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20:45:40

김나라

김나라(프로게이머)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나라(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나라(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나라(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김나라(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나라(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나라(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Gen.G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감독 [[강근철|강근철
solo
]]
코치 [[김해성(1994)|김해성
HSK
]]|[[정범기|정범기
peri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나라|김나라
t3xture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현철|하현철
Ash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범|변상범
Munchki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성(프로게이머)|정재성
Foxy9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원태(2002)|김원태
Karo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종민(프로게이머)|김종민
Lakia
]]
VCT Pacific 참가팀 로스터 }}}}}}}}}}}}

<colbgcolor=#000,#000><colcolor=#aa8a00,#aa8a00> 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現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bgcolor=#fff,#1c1d1f> 파일:GEN_t3xture.png
Gen.G
t3xture
김나라 (Kim Na-ra)
출생 1999년 7월 20일 ([age(1999-07-20)]세)
대구광역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8cm|99kg|O형
MBTI ESFP
ID GEN t3xture #9999 #
포지션 타격대
경력 상금 약 $159,142.99 USD
(약 ₩221,455,427KRW)
[1]
소속
[ 펼치기 · 접기 ]
DWG KIA
(2021.01.15 ~ 2022.10.17)
Global Esports
(2022.10.17 ~ 2023.09.13)
Gen.G
(2023.09.26 ~ 2025.10.07예정)
에이전시 쉐도우코퍼레이션[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SOOP 아이콘.svg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오버워치 프로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ID s3xture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주 영웅 파일:트레이서 초상화.png 파일:위도우메이커 초상화.png 파일:맥크리 초상화.png
소속 GC Busan LUCIA (2018) }}}}}}}}}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선수 경력
3.1. 대회 경력3.2. 주요 경력
4. 장비 및 세팅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오버워치발로란트 프로게이머. 現 VCT PacificGen.G 소속.

2. 플레이 스타일

2.1. 발로란트

파일:t3xture1.gif
파일:t3xture2.gif[3][4]

주 요원은 제트, 레이즈, 네온으로 주로 팬텀과 오퍼레이터을 사용하며 화려한 고감도 플레이를 자주 보여주는 선수이다. 특히 오퍼레이터를 굉장히 잘 쓰며, 프렌차이즈 출범 전 한국리그 원탑 타격대와 오퍼수라고 평받았다. 체임버가 나온 뒤에는 체임버도 자주 픽하며 뛰어난 피지컬을 바탕으로 한 헤드헌터와 역작으로 다양한 명장면을 만들어냈다. 단점이라면 대부분의 고감도 플레이어들이 그러듯이 경기마다 기복이 있고, 고점과 저점의 차이가 큰 편이었으나, 현재는 과거형이며 고감도 플레이어 중에 저점이 높은 선수 중에 한 명이다. GES로 이적한 후에도 제트를 잡고 있었으나 2023 VCT 퍼시픽 경기 도중 SKRossi에게 타격대를 넘겨주고 감시자를 맡은 후 더욱 안정된 에임으로 경기를 펼쳐 좋은 모습을 보였다. 이후 2023 LCQ에서 피닉스와 레이즈를 선보이며 제트 이외의 타격대 요원으로 포지션을 변경한 듯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젠지에서 텍스처는 폭발력 있는 플레이로 먼치킨과 함께 팀을 이끄는 핵심멤버로 평가 받고 있다. 젠지에서의 텍스처의 가장 강점이라면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전혀 주저함이 없다는 것, 타격대 포지션 특성상 그것이 결과로 이어지지 못할 때도 있으나 텍스처의 이러한 빠른 판단력과 과감함, 본인의 세밀한 컨트롤과 합쳐져 엄청난 폭발력으로 나오며 이는 비록 저점이 있을지언정 그를 세계 최고의 타격대 중 한 명이라고 확실히 인정받게 만들었다. 같은 팀 IGL인 먼치킨이 그를 굉장히 고평가하는데 저점인 텍스처의 플레이를 지적할 때 도저히 그런 플레이가 나올 수 없는 선수라고 말하면서, 질책할지언정 매우 큰 신뢰를 보여주기도 했다.

