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20:02:28

달그렌 포

화포의 분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da,#6e5b3c>분류 방식항목
사거리와 발사각도평사포 · 곡사포 · 박격포 · 구포
강선 유무강선포 · 활강포
포탄 종류사석포 · 유탄포 · 로켓포
장전 방식전장식 대포 · 후장식 대포
연사 방식기관포 · 속사포
표적 종류대공포 · 대전차포 · 공성포 · 양용포
이동 방식견인포 · 자주포 · 고정포
사용 비중주포 · 부포
크기와 중량거포 · 중포 · 경량포
장착 장소함포 · 야포 · 전차포 · 산포 · 요새포 · 해안포 · 덱건 · 보병포 · 열차포
반동의 억제저압포 · 저반동포 · 무반동총
근•현대 이전 분류팔코넷 · 세이커 · 컬버린 · 카로네이드 포 · 암스트롱포 · 달그렌 포 · 크루프 포}}}}}}}}}


파일:DahlgrenPawnee.jpg
Dahlgren gun
1. 개요2. 특징3. 달그렌 보트 곡사포
3.1. 함포3.2. 야포
4. 달그렌 대함포5. 달그렌 강선포6. 포탄7. 등장매체8. 둘러보기

1. 개요


19세기 미국에서 개발된 전장식 화포 체계. 미국 해군의 존 A. 달그렌(John Adolphus Bernard Dahlgren, 1809년 11월 13일 ~ 1870년 7월 12일)[1] 소장이 개발했다.

2. 특징

달그렌 포의 개발 동기는 1849년에 실시된 정확도 시험 중 14.5kg(32파운더) 함포가 폭발하는 사고가 일어나면서 포수 한 명이 사망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달그렌은 이전보다 더 과학적인 설계 기준을 사용하여 더 안전하고 강력한 함포를 설계할 수 있다고 믿었고, 이 철학을 바탕으로 신형 함포를 개발했다. 달그렌포는 매끄러운 곡선 형태로 설계되어, 함포의 폭발을 막기 위해 팽창하는 추진 가스의 최대 압력이 필요한 포미 부분에 더 많은 금속을 집중시켜서 포미 부분이 포신보다 두껍게 생겼다. 앞뒤로 두께가 달라지는 윤곽 때문에 달그렌포는 "소다병"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초기에는 청동으로 만들었지만 나중에는 철강을 사용했다.

3. 달그렌 보트 곡사포

함포로 도입된 모델은 일명 '달그렌 보트 곡사포'(Dahlgren boat howitzers)라고도 불렸으며, 포탄 규격과 포 본체의 사양에 따라서 12파운더 소형, 12파운더 경포, 12파운더 중포, 12파운더 강선포, 24 파운더가 존재했다.

3.1. 함포

멕시코-미국 전쟁 당시 미국은 함선에서 발사하여 상륙작전을 지원하는 경포로 사용할 수 있는 함포가 부족했다( Ripley 1984 , p. 87). 육군에서 차용한 경포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1849년, 당시 중위였던 달그렌은 함선의 벽과 갑판, 그리고 야전 이동대차에 장착할 수 있는 활강포 방식의 함선 곡사포 제품군을 설계하기 시작했다. 최초로 설계된 함선 곡사포는 12파운더(5.4kg) 경량 "12파운더", 중형 12파운더(원래 "중형"으로 지정), 그리고 24파운더(10.9kg) "24파운더"였다. 이후 경량 12파운더("소형")와 강선식 12파운더 중곡사포가 도입되었다. 모든 보트 곡사포는 디자인이 매우 유사했다. 포신은 청동으로 주조되었고, 트러니언 대신 포신 바닥에 장착 러그 또는 고리가 달려 있었으며, 캐스케이블을 관통하는 승강 나사가 있었다. 장착 러그가 하나뿐이었기 때문에 곡사포를 발사대에서 야전 마차로, 그리고 다시 포탑 으로 옮기는 작업이 더 간편했다. 해군에서 운용된 보트 곡사포는 보트에 10명, 해안에 11명의 포병을 배치했다.

