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22:17:41

김종환(가수)


김종환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MBC 로고.svg 가요제전 대상
H.O.T.
행복
(1997년)
H.O.T.
김종환

사랑을 위하여
(1998년)
조성모
송대관
For Your Soul
네 박자

(1999년)

파일:f_logo.png
대상
H.O.T.
<행복>
(1997년)
김종환
<사랑을 위하여>
(1998년)
조성모
<For Your Soul>
(1999년)
* 2006부터 음반 대상디지털 음원 대상으로 나뉨

}}} ||
파일:external/tv.pstatic.net/201012081512178461.jpg
<colbgcolor=#808080><colcolor=#fff> 성명 김길남[1] → 김종환
출생 1966년 2월 1일[2] ([age(1966-02-01)]세)
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가수·싱어송라이터·프로듀서·사업가
본적 경기도 고양군 전관읍 한지면 행당리[3]
거주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본관 김해 김씨 (金海 金氏)
가족 2남 2녀 중 막내
배우자 김민주[4]
슬하 2녀
첫째 딸 김옹(1984년생)
둘째 딸 리아 킴(1987년생)
학력 서울은로국민학교 (졸업)
용산중학교 (졸업)
용산고등학교 (전퇴[5])동서울상업고등학교 (상업정보학과 / 졸업)
신흥실업전문대학 (행정학과 / 전문학사[6])
병역 육군 병장 만기전역
(1986년 12월 ~ 1989년 2월)
음악 경력 1983년~1985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 통기타 가수 활동
데뷔 1985년 《김종환 1집》에 수록된 노래 '쉴 곳 없는 나'
현직 JH 킴스 뮤직 CEO 대표이사
소속사 JH 킴스 뮤직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초기 생애2.2. 가수 데뷔2.3. 전환점
3. 학력4. 정규 음반5. 수상 경력6. 기타7.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의 어덜트 컨템퍼러리 팝 발라드 음악 가수이자 작사가, 작곡가이자 싱어송라이터이고, 음반 프로듀서이기도 하다.

2. 생애

2.1. 초기 생애

1966년 2월 1일서울특별시 마포구 아현동에서 2남 2녀 가운데 막내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입학하기도 전인 1971년, 아버지[7]를 병으로 여의고, 어머니 밑에서 성장한다.

서울은로국민학교(1972년~1978년)와, 서울용산중학교(1978년~1981년)를 졸업한 후, 서울용산고등학교(1981년)[8]를 거쳐 동서울상업고등학교 상업정보학과(1981년~1984년)와, 신흥실업전문대학 행정학과(1984년~1986년)를 졸업했다.[9]

1983년 동서울상고 상업정보학과 3학년 당시에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이른바 18세의 까까머리 통기타 음악 가수로 활약했고, 1985년 신흥실업전문대학 행정학과 2학년 휴학 당시에 첫 옴니버스 앨범으로 데뷔해, 가요계에 첫발을 내디딘다.

2.2. 가수 데뷔

김종환의 1집은 1985년 '쉴 곳 없는 나' 로 시작했으나 당시 음반회사의 부도로 인해 그리고 1집의 타이틀곡인 '대책 없는 너(바람난 천사)'가 지금 들어도 발칙한 가사로 인해 방송금지되는 바람에 결국 당시 소속사 측으로부터 1집과 + 두 장의 스페셜 앨범까지, 3장의 음반 홍보를 모두 갑자기 중단당하면서, 큰 실패를 겪게 된다. 이 여파로 인해 군제대를 한 후에도,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한동안 하숙 생활을 했으며, 그 와중에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나셨다고 한다.

2.3. 전환점

이런저런 활동으로 하며 어렵게 생계를 이어가던 김종환에게, 2가지 일이 각기각기 결정적인 계기가 되어, 가수 생활의 첫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첫째, 1990년 김종환이 직접 작사 및 작곡한, <미니스커트> 라는 곡을 당대의 인기 가수였던 민해경이 불러, 1990년 11월 즈음부터 인기를 끌게 된다. 1983년에 음악에 입문한 이후, 7~8년 동안 공부를 쌓은 '음악인 김종환'이 드디어 주목받기 시작한 것.