현재의 텍스처가 한국, 퍼시픽을 넘어 세계 최상위급 타격대로 불리는 이유는 센스있는 스킬활용, IGL급 상황파악과 심리전, 완벽한 양손 활용 플레이가 뒷받침 되기 때문이다. 이는 단점없는 육각형 타격대로서, 어느 상황에서든 1인분은 하게된다. 항상 팀이 말려도 상대 1등보다도 높은 등수를 유지하며 반전을 꾀하는 시간을 버는 등 젠지의 명실상부 에이스로 활약하고 있다.

하지만 플레이 스타일이 왼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상대적으로 타 상위권 타격대 선수들과 풀컨디션 경기를 치뤘을때 샷에서 밀리는 순간 페이스 유지가 불가능할 정도로 말리는 경향이 있는편이다.[5] 대표적으로 마드리드 결승전 제켄과의 맞대결에서 첫 1, 2세트는 무난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3세트 어센트부터 제켄의 에임이 만개하기 시작하더니 결국 아쉽게 우승컵을 내줬던 아픔이 있다.

이후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에서도 여전히 고감도의 이점을 살리면서도 저점의 모습을 보이지 않으며 명장면을 쏙쏙 뽑아냈다.[6] G2 경기땐 텍스처가 없었다면 3세트 까지 가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팀원이 말려 아쉽게 플옵 광탈을 당하게 되었다.[7]

현재 전세계 최상위 엔트리들과 비교해도 전혀 꿇리지 않는 폼을 보여주며 젠지의 보물격인 존재로서 군림하고 있다. 본인의 전성기라 볼 수 있던 마스터스 상하이, 마스터스 토론토에서의 모습을 유지하며 그 위상은 모두에게 인정 받게 되었다.

3. 선수 경력

담원 기아에서 활동할 때, 계속해서 팀원들이 바뀌는 상황에서도 꾸준한 활약을 보여주며 담원 기아의 원장님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으며, 역으로 담원기아는 '텍스처 원맨 팀'이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다. 텍스처 개인으로서는 분명 좋은 기량을 가지고 있는 선수이지만 우승을 하기에는 부족한, 의심을 떨쳐내지 못한 상태로 저평가를 당하는 기간이기도 했다.
  • 2023 시즌
    GE에서의 활약은 그다지 나쁘지도 좋지도 않은 모습이였다. 감시자이지만, 강력한 에임으로 상대를 압도하는 것이 특징.
시즌 중간부터는 다시금 SKrossi를 밀어내고 메인 타격대로서 피닉스와 제트, 레이즈 등을 기용하였다. GE에서의 텍스처는 든든한 허리라인을 맡아준 격.
  • 2024 시즌
2024시즌 리빌딩을 단행한 젠지에 합류하게 되었다. 젠지 자체가 퍼시픽에서 큰 기대를 받는 팀은 아니었으나 예상하지 못한
2024 시즌 2024 VCT Pacific Kickoff에서 우승하며 4년 만에 그토록 원했던 우승을 달성했다.

그렇게 진출한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마드리드 결승전에서 아쉽게 준우승으로 마무리했지만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에서 첫 국제대회 우승과 동시에 파이널 MVP로 선정되면서 2024년은 t3xture의 인생역전 프로생활을 보여주고있다.

