 빼앗으며 시작부터 리드를 넉넉히 잡았다.
이후 야쿠르트 타선이 5회까지 비슬리에게 틀어막히며 한신이 무난히 승리하는 전개로 흘러가나 싶었는데, 6회 초에 니시카와 하루키가 볼넷으로 출루한 데 이어 나가오카가 1루수 오오야마의 미트를 스치는 우익선상 2루타로 무사 2, 3루 찬스를 만들자 한신 코치진이 비슬리를 강판시키고 후속 투수로 쿠도 타이세이를 내보냈으나 쿠도가 2번이나 실점으로 이어지는 폭투를 저지르고[5] 볼질까지 일삼는 바람에 1사 1, 2루로 2번째 찬스를 만들고 점수차를 1점으로 좁혔다. 결국 쿠도는 오요카와 마사키에게 마운드를 넘기고 강판되었고, 오요카와를 상대로 대타 마스다 슈가 3루선상 2루타로 동점을 만든 데 이어 후속 타자 아카하네 요시히로가 1루 땅볼을 친 것을 오오야마가 홈으로 던지려다 악송구가 되어 빠지는 바람에 2, 3루 주자가 모두 홈으로 들어오며 야쿠르트가 2회 말의 굴욕을 배로 되갚고 단박에 5:3 역전에 성공했다.
이후 7회부터 9회까지 양측 계투들이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그대로 야쿠르트의 5:3 승리로 경기가 끝났고, 야쿠르트는 이 경기를 승리하며 시즌 첫 승패마진 +를 기록하게 되었다. 또한 초반에 3실점으로 패전 위기를 자초했던 이시카와 마사노리는 이후 실점 없이 그럭저럭 5이닝을 소화한 덕분에 팀의 역전과 함께 승리투수가 되면서 프로야구 역대 최초로 24년 연속 승리투수라는 진기록을 수립하게 되었다.
5. 4월 12일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원정) / 1패
원래는 4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연전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1차전인 4월 11일 경기는 3회 말 도중에 우천으로 인해 노게임 선언, 3차전인 4월 13일 경기도 개최 전에 우천취소가 결정되면서 2차전인 4월 12일 경기만 개최되었다.5.1. 4월 12일 (패배)
2025.4.12(토) 14:00~16:47 |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1차전 - 요코하마 스타디움 (관객 수: 33,595명) | |||||||||||||||||||||||||||||
<rowcolor=#ffffff>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야쿠르트 | 피터 램버트 | 0 | 0 | 0 | 0 | 0 | 0 | 0 | 0 | 4 | 4 | 7 | 0 | ||||||||||||||||
DeNA | 앤서니 케이 | 0 | 0 | 2 | 0 | 2 | 1 | 0 | 0 | X | 5 | 9 | 0 |
선발 라인업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 ||||
1 | 아카하네 요시히로 | 중견수 | 1 | 카지와라 코키 | 중견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2 | 마키 슈고 | 2루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3 | 사노 케이타 | 1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4 | 미야자키 토시로 | 3루수 |
5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5 | 와타라이 류키 | 우익수 |
6 | 마스다 슈 | 우익수 | 6 | 야마모토 유다이 | 포수 |
7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7 | 쓰쓰고 요시토모 | 좌익수 |
8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모리 케이토 | 유격수 |
9 | 피터 램버트 | 투수 | 9 | 앤서니 케이 | 투수 |
승리투수 : 앤서니 케이(1승) : 7이닝 9탈삼진 2피안타 무실점
패전투수 : 피터 램버트(1승 1패) : 5이닝 2탈삼진 7피안타 2사사구 4실점(4자책)
세이브 : 이세 히로무(1세이브) : 0.1이닝 무출루
홈런
없음
없음
전날인 4월 11일 경기가 도중 취소된 후 같은 날 1위였던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게 패배하면서 승차 없이 요미우리를 제치고 시즌 첫 단독 1위로 등극했다.
