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01820><tablebgcolor=#101820> | Made in Brazil 2025 시즌 로스터 | }}} |
| <colcolor=#101820>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101820><colcolor=#fff> 감독 | [[대니얼 몬타네르|대니얼 몬타네르 fRoD ]] | |
| 분석 | [[이아라 호드리구|이아라 호드리구 Iara ]] | ||
| 로스터 | |||
| ACTIVE | artzin ]] | xenom ]] | |
| cortezia ]] | aspas ]] | ||
| Verno ]] | |||
| INACTIVE | nzr | ||
| VCT 아메리카스 리그 참가팀 로스터 | }}}}}}}}} | ||
| | |
| <colbgcolor=#101820><colcolor=#fff> Made in Brazil aspas | |
| 에리크 산투스 (Erick Santos) | |
| 출생 | 2003년 6월 15일 ([age(2003-06-15)]세) |
| 국적 | |
| ID | MIBR aspas #naхy # |
| 경력 상금 | $186,619.29 USD (₩249,029,426.07)[1] |
| 소속 | SLICK (2021.03.21 ~ 2021.08.27) LOUD (2022.02.03 ~ 2023.09.12) Leviatán (2023.10.11 ~ 2024.11.27) Made in Brazil (2024.11.27 ~ ) |
| 링크 | |
1. 개요
現 Made in Brazil 소속 브라질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VCT Americas 출범 이전부터 브라질 챌린저스에서 양민학살에 가까운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이목을 모은 선수로, 처음 출전한 챔피언스인 2022 발로란트 챔피언스 이스탄불에서 우승을 거머쥐었으며 결승 MVP를 수상했다. 그 이후로도 꾸준히 발로란트 마스터스, 발로란트 챔피언스에 진출하면서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챔피언스에서 특히 더 강한 면모를 보인다. 우승과 MVP를 모두 가진 2022년은 물론이고 2023년과 2024년에는 팀을 3위까지 끌어올리는 1등 공신이 되었고, 2025년의 경우 팀 성적은 5-6위에 그쳤으나 대회 기간 내내 천외천의 폼을 보여주면서 319킬, KD 1.66, ACS 261.6, KPR 0.97이라는 좋은 의미로 비상식적인 스탯을 기록했다.
아직 역사가 짧기도 하고 절대 강자가 탄생하기 힘든 환경인 VCT 프로씬에서 그나마 현 시점 GOAT에 가장 가까운 인물을 뽑으라면 반드시 언급되는 선수이기도 하다.
2. 플레이 스타일
대단히 정교하면서도 놀라울 정도로 빠른 에임 트래킹, 정확하며 순간적인 끌어치기 능력, 믿을 수 없는 반응속도, 경이로운 헤드샷 적중률을 보여주는 등 타격대로서 필요한 모든 능력을 최고 수준으로 갖춘 굉장히 공격적인 만능 타격대이다.
주 요원은 제트와 레이즈. 두 요원 모두 최고 수준으로 다룬다. 그 중에서도 제트를 가장 선호하고, 네온이 큰 버프를 받은 이후인 2024 VCT Americas Stage 2부터는 레이즈 대신 네온을 주로 기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유의 절륜한 에임 트래킹을 십분 활용해 네온으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오퍼레이터를 아주 잘 다룬다. 2023 시즌 이후 오퍼레이터의 가치가 급상승하고, 뛰어난 오퍼수를 가진 팀은 큰 전략적 우위를 점하게 되었는데 아스파스는 오퍼레이터가 사실상 반필수로 자리잡기 이전부터 꾸준히 오퍼레이터를 사용해왔다. 오퍼레이터와 상성이 좋은 제트를 잘 다루는 점도 큰 시너지를 발휘한다.