커리어적으로도 두 번의 우승을 달성하면서 본인 역시 절정의 기량을 보였으며 세계적인 타격대로 인정받게 되었다.
  • 2025 시즌
다시 한번 리빌딩을 단행한 젠지에 잔류하였다. 현재까지 시즌 초에서 젠지가 새로운 팀원들과 손발이 맞지 않고, 팀원들이 저점을 노출하면서 역전패를 여러 번 당하는 등 작년에 젠지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그 와중에도 텍스처만큼은 자신의 폼을 유지하면서 여전히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야말로 역대급 인생경기를 펼쳤던 젬킨과 맞붙었던 퍼시픽 스테이지1 결승전을 제외하면 언제나 1인분 이상을 하고 있으며 아쉽게 탈락한 마스터스와 EWC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토론토에서는 특히나 세계 최고의 엔트리의 모습을 보였다.

그 후 스테이지2. 토론토에서 역전패 3번이라는 아픔을 겪고 5~6위, EWC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며 3위라는 성적을 거둔 후 챔피언스를 향하는 무대이다. 그룹스테이지에선 조금 삐걱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 특히나 텍스처가 가장 잘하는 요원이라 평가받던 레이즈가 메타의 차이로 오히려 텍스처 본인이 말리기도 하였다. 플레이오프에선 작년의 편린을 보여주며 계속해 팀을 이끌었으나, 텍스처 본인에게도 너무나 아쉽게도 팀원들이 말려 또 또 또 또, 역전패를 허용하며 이번 여정을 마무리했다.

3.1. 대회 경력

3.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24 VCT Pacific Kickoff 우승
Paper Rex Gen.G Paper Rex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우승
Sentinels Gen.G T1
2024 VCT Pacific Stage 2 우승
Paper Rex Gen.G DRX
TEN 2024 발로란트 아시아 인비테이셔널 우승
Cloud9 Gen.G 미정
준우승 경력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마드리드 준우승
Evil Geniuses Gen.G Team Heretics
2024 VCT Pacific Stage 1 준우승
Paper Rex Gen.G DRX
2024 SOOP VALORANT LEAGUE 준우승
Paper Rex Gen.G 미정
2025 VCT Pacific Stage 1 준우승
T1 Gen.G Rex Regum Qeon
수상 경력
2022 VALORANT Challengers Korea Stage 2 본선 MVP
해당 부문 출범 김나라
(DWG KIA)
김동호[8]
(Maru Gaming)
2024 발로란트 마스터스 상하이 결승 MVP
재커리 패트론
(Sentinels)
김나라
(Gen.G)
김태오
(T1)
2024 VCT Pacific MVP
일리야 페트로프
(Paper Rex)
김나라
(Gen.G)
미정
VCT Pacific Players Of The Year 수상
2024 VCT Pacific 1st Duelist of the Year

4. 장비 및 세팅

<rowcolor=#aa8a00,#aa8a00>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rowcolor=#000,#000> 마우스 eDPI DPI 폴링레이트 감도 조준감도
Logitech G Pro X Superlight 2 Magenta 360 800 1000 Hz 0.45 1
<rowcolor=#aa8a00,#aa8a00> 최종 업데이트 2025년 08월 08일 [수정일][A]
<rowcolor=#aa8a00,#aa8a00> 장비
(Hardware)
<rowcolor=#000,#000> 마우스 마우스패드
Logitech G Pro X Superlight 2 Magenta SteelSeries QcK Heavy[11]
<rowcolor=#000,#000> 모니터 주사율 인게임 해상도
ZOWIE XL2546K 240hz 1920x1080
<rowcolor=#000,#000> 키보드 헤드셋
SteelSeries Apex Pro TKL GEN 3 White Razer BlackShark V2 HyperSpeed
<rowcolor=#aa8a00,#aa8a00> 최종 업데이트 2025년 08월 08일 [수정일][A]

