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9:12:17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마스코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3180><tablebgcolor=#073180>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원형 엠블럼.svg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일반 문서
<colbgcolor=#96c800><colcolor=#073180>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야쿠르트 혼샤 로고.svg 야쿠르트 혼샤 | 과거 모기업 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 일본국유철도 · 파일:external/sankei.jp/logo_01.gif 산케이 신문
일본시리즈 우승
★★★★★★
1978 · 1993 · 1995 · 1997 · 2001 · 2021
리그 우승
(9회)
1978 · 1992 · 1993 · 1995 · 1997 · 2001 · 2015 · 2021 · 2022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9 · 2011 · 2012 · 2015 · 2018 · 2021 · 2022
시즌별 요약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경기장 1군 메이지진구 야구장 · 2군 야쿠르트 토다 구장 · 지방구장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현역 선수 경력 무라카미 무네타카/선수 경력 · 야마다 테츠토/선수 경력 · 오쿠가와 야스노부/선수 경력
홈 중계 채널 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후지 테레비 1
주요 인물 단장 오가와 준지 · 감독 타카츠 신고 · 선수회장 시미즈 노보루 · 주장 야마다 테츠토
구단 상세 정보 구단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도쿄온도 · 츠바쿠로 · 도쿄 시리즈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1. 개요2. 상세 프로필
2.1. 츠바쿠로
2.1.1. 특징2.1.2. 교우관계도2.1.3. FA 및 연봉 협상
2.2. 츠바미2.3. 토르쿠야
3. 여담4.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마스코트에 대해 정리한 문서.

공식 마스코트는 제비인 츠바쿠로, 츠바미, 토르쿠야. 이 중에서도 츠바쿠로가 가장 유명하며, 구단을 대표하는 마스코트이자 주니치 드래곤즈의 마스코트 도아라와 함께 센트럴 리그를 대표하는 초인기 캐릭터다.
파일:2a5e1b80.jpg
초창기 츠바쿠로
파일:202111110000711-w500_6.jpg
최근 츠바쿠로
파일:9784063378610_w.jpg
구단이 공식 감수한 마가리 히로유키의 만화 '하늘을 향해 츠바쿠로'

2. 상세 프로필

2.1. 츠바쿠로

공식 프로필
등번호 사진 일본어 한글명
2896 파일:2896l.jpg つば九郎 츠바쿠로

츠바쿠로는 1994년 4월 9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첫 등장한 이래 팀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동시에 엄청난 존재감을 지니고 있는 캐릭터로, 2008년 프로야구 마스코트들 중 최초로 1,000경기 연속 출전을 달성했으며 2015년 6월 27일에는 1,500경기 연속 출전을 달성했다.

워낙 자유분방한 데다 또라이(...)스런 성격이라 팬들에게 웃음과 동시에 강렬한 존재감을 보여준다.

2.1.1. 특징

파일:EOYlhCAU4AAhBKJ.jpg
파일:a3775d6885a2c62ddb6fe74fa81e13a1-450x414.jpg
  • 홈경기 때 스케치북에 뭔가를 적어서 전광판에 보여주는 일명 ‘오늘의 한 마디’(今日のひとこと)를 진행 중인데, 재미있는 드립이 많다. 또한 모든 글을 히라가나로만 쓰는 특징이 있다.
파일:CYQHSW7N2NITTGJPAHHTKGXODI.jpg
파일:202207280000082-w500_0.jpg
  • 이외에도 경기 때마다 리본 동작을 선보인다거나 헬멧을 벗어 공중에 던지는 ‘쿠루링파’(くるりんぱ)에 도전하고 있다. 헬멧이 머리에 들어가면 성공이지만 지금까지 단 1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
파일:츠바쿠로배우데뷔.jpg
  • 2019년 6월에는 무려 배우로도 데뷔했다. 토에이TBS 글로디아가 츠바구로 주연의 인터넷 드라마 <츠바메 형사>의 제작 발표회를 개최했고, 실제로 히카리TV를 통해 선행 전달 되었다.#
  • 2022년 7월 27일에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아 구단에서 올스타전 출전 구단 및 NPB 스태프를 대상으로 실시한 스크리닝 PCR 검사에서 츠바쿠로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공식 발표했다.[2] 그리고 8월 3일에 건강한 모습으로 경기장에 복귀했다.링크
파일:츠바쿠로2000경기.jpg
  • 2022년 8월 5일부터 7일까지 주최경기 2,000시합 출전을 기념하여 '츠바쿠로DAY 2022-2,000th GAMES' 이벤트를 개최하였다. 8월 5일 시합 중간에 2,000시합 출전 기념 세레머니를 진행했고, # 8월 7일에는 시합 시작 전 명구회로부터 주최경기 2,000시합 출전 달성 기념 특별표창장을 수여받았다.#
  • 2025년 2월 6일 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츠바쿠로가 체력 이슈로 인해 한동안 휴식을 취한다고 밝혔었다. # 하지만 약 2주 후인 2월 19일에 츠바쿠로의 데뷔 초창기부터 슈트 액터를 맡았던 직원이 사망했다는 소식이 공식 발표되며 해당 직원의 건강 문제였음이 밝혀졌다. #

2.1.2. 교우관계도

파일:202208020000523-w500_0.jpg
야쿠르트 담당 기자가 그린 츠바쿠로의 교우관계도

츠바쿠로는 일본 야구계와 마스코트계는 물론 연예계에서 정재계까지 그 인맥을 넓혀가 폭넓은 교우관계를 자랑하고 있다. 특히 주니치 드래곤즈의 인기 마스코트 도아라와는 비즈니스 파트너 관계(...)까지 맺었다.