그러나 막상 경기가 시작되자 주니치와의 데뷔전에선 호투를 펼쳐줬던 피터 램버트가 이 날은 DeNA 타선에게 붙잡히면서 3회와 5회에 2실점씩 허용하며 5이닝 4실점으로 무너졌고, 6회에도 램버트의 후속 투수로 등판한 야마모토 다이키가 선제 적시타를 때린 카지와라 코키에게 추가 적시타를 허용한 데 이어 타선이 8회까지 앤서니 케이와 이시다 유타로에게 틀어막히며 5:0으로 질질 끌려갔다.
그런데 완패 직전인 9회 초 2아웃에서 멀티 이닝을 소화하던 이시다가 갑작스런 난조를 보인 것을 놓치지 않은 도밍고 산타나와 호세 오수나의 연속 안타로 1점을 뽑은 것을 시작으로 후속 투수로 등판한 로완 윅도 아웃카운트를 전혀 잡지 못한 채 제구난에 빠진 것을 틈타 2연속 볼넷으로 밀어내기에 모기 에이고로에게 2타점 적시타를 쳐내면서 점수차를 1점으로 좁히고 2사 1, 3루로 극적인 동점 찬스까지 얻게 되었다. 그러나 황급히 등판한 이세 히로무에게 마츠모토 나오키[6]가 우익수 뜬공으로 아웃되며 동점 직전에서 아쉽게 패배했고, 어부지리로 먹은 1위 자리에서 하루 만에 내려오게 되었다.
6. 4월 15일, 4월 17일 vs 한신 타이거스 (홈) / 루징 시리즈
4월 15일 경기는 봇쨩 스타디움(에히메현 마츠야마시) 지방경기로 개최되며 이후 이동일(4월 16일)을 거쳐 메이지진구 야구장에서 4월 17일 경기를 개최한다.6.1. 4월 15일 - 마츠야마 지방경기 (패배)
2025.4.15(화) 18:00~21:14 | vs 한신 타이거스 3차전 - 봇쨩 스타디움 (관객 수: 26,943명) | |||||||||||||||||||||||||||||
<rowcolor=#000000>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한신 | 사이키 히로토 | 1 | 0 | 0 | 0 | 0 | 4 | 0 | 0 | 0 | 5 | 10 | 2 | ||||||||||||||||
야쿠르트 | 오쿠가와 야스노부 | 0 | 0 | 0 | 0 | 0 | 0 | 0 | 0 | 1 | 1 | 4 | 1 |
선발 라인업 | |||||
한신 타이거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치카모토 코지 | 중견수 | 1 | 니시카와 하루키 | 중견수 |
2 | 나카노 타쿠무 | 2루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3 | 모리시타 쇼타 | 우익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사토 테루아키 | 3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오야마 유스케 | 1루수 | 5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6 | 마에가와 우쿄 | 좌익수 | 6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7 | 우메노 류타로 | 포수 | 7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키나미 세이야 | 유격수 | 8 | 마루야마 카즈야 | 우익수 |
9 | 사이키 히로토 | 투수 | 9 | 오쿠가와 야스노부 | 투수 |
승리투수 : 사이키 히로토(1승 2패) : 7이닝 5탈삼진 2피안타 1사사구 무실점
패전투수 : 오쿠가와 야스노부(1패) : 5.1이닝 6탈삼진 8피안타 1사사구 5실점(5자책)
세이브 : 이와자키 스구루(6세이브) : 0.2이닝 무출루
홈런
없음
없음
오쿠가와 야스노부가 1회 초부터 모리시타 쇼타에게 선제 적시타를 얻어맞았지만 5회까지 주자를 출루시키면서도 어떻게든 버텼으나 6회 초에 결국 한신 타선에게 붙잡히며 5.1이닝 5실점으로 무너졌다. 타선은 사이키 히로토를 비롯한 한신 투수진에게 지난 경기의 복수를 당하듯 8회까지 무득점으로 틀어막히다 9회 말에 1사 만루 찬스에서 야마다 테츠토의 희생 플라이로 겨우 1점을 뽑아내는 데 그치며 무기력하게 패배했다.