5. 여담

  • 대회에서 리액션을 굉장히 요란하게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텍스쳐 본인의 목소리도 워낙 크다보니 경기장 관중석에서 텍스쳐의 목소리는 또렷하게 들린다는 이야기도 자주 나오는 편이다. 숙소에서 개인방송을 하거나 연습을 할때도 항상 다른 선수들과 함께 굉장히 시끄럽게 게임을 하다보니 근처 숙소의 다른 팀 선수들이 항상 텍스쳐의 소음공해를 겪는 모양이다(...). 오죽하면 국제전에서 몇몇 선수들은 어떤 숙소든 일단 젠지와 같은 층만 아니라면 OK라고.
  • 과거 오버워치 프로 연습생 시절,[15] 혜리야사랑해,SEXTURE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한 유명한 천상계 유저였으며 당시부터 스트리밍을 하고 있었다. # ##
  • 본가에서 강아지를 키운다. 이름은 또또.[16]
  • 고양이를 키운다. 이름은 나르로 노르웨이숲과 랙돌 믹스이다.
  • 2020년 클립을 보면 잘생긴 편. #
  • 방송 중 마이크를 굉장히 자주 까먹는다. 마이크가 자동으로 꺼진다고 한다.
  • 대구토박이라 사투리가 심하다.
  • 코치 피셜로 M자 탈모가 왔다는 소리가 있다.
  • 젠지에서 오퍼를 했었지만 구단 입장차이로 이적이 결렬됐다는 후문이 있었다.# 이후 2023년 오프시즌에 젠지에 정말로 합류했다.
  • 직접 몸무게가 101kg 이라고 했다.
  • 아시아 서버 본계 닉네임이었던 GE t3xture#GEWlN의 태그 중 'l'은 알파벳 아이(i)가 아니라 알파벳 엘(l)이다.[19]
  • 스트리머들이 결성한 프리미어 팀 "IAM"에서 식스맨으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20]
  • 2024 젠지 로스터에 합류한 후 아시아 서버 본계 닉네임을 GEN t3xture#9999로 바꿨다[21]
  • 젠지 팀원들과 연습 끝나는 시간대에 헬스장을 다닌다. 카론이 운동을 가르쳐 준다고 한다.
  • 햄버거 세트를 먹을 때 감자튀김부터 먹는다고 한다.
  • 같은 이유로 에이스를 코앞에서 놓치는데 그때마다 보여주는 리액션이 참으로 볼만하다. 큰 체구와 대비되는 유아가 떼 쓰는듯한 모습에 구수한 사투리까지 더해져 시청자들은 에이스에 실패하길 오히려 바라는 수준에 해설진들도 텍스처가 에이스에 실패할 때마다 당장 리액션을 보여달라며 카메라감독을 들들볶는다. Mr.4k라는 별명도 생겼다.
  • 하지만 에이스를 기록하면 젠지가 패배하는 징크스가 있는지라 젠지팬들은 농담삼아 4킬에서 멈추라고 하곤한다. 실제로 2025년에 들어서 텍스쳐가 에이스를 기록한 매치는 젠지가 100% 패배한다는 그야말로 놀라운 상황(..) 이제는 팬들뿐만 아니라 카론이 적극적으로 텍스쳐의 에이스를 저지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다행히 이 징크스는 2025 스테이지 2에서 에이스를 하고 승리를 하면서 깨뜨리는 데 성공했다.

