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리스트 == null
{{{#!html 최근에 진행된 대회}}}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최근에 진행된 대회: }}}{{{#!if 같은문서1 == null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c3030,#dc3030><tablebgcolor=#dc3030,#dc3030> | VCT 국제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마스터스 | 챔피언스 | |
2021 (S1 S2 S3) | 2022 (S1 S2) | 2023 | 2024 (MA SH) | 2025 (BK TR)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국제 리그 | 챌린저스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 |
| ||||
<colbgcolor=#6f4acc,#6f4acc><colcolor=#fff> 발로란트 마스터스 | ||||
VALORANT Masters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약칭 | Masters | |||
컬러 | ■ ■ ■ | |||
출범 연도 | 2021년 ([age(2021-01-01)]주년) | |||
진출 자격 | ||||
최근 대회 |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 |||
최근 우승 팀 | Paper Rex (2025 TR) | |||
최다 우승 팀 | Sentinels (2회) | |||
최다 출전 팀 | Paper Rex (7회) | |||
최다 우승자 |
TenZ,
Chronicle,
Meteor (2회) | |||
최다 출전자 |
f0rsakeN,
d4v41,
mindfreak (7회) | |||
관련 링크 | ||||
|
1. 개요
|
<rowcolor=#FFF> 방콕 UOB 라이브에서 개최된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 결승전 |
2. 위상
발로란트 공식 대회 중 발로란트 챔피언스에 다음가는 높은 위상을 가진 국제 대회이다.자매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중간 결산 국제 대회인 FST나 MSI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존재하지만, 마스터스의 성적이 그 해 챔피언스 진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에서 조금 다르다.[4][5] 물론 상술한 이야기는 LoL e스포츠 권역별 실력의 극단적인 편차와 월드 챔피언십의 위상이 기형적으로 드높아 FST나 MSI가 '월즈 발사대'로 비춰질 수 있음에서 기인하지만[6], 결론적으로 마스터스는 시즌 중간에 세계 최고의 팀이 누구인지 가려내는 역할을 하며 우승팀은 챔피언스 우승에 버금가는 상당한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된다.[7]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는 권역 간의 실력 편차가 크지 않기에 권역 간의 자존심 싸움이 일어나는 전쟁터라고도 부를 수 있다. 좋든 싫든 1부 리그 자리를 모든 권역이 한 번 이상 경험해 봤기에 마스터스 트로피를 차지하기 위한 여정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3. 출전 지역
3.1. 역사
출범 시즌인 2021년에는 스테이지 세 개마다 한 번씩 총 세 번의 마스터스를 진행했고, 챔피언스 진출은 별도의 LCQ를 거쳤다. 코로나19 사태로 첫 마스터스는 지역 내전으로 진행했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마스터스 역시 비교적 코로나 청정지역으로 분류됐던 아이슬란드와 독일에서 진행했다.2022년에는 스플릿을 두 개로 줄여 총 두 번의 마스터스를 진행했다. 2024년부터 스플릿을 세 개로 늘렸지만, LCQ를 폐지하여 마스터스 진행 횟수를 유지했다.
2023년에는 국제 리그 창설과 시즌 체계 정립으로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를 가다듬고 포문을 연 기념비적인 연도인 만큼, 첫 번째 킥오프 스플릿과 마스터스를 국제 대회인 락//인으로 대체했다. 이후 2024년부터 킥오프 스플릿과 첫 번째 마스터스를 정상적으로 개최하며, 3-스플릿 2-마스터스 1-챔피언스 포맷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3.2. 현행 시드 부여 방법
- 전반기 마스터스 - 국제 리그 시드권, 리그당 2장 (총 8장)
킥오프 1번 시드 우승 2번 시드 준우승 - 후반기 마스터스 - 국제 리그 시드권, 리그당 3장 (총 12장)
스테이지 1 플레이오프 1번 시드 우승 2번 시드 준우승 3번 시드 결승 진출전 패배 팀
4. 진행 방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발로란트 마스터스/진행 방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발로란트 마스터스/진행 방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역대 기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발로란트 마스터스/역대 기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발로란트 마스터스/역대 기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 역대 대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발로란트 마스터스 역대 대회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normal" | <rowcolor=#fff,#ff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2021 VCT Stage 1 Masters| 2021 지역 대회 | [[아이슬란드| 2021 레이캬비크 | [[독일| 2021 베를린 | [[독일| 2022 레이캬비크 | [[덴마크| 2022 코펜하겐 | |
<rowcolor=#fff,#ff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일본| 2023 도쿄 | [[스페인| 2024 마드리드 | [[중국| 2024 상하이 | [[태국| 2025 방콕 | [[캐나다| 2025 토론토 |
마스터스 역대 로고 | |||
2021 S2 | 2021 S3 | 2022 S1 | 2022 S2 |
| | | |
2023 | 2024 MA | 2024 SH | 2025 BK |
| | | |
2025 TR | |||
| |||
VALORANT Masters |
6. 마스터스 트로피
6.1. 現 마스터스 트로피 (2023~)
마스터스 도쿄 때에는 요루의 가면이, 마스터스 마드리드 때에는 해당 시즌에 공개한 클로브의 나비가, 마스터스 상하이 때에는 중국 출신 요원인 아이소의 차원의 결투장이, 마스터스 방콕 때에는 태국 출신 요원인 웨이레이의 프리즘이, 마스터스 토론토 때에는 신규 맵 코로드의 레디어나이트 소금 결정이 새겨졌다.