둘째, 김종환은 무명 시절, 시장 상인들 앞에서 공연을 많이 했는데, 김종환의 노래를 인상깊게 들으신 사장님들께서, 안면있는 방송국 PD에게도 '꾸준히' 추천하니 → 차츰 방송국에 출입할 기회가, 이전보다 늘어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와중에 1996년에 발표한 2집 음반 <존재의 이유>[10]가, 2020년대까지 역대 시청률 10위 안에 든 인기 드라마 <첫사랑>의 OST로 쓰이면서, 가요톱10 최고 4위까지 랭크, 일약 전국구 스타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특히 1996년에 발표한 <존재의 이유>는 70만장 이상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3집 <사랑을 위하여>는 방송 활동이 거의 없었음에도 가요톱텐에서는 12위까지 랭크되었고 판매량은 110만장이 넘으면서 H.O.T, 젝스키스, 핑클, SES, 김건모, 신승훈, 조성모, 김현정 등의 가수들을 제치고 골든디스크 대상을 받게 되었다.[11]

총 앨범 판매량이 300만장에 육박하며, 1990년대 당시에 30~40대 여성층(주부)에게 인기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 이들이 정식 음반이 아닌 '길보드' 또는 고속도로 테이프 등의 불법 복제 음반을 주로 구매하던 층이었음을 감안하면, 가수 본인에게 수입이 돌아오지 않는 총 음반 매출은 훨씬 높았을 것으로 추정.

작사와 작곡 공부를 꾸준히 하여, 본인이 부른 곡 다수를 만들었다. 본인의 곡 외에도, 김수희의 <아모르>, 민해경의 <미니스커트>, <사랑인줄 알았는데>, 노사연의 2015년 발표 한 <바램>, <사랑으로 하나가되어-노사연+김종환 듀엣 곡>, 리아킴[12]의 <위대한 약속>, 현숙의 <친구에서 애인으로>, 강현우의 <여자의 속성> 등 을 작사, 작곡, 프로듀싱했으며, 내일은 미스터트롯에 작곡가로 등장하여 정동원의 <여백>을 작사, 작곡하며 음악 내공을 쌓은 것.

3. 학력

4. 정규 음반

  • 2013년 <남남으로 만나서/ 아십니까/ 오후의 동감/ 존재의 이유8>
  • 2010년 <Timeless Love>
  • 2009년 <험한 세상에 너의 다리가 되어/ 한번쯤>
  • 2007년 <겪어 보니까/ 이젠 꽃이 보인다>
  • 2005년 <둘이 하나되어/ 우인>
  • 2003년 <사랑이여 영원히/ 고백>
  • 2000년 <백년의 약속/ 서리꽃>
  • 1999년 <지금은 사랑할 때/ 사랑해 사랑해>
  • 1998년 <사랑하는 날까지/ 내 사랑에게>
  • 1997년 <사랑을 위하여/ 사랑하는 이에게>
  • 1996년 <존재의 이유/ 대책없는 너>
  • 1990년 <쉴 곳 없는 나/ 그대와 함께 해야 할 이별>

5. 수상 경력

  • 2015년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가요발전공로상
  • 2014년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건전가요상
  • 2012년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성인가요 최고가수상
  • 2010년 제3회 부부의 날 유공자 표창장
  • 2008년 선행 예술인상 대통령상
  • 2006년 제16회 서울가요대상 스포츠서울 공로상
  • 2003년 제5회 한국예술실연자대상 특별공로상
  • 2003년 선행가수 고건 국무총리상
  • 2001년 SBS 가요쇼 선정 한국여성애창가요100선 1위
  • 2000년 SBS 서울가요대상 특별상
  • 1999년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 1998년 SBS 서울가요대상 10대가수상 / SBS서울가요대상 최고작사가상
  • 1998년 제13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골든 디스크 부문 본상. 골든 디스크 부문 대상
  • 1998년 MBC 가요제전 최고인기가수상 / MBC 가요제전 30세 이상의 국민이 뽑은 최고 인기 가요상(대상)
  • 1998년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 KBS 가요대상 작사상
  • 1996년 골든디스크 부문 SKC 인기상