6. 둘러보기

김나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로고.sv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 시즌 우승팀 로스터 파일:Sub_white.png
SUB
파일:Coach_white.png
감독 및 코치
<colbgcolor=#131313> 2021 S1 2021 S1 마스터스 우승자
<rowcolor=#6f4acc> 2021 S2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ShahZaM
파일:미국 국기.svg
SicK
파일:미국 국기.svg
zombs
파일:미국 국기.svg
dapr
파일:캐나다 국기.svg
TenZ
x x
<rowcolor=#6f4acc> 2021 S3 파일:Gambit_2020_Teamcard.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d3ffo
파일:러시아 국기.svg
Chronicle
파일:러시아 국기.svg
nAts
파일:러시아 국기.svg
Redgar
파일:러시아 국기.svg
Sheydos
x 파일:러시아 국기.svg
Engh
<rowcolor=#6f4acc> 2022 S1 파일:600px-OpTic_Gaming.png파일:600px-OpTic_Gaming_darkmode.png 파일:캐나다 국기.svg
FNS
파일:미국 국기.svg
Victor
파일:미국 국기.svg
crashies
파일:미국 국기.svg
yay
파일:캐나다 국기.svg
Marved
x 파일:미국 국기.svg
Chet
<rowcolor=#6f4acc> 파일:미국 국기.svg
Jovi
<rowcolor=#6f4acc> 2022 S2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ANGE1
파일:러시아 국기.svg
Shao
파일:스웨덴 국기.svg
Zyppan
파일:러시아 국기.svg
SUYGETSU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ardiis
파일:덴마크 국기.svg
SEIDER
파일:스웨덴 국기.svg
d00mbr0s
<rowcolor=#6f4acc> 파일:덴마크 국기.svg
Masked
파일:영국 국기.svg
Forrest
<rowcolor=#6f4acc> 2023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영국 국기.svg
Boaster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Derke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Alfajer
파일:스웨덴 국기.svg
Leo
파일:러시아 국기.svg
Chronicle
파일:폴란드 국기.svg
kamyk
파일:영국 국기.svg
mini
파일:러시아 국기.svg
slk
파일:미국 국기.svg
Anderzz
<rowcolor=#6f4acc> 2024 MA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TenZ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zekken
파일:브라질 국기.svg
Sacy
파일:모로코 국기.svg
johnqt
파일:미국 국기.svg
Zellsis
파일:미국 국기.svg
curry
파일:미국 국기.svg
Kaplan
<rowcolor=#6f4acc> 파일:영국 국기.svg
DrewSpark
<rowcolor=#6f4acc> 2024 SH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ete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3xtur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aki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unchk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ron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olo
<rowcolor=#6f4ac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SK
<rowcolor=#6f4acc> 2025 BK 파일:T1 로고.svg파일:T1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Z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ta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ylv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ete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uZz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rp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utum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ongGa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ndigo
<rowcolor=#6f4acc> 2025 TR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f0rsakeN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d4v41
파일:러시아 국기.svg
somethin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Jinggg
파일:필리핀 국기.svg
PatMen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mindfreak
파일:프랑스 국기.svg
alecks
파일:미국 국기.svg
Panda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로고.sv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준우승자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 시즌 우승팀 로스터 파일:Sub_white.png
SUB
파일:Coach_white.png
감독 및 코치
<colbgcolor=#131313><rowcolor=#6f4acc> 2021 S2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영국 국기.svg
Boaste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Doma
파일:영국 국기.svg
Mistic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Derke
파일:체코 국기.svg
Magnum
x 파일:영국 국기.svg
mini
<rowcolor=#6f4acc> 2021 S3 파일:Team_Envy_logo.png파일:Team_Envy_logo_white.png 파일:캐나다 국기.svg
FNS
파일:미국 국기.svg
Victor
파일:미국 국기.svg
crashies
파일:미국 국기.svg
yay
파일:캐나다 국기.svg
Marved
x 파일:미국 국기.svg
Mikes
<rowcolor=#6f4acc> 2022 S1 파일:LOUD 심볼.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pANcada
파일:브라질 국기.svg
Sacy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saadhak
파일:브라질 국기.svg
aspas
파일:브라질 국기.svg
Less
x 파일:브라질 국기.svg
bzkA
<rowcolor=#6f4acc> 2022 S2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mindfreak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f0rsakeN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Benkai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d4v41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Jinggg