3. 주요 경력
| 우승 경력 | ||||
| 2022 VALORANT Challengers Brazil Stage 1 우승 2022 VALORANT Challengers Brazil Stage 2 우승 | ||||
| 대회 출범 | → | LOUD | → | The Union |
| 2022 발로란트 챔피언스 이스탄불 우승 | ||||
| Acend | → | LOUD | → | Evil Geniuses |
| 2023 VCT Americas 우승 | ||||
| 대회 출범 | → | LOUD | → | Sentinels |
| 2024 VCT Americas Stage 2 우승 | ||||
| 100 Thieves | → | Leviatán | → | G2 Esports |
| 준우승 경력 | ||||
| 2022 발로란트 마스터스 레이캬비크 준우승 | ||||
| Team Envy | → | LOUD | → | Paper Rex |
| 2023 VCT LOCK//IN 상파울루 준우승 | ||||
| 대회 출범 | → | LOUD | → | 대회 폐지 |
| 수상 경력 | ||||
| 2022 발로란트 챔피언스 이스탄불 결승 MVP | ||||
| 알렉산데르 지그문트 (Acend) | → | 에리크 산투스 (LOUD) | → | 맥스 마자노프 (Evil Geniuses) |
| 2023 VCT Americas MVP | ||||
| 대회 출범 | → | 에리크 산투스 (LOUD) | → | 에리크 산투스 (Leviatán) |
| 2024 VCT Americas MVP | ||||
| 에리크 산투스 (LOUD) | → | 에리크 산투스 (Leviatán) | → | 미정 |
| VCT Americas Players Of The Year 수상 |
| 2023 VCT Americas 1st Duelist of the Year |
| 2024 VCT Americas 1st Duelist of the Year |
4. 장비 및 세팅
| <rowcolor=#fff> 마우스 설정 (Mouse Settings) | |||||
| <rowcolor=#fff> 마우스 | eDPI | DPI | 폴링레이트 | 감도 | 조준감도 |
| Logitech G Pro X Superlight 2 White | 320 | 800 | 4000 Hz | 0.4 | 1 |
| <rowcolor=#fff> 최종 업데이트 2025년 9월 29일 | |||||
| <rowcolor=#fff> 장비 (Hardware) | ||
| <rowcolor=#fff> 마우스 | 마우스패드 | |
| Logitech G Pro X Superlight 2 White | Artisan Ninja FX Zero Soft Orange | |
| <rowcolor=#fff> 모니터 | 주사율 | 인게임 해상도 |
| ZOWIE XL2586X | 540hz [2] | 1920x1080 |
| <rowcolor=#fff> 키보드 | 헤드셋 | |
| ATK RS6 Aspas Edition | Corsair VOID Wireless V2 II | |
| <rowcolor=#fff> 최종 업데이트 2025년9월 29일 | ||
5. 여담
- 발로란트의 출시 이전에는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에서 활동한 아마추어 유저였으며, 알려지지 않은 부계정으로 플레이하다 인간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의 기량을 보이며 핵 의심을 받았고 계정이 영구 정지된 적이 있다. 이후 정식 출시된 발로란트로 전향하자마자 세 스테이지 연속으로 브라질 서버 1위를 달성하며 스스로를 증명했다는 괴물같은 이야기가 있다.
- 2024 VCT Americas Stage 1에서 센티널스와의 경기 중 1세트 맵인 로터스에서 무려 47킬을 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는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단일 맵 최다 킬 세계 신기록이다.
- 2025 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에서 NRG를 상대로 3세트 도합 무려 80킬을 기록해 VCT 국제 대회 Bo3 최다킬 신기록을 작성했고, 다음날 DRX를 상대로도 3세트 76킬을 기록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소속팀 mibr은 저 두 경기를 모두 패하며 챔피언스를 탈락하고 말았다.
- 마스터스 도쿄 이후로 인게임 언어를 일본어로 설정하고 플레이한다. 이는 본인이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매우 좋아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 웹툰도 매우 좋아하는데, 특히 나 혼자만 레벨업을 상당히 좋아하는 듯하다. 사용하는 마우스패드도 나혼렙의 주인공 성진우 일러스트에 자기 얼굴을 합성한 커스텀 패드다.
- 닉네임은 포르투갈어로 따옴표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원래는 닉네임에 따옴표를 넣으려 했지만 특수문자 입력이 불가능했기에 그냥 글자로 따옴표를 적었다고 한다.
- 대회 경기마다 강아지 인형을 들고 나온다. 이는 본인이 동물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 대회에서 항상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만, 라우드에서 이적한 후 부터는 원맨팀이라는 소리를 듣거나 심지어는 본인이 저점이 휘말리는 경우가 생겨 도대체 아스파스는 왜 이리 팀운이 없냐며 한탄하는 팬들이 많다. 그럼에도 가는 팀마다 항상 챔피언스는 어떻게든 보내주고 호성적도 거두는 덕에 팀보다 위대한 선수라는 평을 받기도 한다.
- 경기 중에 리액션이 거의 없는 편이며, 이 때문에 부나 같은 팀원 베르노처럼 조용한 성격으로 보이나, 사실 신나면, 상당히 시끄러운 편이다. 대표적인 예시가 텍스쳐와의 랭겜에서의 모습이다.#
- 이상할만큼 챔피언스에서만 각성하는 선수이기도 하다. 특히나 2025년, 토론토에서 아트진과 함께 스탯 꼴등을 기록해서 12위로 광탈했으나, 아메리카스는 스테이지 2 제외 3등으로 이끌고, 챔피언스에선 그 누구도 예상못한 5~6위로 팀을 이끌었으며, 독감과 DRX의 각성만 아니였어도 "아스파스가 있는 팀은 챔피언스 3위 이상은 한다"는 징크스를 유지했을지도 모른다.
6. 둘러보기
| 에리크 산투스 관련 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