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03:20:26

Edward Gaming/발로란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dward Gami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2659,#FC2659><tablebgcolor=#FC2659,#FC2659> 파일:VCT CN 로고 화이트.svgVCT CN
참가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Dragon_Ranger_Gaming_allmode.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380px-XLG_China_2024_allmode.png
Bilibili Gaming Dragon Ranger Gaming Edward Gaming XLG Esports
파일:All_Gamers_logo_simple.png 파일:TyLoo2016logo.png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Trace Esports.png
All Gamers TYLOO Gaming FunPlus Phoenix Trace Esports
파일:Nova_Esports_LATAM_allmode.pn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Titan Esports Club 2025.pn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Nova Esports JD MALL JDG ESPORTS Titan Esports Club Wolves Esports
파일:VCT Americas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CN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
활동 중인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colbgcolor=#221814><colcolor=#efeeec> 에드워드 게이밍
Edward Gaming
창단 2020년 4월
소속 리그 VCT CN
설립자 주이항
Ed Chu
단장 지싱
Aaron
매니저 서우원쥔
Aqua
리더 리쥔성
JuiceFlip
감독 [[탕스쥔|탕스쥔
Muggle
]]
코치 [[왕천|왕천
Heav1n
]]
분석 [[황쥔제|황쥔제
Sunshine
]]
IGL [[왕썬쉬|왕썬쉬
nobody
]]
약칭 ED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Champions
(1회, 최다)
2024
VCT CN
(4회, 최다)
2024 킥오프, 2024 S1, 2024 S2, 2025 킥오프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221814><colcolor=#fff> ACTIVE 파일:중국 국기.svg [[완순즈|완순즈
CHICHOO
]]
파일:crwn.png 파일:중국 국기.svg [[왕썬쉬|왕썬쉬
nobody
]]
파일:중국 국기.svg [[정융캉|정융캉
ZmjjKK
]]
파일:중국 국기.svg [[장자오|장자오
Smoggy
]]
파일:중국 국기.svg [[장준청|장준청
zjc
]]
파일:중국 국기.svg [[장쥔타이|장쥔타이
Jieni7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 개요2. 역사
2.1. 2022년2.2. 2023년2.3. 2024년2.4. 2025년
3. 구성원
3.1. 로스터 연혁3.2. 스태프 연혁
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VCTCNS1_EDG.jpg
#UnityForLove
Edward Gaming 소속 중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EDG.

2. 역사

2.1. 2022년

VCT에는 2022년 동아시아 LCQ에 중국 초청팀으로 처음 출전했다. 투박한 운영을 압도적인 에임으로 커버하며 당시 LCQ의 다른 팀들과 한 차원 다른 파괴력으로 우승해 챔피언스에 진출했다.

그러나 챔피언스라는 큰 무대에 나서자 운영에서의 단점이 크게 부각되며 16강 광탈로 끝났다. 다만 페이퍼 렉스를 상대로 세트 하나를 가져오고 리퀴드를 상대로 연장 접전도 가보는 등 나름의 발전 가능성은 보여주며 미래가 기대된단 평가를 받았다.

2.2. 2023년

락인에서 FPX와 함께 초청받아서 참가했는데, 1회전 상대부터 100T라는 난적이 걸렸다. 작년보다 인게임 플레이가 한 층 더 발전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2대1로 패배하면서 일찍 짐을 쌌다. 그리고 개최된 리그에서 ASE에게 5꽉패를 당하며 2시드로 마스터스에 참가하게 되었다.

마스터스에서는 NRG, T1, NAVI와 같은 조로 묶였고, 첫 상대는 T1으로 결정되었다. 성장세가 좋은 티원을 상대로 초접전 끝에 1-2로 지면서 패자전으로 내려갔는데, NAVI와의 경기에서 두 세트 모두 연장을 간 끝에 2-0으로 승리하는 이변을 일으키며 중국팀의 첫 국제전 승리를 만들어냈다.

이후 최종전에서 T1에게 라운드 합계 26-10으로 개막전 패배를 되갚아주고 중국팀 역사상 최초로 국제대회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PO 첫 상대는 EMEA 우승팀 TL로 결정되었는데, 호각세를 보여줬지만 1-2로 석패하며 패자조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그 패자조에서 아메리카 우승팀이자 직전 챔피언스에서 정상에 오른 LOUD를 만나며 탈락이 예상되었으나, 물오른 교전력을 보여주며 2-0 쾌승을 거둔다.