x 파일:프랑스 국기.svg
alecks
<rowcolor=#6f4acc> 2023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Notext logo white.png 파일:미국 국기.svg
Boostio
파일:미국 국기.svg
Ethan
파일:미국 국기.svg
JAWGEMO
파일:미국 국기.svg
C0M
파일:미국 국기.svg
Demon1
파일:캐나다 국기.svg
Reformed
파일:미국 국기.svg
potter
<rowcolor=#6f4acc> 파일:미국 국기.svg
BcJ
파일:미국 국기.svg
Zikz
<rowcolor=#6f4acc> 2024 MA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ete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3xtur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aki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unchk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ron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olo
<rowcolor=#6f4ac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SK
<rowcolor=#6f4acc> 2024 SH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Boo
파일:영국 국기.svg
benjyfishy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RieN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Wo0t
파일:폴란드 국기.svg
paTiTek
x 파일:영국 국기.svg
neilzinho
<rowcolor=#6f4acc> 파일:영국 국기.svg
weber
<rowcolor=#6f4acc> 2025 BK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JonahP
파일:미국 국기.svg
trent
파일:미국 국기.svg
valyn
파일:미국 국기.svg
leaf
파일:미국 국기.svg
JAWGEMO
x 파일:미국 국기.svg
JoshRT
<rowcolor=#6f4acc>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shhhack
<rowcolor=#6f4acc> 2025 TR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영국 국기.svg
Boaste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Alfajer
파일:러시아 국기.svg
Chronicle
파일:폴란드 국기.svg
kaajak
파일:미국 국기.svg
crashies
x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Milan
<rowcolor=#6f4acc>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Scuttt
<rowcolor=#6f4acc> 파일:영국 국기.svg
temoc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로고.sv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MVP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이름 (ID) 국적 소속
2021 S2 <colcolor=#131313,#6f4acc> 타이슨 응오
(TenZ)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SEN
2021 S3 티모페이 흐로모프
(Chronicle)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GMB
2022 S1 지미 응우옌
(Marved)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OPTC
2022 S2 드미트리 일류신
(SUYGETSU)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FPX
2023 에미르 베데르
(Alfajer)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FNC
2024 MA 재커리 패트론
(zekken)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
SEN
2024 SH 김나라
(t3xture)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EN
2025 BK 김태오
(Meteor)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T1
2025 TR 제이슨 수산토
(f0rsakeN)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PRX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시즌 우승팀 선수
2023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d4v41 · something · f0rsakeN · Benkai · Jinggg · mindfreak · cgrs
2024 킥오프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Meteor · t3xture · Lakia · Munchkin · Karon
2024 스테이지 1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d4v41 · something · f0rsakeN · Jinggg · mindfreak · Monyet
2024 스테이지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Meteor · t3xture · Lakia · Munchkin · Karon
2025 킥오프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MaKo · Flashback · HYUNMIN · free1ng · BeYN
2025 스테이지 1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xffero · Jemkin · Monyet · Kushy · crazyguy
2025 스테이지 2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d4v41 · something · f0rsakeN · Jinggg · PatMen · mindfreak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2000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white,white> 순서 일자 선수 당시 소속팀 최종 기록
<colbgcolor=#01d2d7,#01d2d7><colcolor=white,white> 1 2025.03.22 [[김태오(프로게이머)|김태오
Meteor
]]
파일:T1 로고.svg -
2 2025.04.05 [[김나라|김나라
t3xture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3 2025.04.19 [[유병철(프로게이머)|유병철
BuZz
]]
파일:T1 로고.svg -
4 2025.04.27 [[변상범|변상범
Munchkin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5 2025.08.03 [[제이슨 수산토|제이슨 수산토
f0rsakeN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6 2025.08.14 [[김명관(프로게이머)|김명관
MaKo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