6. 기타

* 고1 때 갑자기 가세가 기우는 바람에, 잘 다니던 용산고등학교를 그만두고, 동서울상업고등학교 상업정보학과 1학년 2학기로 편입학한 것인데, 동서울상업고등학교에 다니는 동안, 기적적으로 가세가 살아났다고[14] 한다. 덕분에 동서울상고 졸업 후 진학한 신흥실업전문대학에서도, 졸업직후 취직 가능한 상업정보 분야가 아닌, 행정학 분야를 전공해 공부할 수 있었다고.

* 동서울상업고등학교 3학년 당시(1983년 7월경), 4년 연상의 여자친구였던 지금의 아내 김민주[15]와 인연이 닿았다고 한다. 두 사람의 정이 깊어 아무리 어려운 와중에도 서로를 놓지 않은지라, 전문대학 1학년 당시인 열아홉 살때(1984년 8월 25일)와, 육군 초년 사병 복무 당시인 스물두 살때(1987년 7월 10일)에 각각 두 딸(장녀 김옹, 차녀 김담)의 혼전출산까지 감수했다고.(※ 정식으로 결혼식을 올린 건, 만난지 13년 후인 1996년).[16]

7. 관련 문서


[1] 2001년 11월 중순경(36세 전후)에 김종환으로 개명(改名)하기 이전의 이름은 김길남이었다.[2] 빠른생일 적용자.[3] 現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김종환 아버지(1971년에 질병으로 인해 사망)의 고향이다.[4] 1962년생으로, 개명하기 이전의 이름은 김금숙. 본관경주 김씨.[5] 1학년 1학기 전퇴 직후 동서울상업고등학교 상업정보학과 1학년 2학기로 전입학.[6] 84학번으로 입학하여 6개월 휴학 끝에 1986년 8월 졸업.[7] 생전에 수도권 지역에서 초등 교사로 근무하셨으며, 1968년 3월경에 명예 퇴직.[8] 전학[9] 1966년의 빠른 생일의 적용으로써, 1972년 당시부터 1965년뱀띠들과 학교를 같이 다녔다.[10] 후에 Two Way Street라는 미국의 포크 듀오가 Reason to Live로 번안하기도 했다. 다만 이 그룹에 대한 위키피디아 영문판 자료가 없으며, 구글검색에 들어가도 우리나라 자료가 아닌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11] 김종환보다 인기가 훨씬 많았던 H.O.T.와 MBC 공동대상을 받은 점이 특기할만한 점. 사실 1998년 발매된 앨범 중 가장 판매량이 많았던 건, 당시 갓 데뷔한 '신예' 조성모의 1집 앨범(약 138만장)이었는데, 1998년 9월에 발매되어 1999년 3월까지 77만장을 판매하고 차트 집계에서는 아웃된 덕분에, 1998년 당해 집계는 김종환보다 판매량이 저조한 것으로 기록되고 + 골든디스크 대상을 무난히 받을 수 있었던 것. 그리고 당시에는 음반산업협회, 한터차트 등의 판매 집계 시스템이 아직 미비하여 , 구체적인 판매량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기에, 성인가요를 부르는 김종환의 대상은 충격적인 이변으로 받아들여졌다.[12] 안무가 리아킴과 동명이인. 본명은 김담이며, 김종환의 차녀이다.[13] 1학년 1학기 당시에 전퇴.[14] 경제개발 시대상이 아직 남아있던 1980년대라 충분히 가능한 일이긴 하다.[15] 개명하기 이전의 이름은 김금숙[16] 당시 김종환이 한국 나이로 31세였고, 사모님인 김금숙(훗날 개명하여 김민주)은 35세였으니, 주변에서는 늦깎이 결혼으로 오해하신 일도 있었다고 한다. 사실은 결혼식이 늦었을 뿐이지, 이미 두 사람 사이에서 출생한 두 딸은 각각 초등학교 6학년(13세)과, 초등학교 3학년(10세)이었던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