비록 그 다음에 만난 PRX에게 1-2로 패배하며 대회를 마쳤지만, 이번 마스터스에서 패배한 경기도 모두 1세트씩은 따내며 이전보다 국제전 경쟁력이 한 단계 올랐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이후 개최된 리그에서 우승을 거두며 중국 1시드 자격으로 챔피언스에 참가하였고 PRX, GIA, KRÜ와 같은 조로 편성되었다. 자이언츠를 2-1로 꺾으며 승자조로 올라가 PRX를 만났고 거기서 수준급 교전력을 보여줬지만, PRX는 교전력에 지능까지 갖춘 모습을 보여주며 0-2 패배를 안겨준다. 하지만 자이언츠와 재대결한 최종전에서 2-0 승리를 거두며 토너먼트로 진출한다.

그러나 토너먼트에서는 그 해 챔피언스를 우승하는 EG를 첫 상대로 만났고, 연장 끝에 1세트를 가져오나 2,3세트를 모두 13-5로 압살당하면서 패자조로 내려갔다. 패자조에선 같이 올라온 BLG와의 중국 내전에서 승리하지만, 바로 다음에 만난 LOUD에게 마스터스의 복수를 당하며 최종 6강으로 대회를 마쳤다. 그래도 23시즌이 개막하기 전 "출전권 박탈해라" 소리를 듣던 중국 지역의 위상을 끌어올리는데 톡톡히 공헌했다는 성과를 올렸다. 이제는 조별리그 통과를 넘어 국제전 우승까지 노리는 강팀으로 거듭날지, 아니면 한때의 황금기로 끝나고 그 위상을 잃어버릴지 기로에 서있는 만큼, 다음 시즌을 잘 치르는 것이 중요해졌다. 일단 시즌 후에도 로스터 변동 없이 전력을 지킨 만큼, 다음 시즌에도 기대치는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2.3. 2024년

VCT 중국 리그가 정식으로 출범하면서 EDG 역시 프랜차이즈 팀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3월 킥오프에서 우승하며 여전히 중국 최강팀의 면모를 보여주었고 마스터스 마드리드에 출전하게 되었다.

마드리드에선 첫 상대로 PRX를 만났다. 통산전적 3전 3패의 껄끄러운 상대였지만, 그것이 오히려 선수들에게 동기부여가 되었고 2:1 승리를 거두며 상대전적 연패를 끊어냈다. 다음 상대론 젠지가 걸렸는데, 1세트를 가져갔지만 2,3세트를 패하며 최종전으로 내려가게 되었다. 최종전에선 작년 1승 1패를 주고받은 라우드와 맞붙었는데, 2세트 동안 라운드 총합 26:5로 참패하며 탈락했다. 이번 대회까지 국제전에서 3번 연속으로 종합 5~6위의 성적을 거두며, '국제전 4강'이라는 목표는 다음을 기약하게 되었다.

VCT CN 스테이지 1에서 또 한번 우승을 차지했으나, 자국에서 열린 마스터스 상하이에서 헤레틱스와 PRX에게 내리 2:0으로 패하며 EDG 및 중국 리그의 수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이 많아졌다.

그러나 하오동이 코치로 이동하고 사이먼이 신규 선수로 합류하는 변화 속에서도 스테이지 2를 우승했고, 챔피언스에서는 세계적인 강팀들을 내리 꺾고 결승까지 진출하더니 결승에서 치열한 접전 끝에 헤레틱스를 3:2로 꺾으며 3번의 도전 끝에 CN지역 최초 챔피언스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가져가게 되었다.[1] 어째서인지 롤팀이랑 성적이 반비례하는 것 같다

2.4. 2025년

킥오프 초반 TE에게 2:0 패배라는 사고가 있었지만 이후 미라클 런을 해내며 또다시 우승을 달성하고 마스터스 방콕에 1시드로 당당히 입성하게 된다.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우승 후보 G2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순조롭게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상위조에서 손쉽게 제압했던 T1을 하위조에서 다시 만나 패배하면서 최종 3위로 전년도 챔피언이라는 이름값에 비해 다소 아쉬운 마무리를 했다.

이후 스테이지 1에서는 팀내 불화로 사이먼을 로스터에서 제외시키고 지에니를 투입했으나 초반부터 삐걱대는 모습을 보이더니,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내리 2연패를 하며 마스터스 토론토에 진출조차 하지 못하는 최악의 사태를 겪고야 말았다.