이동대차는 연철로 만들어졌다. 해군에서는 림버(limber)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탄약 상자 두 개(각각 9발씩 들어 있음)를 야전 마차 차축에 묶을 수 있었다. 포병대원들은 탄약 주머니에 탄약 한 발을 넣어 휴대하기도 했다. 활강포는 기본 포탄, 파편탄, 그리고 캐니스터탄을 발사했다. 강선식 12파운더 포는 산탄 과 포탄을 발사했다. 해군에서는 충격식 뇌관을 사용했지만, 곡사포는 육군에서 조달한 마찰식 뇌관을 사용할 수도 있었다.

소형 12파운더 곡사포와 경량 12파운더 곡사포는 인기가 없었다. 중형 12파운더 곡사포는 본래 용도에 가장 적합했고, 24파운더 곡사포는 소형 함선의 주포 및 부포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부 24파운더 곡사포는 강선이 있던 것으로 보이지만, 당대의 일부 기록에서는 강선식 24파운더 곡사포와 20파운더 강선포를 혼동하기도 한다.

3.2. 야포

달그렌이 개발한 보트 곡사포는 육군에서도 사용되었다. 때때로 포병 포대에서 사용되기도 했지만, 보병 부대에서 더 자주 사용되었는데, 이는 나중에 보병 지원포라고도 불리게 되는 이유가 되었다..

남북 전쟁의 제1차 불 런 전투 에서 제 71 뉴욕 보병연대 1중대는 두 대의 보트 곡사포를 가지고 왔다. 이 부대는 워싱턴 D.C.에 배치되어 있을 때 보트 곡사포 훈련을 받았고, 불런 전투에 투입되었을 때 두 대를 가지고 왔다. 연대가 후퇴할 때 그들은 남부 연합군이 노획하도록 보트 곡사포를 남겨 두었다.

앤티텀 전투 동안 Whiting의 포대(K 중대, 제9뉴욕보병대[Hawkins' Zouaves])는 5문의 Dahlgren 보트 곡사포(2문은 강선포, 2문은 활강포, 1문은 불확정형)를 사용했다. 이 곡사포는 Snavely's Ford에서 남부연합 산개포대를 공격하여 진압했다(Johnson & Anderson , p. 78). 남부연합의 Grimes(Portsmouth) 포대는 2문의 활강 Dahlgren 보트 곡사포를 보유하고 있었고, 이 곡사포로 Piper's Stone Barn 근처에서 싸웠다(Johnson & Anderson , p. 78). 보트 곡사포가 인기가 많았던 덕인지 Grimes의 포대가 대포 중 하나를 돌려줘야 했을 때, 보트 곡사포 중 하나가 아닌 3인치 소총을 돌려주기로 했다( Johnson & Anderson , p. 24).

제 1뉴욕해병포연대 ("하워드 포병대, 해군여단") 또한 상륙작전 목적으로 보트 곡사포로 무장했다. 이 부대는 보트 곡사포를 사용하여 노스캐롤라이나 해안을 따라 16차례의 공습에 참여했다. 뉴욕해병포연대는 노먼 위어드(Norman Wiard)가 저탄소 철 합금인 반강철(semisteel) 로 제작한 12파운더 강선 보트 곡사포 12문을 지급받았다 . 사용된 소재를 제외하면 위어드 보트 곡사포는 달그렌(Dahlgren) 12파운더 강선 보트 곡사포와 동일했다. 위어드 보트 곡사포는 대량 생산되지 않았다( Ripley 1984 , p. 168).