같은 센트럴 리그에서 활약하는 주니치 드래곤즈도아라와 쌍벽을 이루는 4차원 캐릭터로 야구팬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것은 물론, 마스코트 중에서도 매우 돈독한 사이를 자랑하고 있다.
파일:츠바쿠로-도아라.png

2.1.3. FA 및 연봉 협상

파일:3XBDHDESVVJFNDGX4SLVT6HASM.jpg
구단 마스코트이면서 FA를 선언하기까지 하는 자유분방함의 절정을 보여주는 캐릭터다. 2012년 시즌 종료 후에 당당히 FA를 선언했다가 철회한 것. 2012년 연봉협상 장면

2016년에는 연봉 협상에 3시간이나 지각하는 추태로 구단 수뇌부의 분노(?)를 사서 협상 테이블에 앉지도 못하고 서면 통보로 연봉이 동결되었다(...)
2021년 1월 7일에 2번째 FA를 선언했고, 얼마 뒤 추정 연봉 5만엔 및 야쿠르트 1000 음료 무제한 제공에 활약에 따라 쿠폰권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야쿠르트에 잔류했다.# 협상 대리인은 영원한 친구인 도아라가 맡았다고 한다. 모기업을 잘못 만나서 남의 구단 두탕까지 뛰는 도아라

2024년 1월 29일 야쿠르트 구단과 연봉 6만엔 및 1000 음료 무제한 제공에 재계약했다. 1만엔은 디퍼로 은퇴 후에 지급된다고.

2.2. 츠바미

공식 프로필
등번호 사진 일본어 한글명
283 파일:283l.jpg つばみ 츠바미
  • 생년월일: 우후후(●´ω`●)
  • 출신지: 메이지 기념관
  • 체중: 츠바쿠로의 체중 절반 정도·사과 283개
  • 투타: 우투우타
  • 혈액형: 사랑이 있으면 상관없다고.
  • 마스코트 경력: 야쿠르트(1999~)
  • 공식 사이트: 블로그, 인스타그램
  • 기타 경력

2.3. 토르쿠야

공식 프로필
등번호 사진 일본어 한글명
0698 파일:0698l.jpg トルクーヤ 토르쿠야
  • 생년월일: 비공개
  • 출신지: 멕시코
  • 신장・체중: S사이즈・제비 1마리
  • 투타: 우투우타
  • 혈액형: 비공개
  • 마스코트 경력: 아레나 메히코 - 도쿄 야쿠르트(2014~)
  • 기타 경력

3. 여담

  • 츠바쿠로와 츠바미는 일본프로야구 12개 구단에서 유일하게 유니폼을 입지 않은 마스코트이다. # 다만 완전히 안 입는 건 아니라 경기장 내에서 생각보다 자주 유니폼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external/blog-imgs-56.fc2.com/12053108.jpg
  • 사진의 오른쪽의 슬림한 제비인 엔타로[3]가 있었으나 2013년 시즌 종료 후 은퇴하여 한 마리의 평범한 제비가 되었다고 한다.
파일:20150110234102.jpg
  • 2014년 이후 엔타로 대신 멕시코 출신의 야쿠르트를 등에 짊어지고 다니는 토르쿠야[4]가 새 마스코트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관중석에선 츠바쿠로보다도 자주 보인다.
파일:atom06.jpg
  • 과거 산케이 아톰즈일때는 데즈카 오사무아톰을 마스코트로 쓰기도 했다.[5] 과거의 인연에선지 야쿠르트의 2021년 센트럴 리그 우승을 기념해 아톰과의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구단의 굿즈샵에서 발매되기도 했다.#

4. 참고 문헌


[1] 1,000경기 연속 출장 이후에도 연속 출장을 이어갔지만 2022년 4월 22일 (슈트액터 직원이) 코로나 바이러스 밀접 접촉자로 판단되어 출장을 자숙하게 되면서 2,000경기 연속 출장에 실패했다. 그 후에도 7월 27일에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확진을 받아 1주일 간 휴양 기간을 가진 후 8월 3일 복귀하였다.[2] 상술했듯 츠바쿠로는 시즌 초인 4월 21일에도 츠바미와 함께 코로나 양성자와의 접촉 의심을 받고 다음날부터 24일까지 개최된 한신 타이거스과의 홈경기 3연전에서도 결장해 연속 출장 기록이 1966경기에서 막을 내렸다.# 또한 팀의 대표선수이자 단짝인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세계 최초 5연타석 홈런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는데 아쉽게도 츠바쿠로가 이때 자가 격리 중이라 대기록을 달성하는 순간을 함께하지 못하면서 대신 공식 블로그에 축하글을 남겼고, 경기장에선 츠바미가 무라카미에게 오빠를 대신해 축하 꽃다발을 전달했다.[3] 버팔로 벨치마를 들췄다가 픽시브에서 변태 취급을 당했다.[4] トルクーヤ, 글자를 보면 알겠지만 야쿠르트를 거꾸로 뒤집었다. 등번호는 이름에서 따온 0698.[5] 1966년에 구단 캐릭터에 기용된 이후 1974년에 팀명을 다시 스왈로즈로 환원할 때까지 8년 동안 산케이 아톰즈, 아톰즈, 야쿠르트 아톰즈와 같이 구단명에도 캐릭터명이 사용되는 등 스왈로즈와 꽤 인연이 깊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