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04:10:58

Fnatic/발로란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natic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4FF1D,#d4ff1d><tablebgcolor=#D4FF1D,#d4ff1d>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VCT EMEA
참가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파일:GIANTX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BBL Esports darkmode1.png 파일:Natus Vincere 로고2.svg파일:Natus Vincere 로고.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Team Liquid 파일:스페인 국기.svg GIANTX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BBL Esports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Natus Vincere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Team Heretics 파일:영국 국기.svg Fnatic 파일:프랑스 국기.svg Karmine Corp 파일:프랑스 국기.svg Team Vitality
파일:FUT Esports 로고.svg파일:FUT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Gentle Mates 로고.svg파일:Gentle Mates 로고 화이트.svg 파일:Apeks 로고.png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FUT Esports 파일:프랑스 국기.svg Gentle Mates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Apeks
파일:VCT Americas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CN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
활동 중인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
파일:Fnatic 로고.svg
<colbgcolor=#ff5900><colcolor=#fff> 프나틱
Fnatic
창단 2020년 8월 5일
소속 리그 VCT EMEA
팀명 SUMN FC(2020.8~2021.2)
Fnatic(2021.2~)
설립자 새뮤얼 매튜스|앤 매튜스
감독 [[밀란 더메이|밀란 더메이
Milan
]]
코치 [[벤저민 허친슨|벤저민 허친슨
Scuttt
]]|[[필리프 시코어|필리프 시코어
Szed
]]
IGL [[제이크 하울릿|제이크 하울릿
Boaster
]]
약칭 FNC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Masters
(1회)
2023
LOCK//IN
(1회)
2023
VCT EMEA
(3회, 최다)
2024 S1, 2024 S2, 2025 S1
VCL EMEA
(1회)
2022 S2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f5900><colcolor=#ffffff> ACTIVE 파일:crwn.png 파일:영국 국기.svg [[제이크 하울릿|제이크 하울릿
Boaster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미르 베데르|에미르 베데르
Alfajer
]]
파일:러시아 국기.svg [[티모페이 흐로모프|티모페이 흐로모프
Chronicle
]]
파일:폴란드 국기.svg [[카예탄 하렘스키|카예탄 하렘스키
kaajak
]]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로버츠|오스틴 로버츠
crashies
]]
INACTIVE 파일:스웨덴 국기.svg [[레오 얀네손|레오 얀네손
Leo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파일:Fnatic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Counter-Strike_2_default_darkmode.png Fnatic
파일:포트나이트 아이콘white.png Fnatic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엠블럼_화이트 2.svg Fnatic
파일:r6s logo_13510798887991451.png Fnatic
파일:valorantlogo.png Fnatic }}}}}}}}}


1. 개요2. 역사
2.1. 2021년2.2. 2022년2.3. 2023년2.4. 2024년2.5. 2025년
3. 멤버
3.1. 현 멤버3.2. 전 멤버
4. 성적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Fnatic 소속의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2021년 2월 3일, 영국팀 SUMN FC를 인수해 창단을 발표했다.

VCT가 출범한 2021년부터 꾸준히 성적을 냈던 팀으로, 2021 마스터스 스테이지 2 준우승을 시작으로 출전도 못한 2022 스테이지 1을 제외하면 모든 국제 대회에서 8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2. 역사

2.1. 2021년

Derke, Doma, Boaster, Mistic, Magnum으로 로스터를 구성했으며, 2021 발로란트 마스터스 레이캬비크에 출전했다.

첫 경기 상대인 KRÜ를 상대로 2:0으로 깔끔하게 승리했으나, 북미의 강호 센티널에게 무기력한 패배를 당했다. 이후 하위조에서 X10 Esports, Version1, Team Liquid를 차례대로 잡아낸 뒤, 한국의 희망 NUTURN Gaming마저 굴복시키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다시 만난 센티널에게 모든 맵을 비등비등하게 갔음에도, 0:3 완패를 결국 경험했다. 특히나 미스틱의 마지막 팀삥은 너무나도 아쉬운 장면이였다.

2021 발로란트 마스터스 베를린에 진출에 실패했으며, 2021 발로란트 챔피언스 베를린에는 진출에 성공했다.

D조에 Vision Strikers, Cloud9 Blue, Full Sense와 한 조에 묶이게 되었고, C9과의 혈전 끝에 2:1 승리, VS를 2:1로 잡아내고, D조에서 먼저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KRÜ Esports에게 발로란트 역사에 길이 남을 업셋을 당하면서, 8강딱이라는 굴욕을 경험하게 되었다.