7 2025.08.14 [[일리야 페트로프|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8 2025.08.31 [[할리시 루샤이디|할리시 루샤이디
d4v41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9 2025.08.31 [[왕징제|왕징제
Jinggg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
ID
: 현 VCT Pacific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2500킬 달성 선수
★ : 3000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1000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white,white> 순서 일자 선수 당시 소속팀 최종 기록
<colbgcolor=#01d2d7,#01d2d7><colcolor=white,white> 1 2024.04.22 [[변상범|변상범
Munchkin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2 2024.04.28 [[하정우(프로게이머)|하정우
Sayaplayer
]]
파일:T1 로고.svg -
3 2024.04.29 [[김태오(프로게이머)|김태오
Meteor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4 2024.05.04 [[김나라|김나라
t3xture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5 2024.06.15 [[유병철(프로게이머)|유병철
BuZz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
6 2024.06.16 [[제이슨 수산토|제이슨 수산토
f0rsakeN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7 2024.06.16 [[일리야 페트로프|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8 2024.06.17 [[제러미 카브레라|제러미 카브레라
Jremy
]]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
9 2024.06.22 [[할리시 루샤이디|할리시 루샤이디
d4v41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10 2024.06.29 [[하시모토 유마|하시모토 유마
Dep
]]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
11 2024.07.01 [[김명관(프로게이머)|김명관
MaKo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
12 2024.07.05 [[왕징제|왕징제
Jinggg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13 2024.07.07 [[에이드리언 레예스|에이드리언 레예스
invy
]]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
14 2024.07.07 [[에런 레온하트|에런 레온하트
mindfreak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
15 2024.07.13 [[조지프 오|조지프 오
ban
]]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
16 2024.07.14 [[김원태(2002)|김원태
Karon
]]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17 2024.07.20 [[정재성(프로게이머)|정재성
Foxy9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
18 2025.01.18 [[와타나베 쇼타(프로게이머)|와타나베 쇼타
SugarZ3ro
]]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
19 2025.01.19 [[제시 쿠이코|제시 쿠이코
JessieVash
]]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
20 2025.01.31 [[김구택|김구택
stax
]]
파일:T1 로고.svg -
21 2025.02.01 [[데이비드 모낭인|데이비드 모낭인
Xffero
]]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
22 2025.02.07 [[이재혁(1998)|이재혁
carpe
]]
파일:T1 로고.svg -
23 2025.02.09 [[함우주|함우주
iZu
]]
파일:T1 로고.svg -
24 2025.03.23 [[찌타나 녹남|찌타나 녹남
JitBoyS
]]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
25 2025.04.13 [[차야 누그라하|차야 누그라하
Monyet
]]
파일:Rex_Regum_Qeon_allmode.png -
26 2025.04.26 [[타나멧 마하타나누윳|타나멧 마하타나누윳
Crws
]]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
27 2025.05.04 [[강하빈(프로게이머)|강하빈
BeYN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
28 2025.07.25 [[세키 이부키|세키 이부키
Meiy
]]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
29 2025.08.09 [[조민혁(프로게이머)|조민혁
Flashback
]]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
,,
ID
: 현 VCT Pacific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2000킬 달성 선수
★ : 3000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1st Players Of The Year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시즌 파일:Valorant_Duelist.png
Duelist
파일:Valorant_Initiator.png
Initiator
파일:Valorant_Sentinel.png
Sentinel
파일:Valorant_Controller.png
Controller
파일:Coach_white.png
IGL
2023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somethin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d4v41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f0rsakeN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MaKo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stax
2024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t3xture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Lakia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Meteor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Karon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Munchkin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9093><tablebgcolor=#0D9093>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VCT CK
역대 스테이지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2 Stage 2 2023 Stage 1 2023 Stage 2 2024 Stage 1 2024 Stage 2 2024 Stage 3 2025 Split 1 2025 Split 2 2025 Split 3
t3xture
김나라