6.2. 4월 17일 (패배)
2025.4.17(화) 18:00~22:07 | vs 한신 타이거스 4차전 - 메이지진구 야구장 (관객 수: 28,980명) | |||||||||||||||||||||||||||||
<rowcolor=#000000>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R | H | E | ||||||||||||||
한신 | 제레미 비슬리 | 0 | 1 | 0 | 0 | 0 | 0 | 0 | 3 | 1 | 0 | 2 | 7 | 14 | 1 | ||||||||||||||
야쿠르트 | 요시무라 코지로 | 1 | 2 | 0 | 0 | 0 | 2 | 0 | 0 | 0 | 0 | 0 | 5 | 9 | 1 |
선발 라인업 | |||||
한신 타이거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치카모토 코지 | 중견수 | 1 | 니시카와 하루키 | 중견수 |
2 | 나카노 타쿠무 | 2루수 | 2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3 | 모리시타 쇼타 | 우익수 | 3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4 | 사토 테루아키 | 3루수 | 4 | 무라카미 무네타카 | 우익수 |
5 | 오오야마 유스케 | 1루수 | 5 | 호세 오수나 | 1루수 |
6 | 마에가와 우쿄 | 좌익수 | 6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7 | 우메노 류타로 | 포수 | 7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8 | 키나미 세이야 | 유격수 | 8 | 마츠모토 나오키 | 포수 |
9 | 제레미 비슬리 | 투수 | 9 | 요시무라 코지로 | 투수 |
승리투수 : 오요카와 마사키(2승) : 2이닝 3탈삼진 무출루
패전투수 : 마이크 바우만(1패) : 1이닝 2피안타 1피홈런 2사사구 2실점(2자책)
홈런
사토 테루아키 5호(8회 초, 2점), 치카모토 코지 2호(11회 초, 2점)
없음
상반신 통증으로 개막 엔트리에 들어가지 못하고 재활 중이던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복귀했다. 이날 무라카미는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며 데뷔 이래 처음으로 외야 수비를 맡게 되었다.
1회 말 무사 1, 3루에서 도밍고 산타나의 유격수 땅볼을 틈타 3루 주자 니시카와 하루키가 홈으로 들어오며 야쿠르트가 선제점을 땄으나, 직후인 2회 초에 한신이 2사 2루에서 제레미 비슬리와 치카모토 코지의 연속 우전안타로 동점을 만들었다.[7] 그러나 야쿠르트도 곧바로 2회 말에 1사 만루에서 니시카와 하루키의 우전 적시타와 나가오카 히데키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추가해 다시 리드를 잡았고, 이후 6회부터 양 팀 모두 불펜 투수들을 투입해 상대팀 타선을 막으며 7회까지 3:1 스코어가 유지되었다.
그런데 8회 초에 시미즈 노보루가 아웃 카운트를 하나도 잡지 못한 채 나카노 타쿠무, 모리시타 쇼타에게 연속 2루타를 맞고 1점을 내준 데 이어 사토 테루아키에게 역전 2점 홈런까지 맞는 참사가 벌어졌고, 9회 초에도 타구치 카즈토가 모리시타 쇼타에게 추가 적시타를 허용하며 3:5 역전으로 분위기가 순식간에 한신에게 기울었다. 궁지에 몰린 야쿠르트는 2사 2루에서 도밍고 산타나가 좌측 외야라인을 파고드는 적시 2루타로 1점차까지 쫓았으나 후속 타자인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스윙 후 갑작스럽게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아카하네 요시히로가 대타로 급히 나서야 했고, 여기서 아카하네의 초구 타격이 유격수 쪽 땅볼로 굴러가며 허무하게 패배하나 싶었는데 유격수 키나미 세이야가 이 땅볼을 흘려버리는 실책을 저지르는 바람에 3루 주자 나미키 히데타카가 그대로 홈인하면서 어이없게 동점이 되었다.
이후 끝내기에 실패한 채 연장전으로 진행되다 11회 초, 데뷔전을 갖게 된 마이크 바우만이 1사 1루에서 치카모토 코지에게 2점 홈런을 얻어맞으며 다시 한신이 리드를 잡았고, 10회부터 등판한 오요카와 마사키가 무실점으로 11회 말을 마무리지으면서 결국 야쿠르트가 개막 3연패 이후 다시 한 번 3연패를 기록하고 단독 최하위로 추락했다. 여기다 다음 날 무라카미가 상술한 허리 통증으로 1군에 승격한 지 하루 만에 다시 말소되었다.