6.2. 前 마스터스 트로피 (2021~2022)
7. 캐치프레이즈
2021 S1 | Master the Moment 순간을 지배하라 |
2021 S2 | Evolve or Die 진화 혹은 죽음을 |
2021 S3 | Ars Longa, Vita Brevis.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
2022 S1 | BECOME THE NIGHTMARE 악몽이 되어라 |
2022 S2 | FALSE GODS TRUE IDOLS 거짓된 신 진정한 우상 |
2023 | RANK UP! 랭크 업! |
2024 MA | A NUESTRA MANERA 우리만의 방식 |
2024 SH | Thrill Unleashed 열광의 현장으로 |
2025 BK | Dawn of the Duelist 타격대의 서막 |
2025 TR | Reflection // Redemption 반성 // 구원 |
8. 여담
- 공식적인 약칭은 마스터스. 딱히 줄여 부르기 애매한 음절이라 공식 약칭을 따라 마스터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흔하지만, 국내 한정으로 마스터즈라는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Masters'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대회 대부분이 한글로는 '마스터즈'라는 음차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 당장 라이엇 게임즈에서 주관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2군 국제 대회인 아시아 마스터즈 같은 예가 있다.
- CN 지역의 잔혹사가 일어나는 대회이기도 하다. 유일한 소속 팀 우승 기록인 FPX의 것은 CN 리그 창설 전, FPX가 EU 권역의 팀이었을 때의 것이라서 사실상 0회이다. 챔피언스마다 번뜩이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변을 만들던 CN 팀들이 마스터스만 오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역으로 이변을 당한다.
9. 글로벌 파트너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DC3030,#DC3030> | 글로벌 파트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마스터카드 | 시크릿랩 | 버라이즌 | 레드불 | |
| | | | |
AWS | Esports World Cup | OMEN | HyperX | |
| | | ||
Aimlabs | 코인베이스 |
10. 관련 문서
[기준] VCT 2025 시즌 기준[기준] [3] Americas(아메리카), CN(중국),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Pacific(아시아-태평양)[4] MSI의 우승은 차기 스플릿의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만 해도 무려 월드 챔피언십에 직행하는 엄청난 메리트를 가지지만, 마스터스의 우승은 차기 스플릿의 정규 리그를 전승 우승한 것보다 떨어지는 메리트를 가진다.[5] 물론 그 메리트의 덕을 본 팀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2024 시즌의 센티널. 마스터스 마드리드를 우승하고 폼이 크게 떨어져 챔피언스 포인트로 간신히 4시드를 받았지만, 챔피언스에서 4등이라는 꽤 준수한 성적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다.[6] 사실 FST는 월즈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기에 현실적으로 월즈 발사대 역할조차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당장 라이엇 주최조차 아닌 EWC와 위상을 비교당하는 것이 현실이다.[7] 물론 엄연히 시즌 챔피언을 가려내는 국제 대회가 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마스터스 우승자를 시즌 챔피언으로 부르지는 않는다.[8] 24 SH - Gen.G / 25 BK - T1 / 25 TR - PRX[9] 국제전 연속 우승으로만 본다면 락인과 마스터스 도쿄를 연속우승한 2023시즌의 프나틱도 있다. 다만 락인이 마스터스급 위상으로 평가받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