스테이지 2에서도 부진은 계속 되면서, TEC, TYLOO 같은 확실한 약팀이 아닌 이상, 고전을 면하고 있다. 특히나 징동전에서는 고전 끝에 겨우 승리했으며, 어느덧 중국 리그 강자로 올라선 BLG과 트레이스에게 패배하면서 결국 조별 리그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후 플레이오프 상위조 1라운드 DRG전에서 척후에서 강점을 보이는 노바디에게 요루라는 픽을 쥐어주는 실수로 저지르면서, 0:2 스윕패를 당했다. 하위조 1라운드 TE전에서도 1맵에서는 고전 끝에 패배했으나, 캉캉의 미친 활약으로 겨우 승리를 거두었으며, 2라운드 TYLOO전 역시 캉캉의 고점과 함께 승리를 거두면서, 그래도 EDG는 EDG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3라운드에서 스테이지 1에서 안좋은 기억을 안겨주었던 XLG를 2:0 승리로 제대로 설욕하면서, 챔피언스 4년 연속 진출에 성공했다. 다만 하위조 결승전 상대인 BLG를 상대로 캉캉의 부진을 포함한 멤버 전원이 저점을 띄우면서, 1:3 패배당했다. 이제는 더 이상 CN리그가 EDG의 리그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게 되었다. 특히나 BLG를 상대로 2025 킥오프까지 9연승을 거두던 EDG가 BLG에게 올해만 무려 3번 졌다는 것이 충격일 다름.

챔피언스 파리에서도 NRG와 TL에게 연달아 패배하며 전체 16팀 중 1호 탈락을 당했다.

3. 구성원

3.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efeeec> ID 이름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Life 취둥하오 N/A 2020년 11월 1일 2022년 11월 4일 파일:Attacking_Soul_Esports.png Attacking Soul Esports
NaThanD 덩센차오 파일:KaiXin_Esports_logo.pngKaiXin Esports 2021년 7월 1일 2022년 ??월 ??일 파일:ZHUQUE_logo.png ZHUQUE
YorkMonster 야오군 파일:X9_Gaming_logo.png X9 Gaming 2020년 11월 08일 2022년 3월 29일 파일:NTER_logo.png NTER
布拉德皮带 신보셴 N/A 2020년 04월 ??일 2020년 09월 ??일 은퇴
布拉德皮蛋 첸 왕 N/A 2020년 04월 ??일 2020년 09월 ??일 은퇴
Fzzzz 판 유하오 N/A 2020년 07월 ??일 2020년 11월 ??일
L1nk 종 웬셴 N/A 2020년 08월 ??일 202?년 ??월 ??일 파일:Divine_Force_Gaming_logo.png Divine Force Gaming
GIXad 첸 샤오타오 N/A 2020년 10월 ??일 202?년 ??월 ??일 파일:Divine_Force_Gaming_logo.png Divine Force Gaming

3.2. 스태프 연혁

스태프 연혁
<rowcolor=#efeeec>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AfteR 뤄원신 코치 파일:1200px-Ahq_logo.png ahq e-Sports Club [2] 2020년 06월 ??일
Muggle 탕스쥔 코치 N/A 2022년 03월 25일
Aqua 슈원쥔 매니저 N/A 2021년 ??월 ??일