2.2. 2022년

도마를 떠나보내고, 더크를 식스맨으로 기용하게 되었고, 그 자리에는 Enzo, H1ber를 영입했다. 그러나 2022 발로란트 마스터스 레이캬비크에서 단 한 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하고 패배했다.[1]

이후 매그넘과 H1ber를 다시 보내고, 그 자리에 다시 더크를 올렸다. 그리고 Alfajer를 영입했다.

2022 발로란트 마스터스 코펜하겐 첫 경기에서 우승 후보 중 하나였던 FPX를 잡아내는 이변을 일으켰다. 그러나 동남아의 강호 Paper Rex의 미라클런의 희생양이 되어버렸고, Leviatán을 잡으면서, 하위조를 돌파하려 했으나, 다시 만난 FPX에게 복수를 당하면서, 여정을 끝맺었다.

이후 열린 2022 발로란트 챔피언스 이스탄불에서는 D조에 DRX, FURIA, 100 Thieves와 함께 편성되었다. 첫 상대인 100T에게 예상치 못한 패배를 경험했고, FURIA전에서도 자신들의 주맵 아이스박스를 패배하는 등, 실망스러운 모습의 연속이였으나, 결국 FURIA와 100T를 모두 잡고, 일단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 첫 상대인 XSET에게 0:2 패배를 당하면서, 또 다시 비상이 걸렸다. 그나마 TL를 잡아내면서, 다음 라운드 진출에 성공했으나, DRX의 5-6위 징크스 격파의 희생양이 되어버리면서, 결국 탈락했다.

2.3. 2023년

프나틱의 커리어하이 시즌

2023년 VCT 파트너 팀 선정 후 갬빗의 크로니클과 길드의 레오를 데려왔고, 2023 VCT LOCK//IN São Paulo에서 센티널, FURIA, 100T, NAVI를 잡고 결승전에 진출했으며, LOUD를 상대로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미친 뒷심으로 결국 승리를 하면서, 마침내 첫 우승을 기록했다.

2023 EMEA 국제 리그에서 정규 리그 전승에 플레이오프 승자조까지 초고속으로 뚫으며 유럽의 압도적 1황에 등극하기 직전까지 갔으나 가장 중요한 결승에서 TL에게 업셋을 당하며 전승준이라는 아쉬운 마무리를 하고 말았다.여담이지만, 크로니클이 이 시기에 독감에 걸렸기에 본 실력이 발휘되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마스터스 도쿄에서 심기일전하여 단 1패만을 기록하고 우승을 차지, VCT 사상 첫 국제 대회 리핏의 주인공이 되었다.

그렇게 명실상부 우승후보로 챔피언스에 참가, ZETA와 BLG를 압살하며 조 1위로 녹아웃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녹아웃 1라운드에서 라우드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떨어졌고, FUT과 DRX를 이기며 패자조 준결승까지 올랐으나 거기서 라우드에게 한 번 더 패배하여 최종 4위로 탈락했다. 결과적으로 본인들이 락인 결승에서 격파했던 라우드에게 챔스에서 두 번에 걸쳐 복수를 제대로 당한 모양이 되고 말았다.

시즌 후, kamyk이 나가기는 했으나 주전 로스터에는 변동이 없는 반면, 코칭스태프의 경우 mini 감독과 헤어지고 slk 코치도 비활성화되었다. 감독-코칭스태프 측면에서는 새 판을 짤 것으로 보였는데, 젠지로부터 Elmapuddy 감독을 영입했음을 알렸다. 그리고 약 3달 후 보조 코치로 mini가 팀에 복귀하며 2024 시즌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2.4. 2024년

2024 VCT EMEA Kickoff에서는 Karmine Corp에게 업셋의 희생양이 되면서, 준결승에서 탈락을 했고, 결국 마스터스 마드리드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프나틱은 2024 VCT EMEA Stage 1을 우승하면서, 마스터스 상하이에 진출했으나, 젠지에게 통한의 패배를 당했고, FUT Esports에게 처참한 패배를 기록하면서, 결국 무승 탈락을 경험했다.

이후 hiro가 부상을 당한 레오를 대신해서 남은 시즌을 수행하게 되었고, 2024 VCT EMEA Stage 2에서 다시 우승을 했으나, 챔피언스 서울에서 DRX에게 다시 한 번 패배하면서, 간신히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고, G2를 잡아냈으나, 센티널에게 또다시 패배하면서, 실망스러운 모습과 함께 이름값을 해내지 못했다.

시즌이 종료된 후에는 팀의 에이스 더크가 제한적 FA가 되었음을 알리며 쉽지않은 스토브리그를 예고했다.