7. 4월 18일 ~ 4월 20일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홈)
7.1. 4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18일 금요일 18: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메이지진구 야구장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巨 | ||||||||||||||
ヤ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巨 | |||||||||||||
ヤ |
7.2. 5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19일 토요일 18: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메이지진구 야구장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巨 | ||||||||||||||
ヤ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巨 | |||||||||||||
ヤ |
7.3. 4월 20일 (승리)
2025.4.20(일) 18:00~ | vs 요미우리 자이언츠 6차전 - 메이지진구 야구장 (관객 수: 28,900명) | |||||||||||||||||||||||||||||
<rowcolor=#0D264B>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H | E | |||||||||||||||
요미우리 | 카일 켈러 | 0 | 1 | 0 | 0 | 1 | 0 | 0 | 0 | 0 | 0 | 2 | 8 | 0 | |||||||||||||||
야쿠르트 | 피터 램버트 | 2 | 0 | 0 | 0 | 0 | 0 | 0 | 0 | 0 | 1X | 3 | 10 | 0 |
선발 라인업 | |||||
요미우리 자이언츠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
1 | 이즈구치 유타 | 유격수 | 1 | 니시카와 하루키 | 중견수 |
2 | 와카바야시 가쿠토 | 좌익수 | 2 | 도밍고 산타나 | 좌익수 |
3 | 요시카와 나오키 | 2루수 | 3 | 모기 에이고로 | 3루수 |
4 | 오카모토 카즈마 | 3루수 | 4 | 호세 오수나 | 1루수 |
5 | 카이 타쿠야 | 포수 | 5 | 나가오카 히데키 | 유격수 |
6 | 엘리어 에르난데스 | 중견수 | 6 | 야마다 테츠토 | 2루수 |
7 | 아라마키 유 | 1루수 | 7 | 나카무라 유헤이 | 포수 |
8 | 사사하라 미사키 | 우익수 | 8 | 피터 램버트 | 투수 |
9 | 카일 켈러 | 투수 | 9 | 이와타 유키히로 | 우익수 |
승리투수 : 키자와 나오후미(2승 1패) : 0.1이닝 무피안타 1사사구 무실점
패전투수 : 토다 나츠키(1승 1패) : 1.2이닝 2피안타 1사사구 1실점 (1자책)
홈런
와카바야시 가쿠토 1호 (5회초, 1점)
모기 에이고로 1호(1회말, 2점)
1회말 산타나의 중전 안타 이후로 모기 에이고로의 이적 후 첫 홈런이 터지며 0 - 2로 야쿠르트가 앞서 나간다.
2회초 카이 타쿠야와 아라마키의 안타, 사사하라의 볼넷으로 1사 만루에서 사사키 슌스케를 삼진, 2사 만루에서 이즈구치에게 우전 안타를 허용하며 1실점을 했지만 2루주자 아라마키의 무리한 주루플레이로 홈에서 여유롭게 태그아웃 당하며 1실점으로 끝난다.
5회초 와카바야시 가쿠토가 좌월 홈런을 날리며 2 - 2 동점이 된다.
7-9회까지 찬스는 있었지만 둘 다 말아먹으며 무실점, 연장전으로 돌입한다.
10회초 요미우리가 2사 이후 볼넷-볼넷-사구로 만루를 만들었지만 키자와가 카이를 2루 땅볼로 잡아내며 만루 위기를 탈출한다.
10회말 산타나는 우익수 플라이로 1아웃, 모기의 우익 선상 2루타와 오수나의 자동고의사구로 1사 1, 2루가 되었고, 대타 코가 유다이가 들어서서 좋은 타구를 쳤지만 2루수 요시카와의 호수비에 가로 막혀 2사 1, 3루가 되었다. 6번 이토 류이가 타석에 들어섰고, 1볼에서 이토가 2구째 슬라이더를 제대로 받아쳐 좌월 펜스를 직격하는 사요나라 적시타를 기록하며 2 - 3 짜릿한 역전승을 만들었다.