DK
HANN
김동호

MARU
JinboongE
김진원

SLT
Hate
이예훈

LFG
SID
김민승

NS
Klaus
김민혁

SLT
TenTen
김태영

T1A
oonzmlp
신상범

SLT
2022 Stage 2에는 본선 MVP, 2025 Split 1부터는 스플릿 MVP라는 명칭으로 시상했다.
}}}}}}}}} ||

파일:e스포츠명예의전당.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HONORS
e스포츠 역사에 영원히 남을 영구 헌액자
BoxeR
임요환
YellOw
홍진호
iloveoov
최연성
NaDa
이윤열
FlaSh
이영호
Ambition
강찬용
Bengi
배성웅
Reach
박정석
JD
이제동
HoJun
문호준
MadLife
홍민기
Mata
조세형
Wolf
이재완
Bang
배준식
GorillA
강범현
Khan
김동하
<colbgcolor=#264f9e,#264f9e><colcolor=#fff> STARS
올해를 빛낸 최고의 e스포츠 스타들
2018 김종인 김택용 배성웅 이상혁 이제동 장재호
2019 김동하 문호준 이상혁 이영호 정윤종 조세형
2020 문호준 박도현 배성빈 이상혁 장하권 최영훈
2021 김건부 김동하 나희주 차승훈 한시아 허수
2022 김혁규 류민석 문현준 이민형 이상혁 최우제
2023 곽준혁 김관우 류민석 배재민 이상혁 최우제
2024 김나라 김태오 류민석 문현준 이상혁 임수훈
}}}}}}}}} ||

[1] 발로란트 t3xture 경력 상금. 2025.08. 기준[2] 출처[3] VCT Korea 최대 명장면 중 하나. 2021년 6월 28일 기준 트위치 발로란트 공식채널 전체 기간 클립 중 2등이다. #[4] 발로란트 5주년 기념 영상에서도 출연하면서 아직까지 회자되는 최고의 명장면이 되었다.[5] 이건 모든 선수들한테 공통되는 문제지만 텍스쳐가 유독 왼손무빙 위주의 플레이 스타일을 구사해서 더더욱 그런 경향이 있다.[6] 특히 프나틱과의 경기에서, 보스터가 ct로 궁을 타자 슬라이딩으로 0.5초 패줌을 선보이고 3명을 잡거나, G2와의 경기에서 뺑을 피하고 끌어치기로 잡는 등, 명장면을 만들어냈다.[7] 특히나 울브스전때 도발 등 트래쉬토크를 당하고 멘탈이 매우 흔들렸는지 진지해지자 텍스처 제외 모두가 폼이 급격하게 떨어졌다.[8] 스테이지 MVP로 명칭 변경.[수정일] [dday(2025-08-08)]일 지남.[A] prosettings.net 기준.[11] 2025 퍼시픽 스테이지1에 잠시 QcK Pro Balance를 사용하였으나 다시 Heavy로 돌아온 듯 하다.[수정일] [dday(2025-08-08)]일 지남.[A] [14] 텍스처를 자주 언급하고, 칭찬을 굉장히 많이 했다. my boy 라는 애칭도 있다. #[15] 랭커 1등을 찍은 적이 있다.[16] 롤, 롤토체스 닉네임인 '베또비'도 또또의 이름을 넣은 것이다.[17] 기계는 발라리안 맥스, 액상은 잽쥬스 알로에 베라[18] 대회 기간이나 진짜 스트레스 받을 때는 연초를 핀다고 한다.[19] 원래 #GEWIN를 쓰고 있던 팬이 텍스처가 합류하자 아이디를 GE t3xture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덧붙여 실제로 닥지지에 검색해보면 골드 계정이 나옴을 알 수 있다.[20] 별다른 이유는 아니고 멤버 중 한 명이였던 츈츈이 매치에서 잦은 튕김으로 인해 탈주 처리되어 정지를 먹었는데, 프리미어 참가조건에 "정지 내역이 없을 것"이 존재하여 이번 스테이지에서 출전 불가를 받아 급하게 구한 것이다.[21] 원래 하고싶었던 태그를 누가 먹었다고 한다. 덧붙여 한섭에서도 #0720, #9999까지 누가 먹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