2.5. 2025년

이후 히로와 더크를 내보내고, 그 자리에 노련한 척후대 crashies와 어린 유망주 kaajak을 영입했다.

그러나 2025 VCT EMEA Kickoff에서는 첫 경기 BBL에게 패배를 당했고, 약체였던 Gentle Mates를 잡으면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으나, FUT에게 사냥당하면서, 암울한 출발을 했다.

이후 2025 VCT EMEA Stage 1에서는 헤레틱스를 제외한 모든 팀을 잡아내고, 2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으며, TL, 헤레틱스를 잡고, 결승에 진출해서, 다시 한 번 만난 헤레틱스를 잡아내고, 우승에 성공했다. 그야말로 왕의 귀환.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에서는 첫 경기 상대인 젠지에게 패배했으나, 아시아의 강호RRQ, 자신들의 극상성 센티널, 아메리카스의 제왕 G2, 미라클런의 신화를 쓰던 중국의 울브스까지 모두 잡아내고 결승전에 올랐다. 그러나 보스터의 저점으로 인해 1:3의 패배를 당하면서, Paper Rex에게 우승 트로피를 넘겨주었다.

EWC에서는 조별리그에서 100T와 젠지를, 플레이오프에서 KC와 PRX를 잡으며 결승까지 내달렸지만 2024년 준우승 콜렉터였던 헤레틱스에게 승승패패패를 당하며 또다시 우승을 내주고 말았다.

2025 VCT EMEA Stage 2에서는 리퀴드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를 승리하면서, 2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으나, BBL에게 올해 킥오프의 악몽을 다시 경험했고, GX에게 업셋을 당하면서, 3시드로 챔피언스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에는 B조에 BLG, RRQ, MIBR과 한 조에 편성되었다. 리그에서의 경기력이 불안했다보니 걱정하는 여론도 있었으나, RRQ와 MIBR을 잡고 플레이오프에 조 1위로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DRX에게 짜릿한 역전승을 거둔 뒤 PRX에게도 9:3의 저주를 안겨주면서 상위조 결승전까지 올랐지만 NRG에게 정말 처참하게 패배하면서, 하위조에서 다시 한 번 DRX와 대결하게 되었다. DRX를 3:1로 잡고 올라간 결승에서는 첫 두 세트를 내주고 3세트 11:1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였다가 간신히 살아나더니 4세트도 잡고 풀세트까지 갔지만 결국 한끗이 모자라 또 우승을 놓치고 말았다.

마스터스 토론토 준우승, EWC 준우승, 챔피언스 준우승이라는 콩레블을 기록한 여러모로 정말 아쉬운 시즌이 되었다.

3. 멤버

3.1. 현 멤버

3.2. 전 멤버

4. 성적

VCT 2023: LOCK//IN São Paulo 우승

• 2022 OFF/SEASON Superdome 우승

2022 Valorant Champions Istanbul 5-6위

2023 VALORANT Masters Tokyo 우승

VALORANT Champions 2023 4위

VALORANT Champions 2024 5-6위

VALORANT Champions 2025 준우승

5. 여담

  • 메타의 선구자라고 평가받는 팀이다.[3]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발로란트 마스터스 로고.svg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1 Stage 1 2021 RK 2021 BR 2022 RK
파일:valorant masters s1.png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Gambit_2020_Teamcard.png 파일:600px-OpTic_Gaming.png
지역 별 10개의 팀 Sentinels
Gambit Esports
OpTic Gaming
2022 CP 2023 TK 2024 MA 2024 SH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FunPlus Phoenix
Fnatic
Sentinels
Gen.G
2025 BK 2025 TR 2026 2026
파일:T1 로고.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T1
Paper Rex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4FF1D,#D4FF1D><tablebgcolor=#D4FF1D,#D4FF1D>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VCT EMEA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2023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Team Liquid
2024 Kickoff 2024 Stage 1 2024 Stage 2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Fnatic 로고.svg
Karmine Corp
Fnatic
2025 Kickoff 2025 Stage 1 2025 Stage 2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Team Vitality
Fnatic
Team Liquid
}}}}}}}}} ||


[1] 매치승은 커녕 세트승조차도 없다.[2] 2021 VCT Stage 3 Masters (겜빗 e스포츠), 2023 VCT Lock//in , Masters 2023 Tokyo (프나틱)[3] 경갑바이, 로터스의 정석조합인 바이퍼 오멘 페이드 레이즈 킬조이를 가장 먼저 사용했고 최근 유행중인 헤이븐 아이소 카드 역시 프나틱이 유행시켰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