서부 전선에서도 보트 곡사포가 사용되었다. 인디애나 여단은 1862년 7월 5일 아칸소주 그랜드 프레리 인근 전투에서 달그렌 보트 곡사포를 사용했다. ( 전쟁부 1885 , 109쪽)

두 군대 모두 보트 곡사포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전쟁이 끝날 무렵 육군 부대가 보트 곡사포를 사용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4. 달그렌 대함포

19세기 중반에 미군은 프랑스에서 개발된 파이샹스 함포의 영향을 받은 8인치 63cwt 함포를 채택했다. 하지만 달그렌은 이보다 더 높은 속도와 더 먼 사거리에 고폭탄을 발사할 수 있는 차세대 함포를 설계하기로 결심했다. 또한 솔리드 탄 역시 효과적으로 발사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출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철갑선이 등장하면서 견고한 대함 포탄을 발사하는 능력은 점점 더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달그렌은 파이샹스 함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드러냈다.
파이샹스는 지금까지 해군 장병들에게 함포의 위력을 납득시켜 함선에 포탄을 실을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그러나 폭발 요소를 과도하게 개발함으로써 정확도와 사거리를 희생했습니다. 파이샹스 시스템과 제 시스템의 차이점은 파이샹스 포는 순전히 포탄포(셸 건)였으며, 산탄이나 장거리에서의 높은 관통력, 정확도를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파이샹스 포는 산탄포의 보조 무기 또는 부속 무기입니다. 이는 혼합 무기를 형성했고, 그 자체로 이의를 제기했으며, 프랑스에서는 결코 채택되지 않았습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포탄을 멀리 정확하게 발사하고, 필요시 강력한 사격을 가할 수 있는 포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포대 전체를 이러한 포로 구성해야 합니다.

달그렌 함포탄은 모두 독특한 소다병 모양의 주철 컬럼비아드 포탄 이었고, 두 개를 제외한 모든 포탄에는 캐스케이블을 관통하는 승강 나사가 달려 있었다. 일부 달그렌 포탄은 시험에서 고장이 발생했지만, 사용 중 파열된 달그렌 포탄은 없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주목할 만한 특징이었다. 달그렌 포탄은 산탄, 통상탄, 파편탄, 캐니스터탄, 그리고 (15인치 포탄을 제외하고) 포도탄을 발사할 수 있었다.

남북전쟁 당시에는, 북부 해군이 새로운 남부연합 철갑함을 무찌르기 위한 15인치 함포를 요구하자 달그렌은 딜레마에 빠졌다. 그가 개발한 이전의 포탄은 모두 통째로 주조된 다음 전통적인 포병 제작 방식에 의해 구멍을 뚫었다. 13인치 포탄에 대한 달그렌의 노력은 만족스럽지 못했고 15인치 함포를 고체 주조할 수 있을지 확실하지 않았다. 그러나 15인치 함포는 토머스 잭슨 로드먼이 개발한 중공 주조 기술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주조되었다 . 그의 방법에서 함포는 파이프 주위에 주조되었다. 주물이 식으면서 작은 파이프를 첫 번째 파이프에 삽입하고 물을 작은 파이프를 통해 펌핑했고 동시에 뜨거운 석탄을 주물 외부에 놓았다. 이로 인해 주물이 내부에서 외부로 천천히 식었다. 주물의 외부 부분이 식으면서 이미 식은 내부 부분을 압축하여 더 내구도가 강한 함포가 만들어졌다. 군수국은 달그렌 15인치와 20인치 포탄을 로드먼 중공 주조법을 사용하여 주조하도록 명령했는데, 달그렌 설계 포에 로드먼 중공 주조법을 사용하면서 달그렌과 군수국 사이에 마찰이 생겼고, 명칭에도 약간의 혼란이 발생하는 일도 있었다.

5. 달그렌 강선포

활강포뿐만 아니라 강선포로 제조된 달그렌 포도 만들어졌다. 종류로는 20파운더, 30파운더, 50파운더, 80파운더, 150파운더, 12인치가 있다.

6. 포탄

7. 등장매체

8. 둘러보기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3)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남북전쟁 당시 워싱턴 해군 조선소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군수국을 설립했다. 1863년에는 소장 계급으로 남대서양 봉쇄 전대 사령관에 취임했다. 그는 윌리엄 테쿰세 셔먼이 조지아주 사바나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