8. 4월 22일 ~ 4월 23일 vs 히로시마 도요 카프 (원정)
8.1. 4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22일 화요일 18: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마츠다 스타디움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ヤ | ||||||||||||||
広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ヤ | |||||||||||||
広 |
8.2. 5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23일 수요일 18: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마츠다 스타디움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ヤ | ||||||||||||||
広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ヤ | |||||||||||||
広 |
9. 4월 25일 ~ 4월 27일 vs 주니치 드래곤즈 (원정)
9.1. 4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25일 금요일 18: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반테린 돔 나고야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ヤ | ||||||||||||||
中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ヤ | |||||||||||||
中 |
9.2. 5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26일 토요일 14: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반테린 돔 나고야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ヤ | ||||||||||||||
中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ヤ | |||||||||||||
中 |
9.3. 6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27일 일요일 13:3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반테린 돔 나고야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ヤ | ||||||||||||||
中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ヤ | |||||||||||||
中 |
10. 4월 29일 ~ 5월 1일 vs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홈)
10.1. 4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29일 화요일 13: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메이지진구 야구장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De | ||||||||||||||
ヤ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De | |||||||||||||
ヤ |
10.2. 5차전
【JERA セ・リーグ公式戦】 2025년 4월 30일 수요일 18:00 | 경기 종료 시간 nn:nn | ||||||||||||||
메이지진구 야구장 | ||||||||||||||
관중 수: 00,000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De | ||||||||||||||
ヤ | ||||||||||||||
<colbgcolor=#FFFFFF,#073180> 勝: | 敗: | H: | S: | ||||||||||||||
HR | De | |||||||||||||
ヤ |
10.3. 6차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2025년/5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2025년/5월#|]][[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2025년/5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참고로 이시카와는 지난 해까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중간 계투로 뛰다가 시즌 종료 후 구단의 육성선수 재계약을 거부한 채 방출되어 요미우리로 이적했고, 이적 후 의외로 빠르게 기회를 잡아 이 날 3년 만에 개인 2번째 선발 투수로 등판한 상황이었다. 그런 투수에게 선제 적시타를 얻어맞았으니 굴욕도 이런 굴욕이 더 없는 상황.[2] 구단에서 고인의 사생활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해당 직원의 정확한 신상을 밝히진 않았으나 츠바쿠로의 데뷔 초창기부터 장기간 슈트액터를 맡았다고 한다. 해당 담당자의 사망 후 츠바쿠로는 명목상 휴식 상태로 활동을 중단하고 있다.[3] 사실 이 득점도 주니치의 2루수 이타야마 유타로가 다소 아쉬운 수비로 2번이나 병살을 놓친 것이 컸다. 우선 1사 1루 때 3루수 이시카와 타카야의 송구를 놓치는 실책을 저지르는 바람에 병살로 이닝을 끝낼 수 있었던 것을 득점권 위기로 몰리게 만들었고, 뒤이어 만루 위기에서 유격수 무라마츠 카이토의 송구를 이번엔 잘 받아냈으나 그 직후 1루로 던지는 타이밍이 늦는 바람에 아카하네가 1루에서 세이프되며 결국 2번째 병살 기회도 놓치고 동점을 내주고 말았다.[4] 7회말에 한신에게 1사 1, 2루 찬스가 왔었으나 대타 하라구치가 병살타를 치며 날려먹었다.[5] 폭투를 2번이나 저지르는 중간에 호세 오수나가 유격수 뜬공으로 아웃되었다.[6] 이 날 선발 포수로 출장했던 나카무라 유헤이가 타구에 오른손을 맞는 부상을 당하는 바람에 6회부터 교체 출장했었다.[7] 원래는 무사 2, 3루였지만 비슬리의 직전 타자였던 키나미 세이야가 3루수 쪽 직선타를 날리는 바람에 루에 나가있던 3루 주자까지 병살로 아웃되며 2사 2루가 되어버렸다. 요시무라 코지로가 동점 허용 직후에도 흔들리며 2사 만루 위기를 초래했으나 다행히 모리시타 쇼타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추가 실점은 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