4. 둘러보기

파일:발로란트 로고_가로.svg
프로게임단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101a2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colbgcolor=#ff4654><colcolor=#101a24>VCT 프렌차이즈 활동중한국/일본 활동중
파일:VCT Americas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CN 로고 화이트.svg 파일:VCT EMEA 로고 블랙.svg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지역 활동중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TSMShopify Rebellion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중미 통합 체제 깃발.png 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중남미
Rebirth eSportsFurious GamingE-Xolos LAZERRETA Esports
Six KarmaFUSIONAll KnightsZen eSports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TBK EsportsHero BaseStellae GamingGalorys
XLD GamingOLIMPO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MOUZEXO ClanCGN EsportsUCAM Esports Club
KPI GamingMandatoryALTERNATE aTTaXFOKUS
Eintracht FrankfurtOvation eSportsPermitta Unicorn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İstanbul WildcatsGalakticosGalatasaray EsportsPapara SuperMassive
Fenerbahçe EsporEternal FirePCIFIC EsportsHOWL Esports
S2G EsportsDigital AthleticsFire Flux Esports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MiTHBleed EsportsVelocity GamingXERXIA
OrangutanReckoning EsportsMLT EsportsFULL SENSE
Sharper EsportTeam NKTTeam FlashDisguised
Alter EgoNAOS EsportsZOL EsportsRevenant Esports
Rapid Lofi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Rare Atom KeepBest Gaming Chosen Clique Gaming Qing Jiu Club
파일:ANZ 깃발.png
오세아니아
Antic EsportsJFT EsportsJijieHao BONKFOCUSGG
파일:중동 위치.pn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중동&아프리카
NASR EsportsThe UltimatesDragons EsportsOnyx Ravens
The ViciousTwisted MindsVision EsportsQadsiah Esports
Team RA'ADTeam Majest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or: #ff4654"
{{{#!folding 활동 중단 및 해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f4654><colcolor=#00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RenegadesCloud9 WhiteCode7beastcoast
NYFUDignitasDignitas FemaleRise
Complexity GamingOpTic GamingImmortalsXSET
Luminosity GamingVersion1Ghost GamingKNIGHTS
FaZe ClanThe GuardDarkZero EsportsOxygen Esports
M80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중미 통합 체제 깃발.png 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중남미
AustralsInfinity EsportsEstral Esports9z Team
19esports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Imperial EsportsBlack DragonsINGAMING EsportsFalkol eSports
paiN GamingDETONA GamingGamelandersB4 eSports
Team VikingseRa EternitySharks EsportsVorax
Los GrandesKeyd StarsLibertyThe Union
LegacyODDIK00 NationRED Canids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SKADEEntropiq BravoInto The Breach ProtocolInto The Breach Prime
GODSENTEntropiqRix.GGVALORANDO
Enterprise EsportsBIGWave EsportsPENTA
Team QuesoGuild EsportsB7 WarriorsDfuseTeam
OGOG LDN UTDReal BetisRebels Gaming
Pon EsportAYM EsportsZETA GamingValiant
Angry TitansWYLDEDIVIZONESC Gaming
Case EsportsWygersSAWDiamant Esports
Diamant EsportsNOM EsportsIncognitoMACKO Esports
GMT EsportsQLASHAcendWLGaming
MetizportZero TenacitySolaryDsyre
Monaco EsportsGoNext EsportsSK GamingOutplayed
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독립국가연합
Team EmpireROX TEAMforZeGambit Esports
One Breath GamingCrowCrowdTeam Singularity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Beşiktaş EsportsFUT EsportsParla EsportsRegnum Carya Esports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ahq e-Sports ClubPinto GamingGods ReignDivisionX Gaming
Bren EsportsNigma GalaxyONIC EsportsGodLike Esports
Team SMGAttack All AroundElevateThe MongolZ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대한민국 프로게임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프로게임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LGD GamingRoyal Never Give UpWeibo GamingDouyu Gaming
Invictus GamingNewHappyLNG EsportsRegans Gaming
JiJieHaoTianba EsportsKING-ZONETop Esports
Attacking Soul EsportsFour Angry MenNinjas in Pyjamas17 Gaming
파일:ANZ 깃발.png
오세아니아
FURYGround Zero GamingKanga EsportsLegacy Esports
Team BlissORDERAvant GamingMindfreak
Dire WolvesWildcard GamingMAMMOTH95X Esports
파일:중동 위치.pn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중동&아프리카
Anubis GamingFox GamingQLASH EgyptBravado Gaming
Underground GamingFOG EsportsGamax EsportsFraggerz
GnG EsportsUnited GamingGeekay EsportsTeam Falcons}}}}}}}}}}}}}}}}}}}}}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로고.svg발로란트 챔피언스
역대 우승팀
}}}
{{{#!wiki style="color: #1d1b1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2021 2022 2023 2024
파일:ACEND_only_logo.png 파일:LOUD 심볼.svg 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Acend
LOUD
Evil Geniuses
Edward Gamin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2659,#FC2659><tablebgcolor=#FC2659,#FC2659> 파일:VCT CN 로고 화이트.svgVCT CN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2024 Kickoff 2024 S1 2024 S2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Edward Gaming
2025 Kickoff 2025 S1 2025 S2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Edward Gaming
XLG Esports
Bilibili Gaming
}}}}}}}}} ||

파일:VCT CN 심볼 화이트.svg VCT CN 역대 왕조
★★★★
2024 킥오프 ~ 2025 킥오프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G
VCT CN 기록만 서술하며 왕조를 달성한 당시 구단명과 엠블럼으로 서술함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다른 스포츠 역대 왕조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야구 축구 e스포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왕조
일본프로야구 역대 왕조
대만프로야구 역대 왕조
프리미어 리그 역대 왕조
라리가 역대 왕조
세리에 A 역대 왕조
분데스리가 역대 왕조
에레디비시 역대 왕조
리그 1 역대 왕조
한국프로축구 역대 왕조
LCK 역대 왕조 · LPL 역대 왕조 · LEC 역대 왕조
LCS 역대 왕조 · LJL 역대 왕조 · PCS 역대 왕조
VCS 역대 왕조 · LCK CL 역대 왕조
LLN 역대 왕조 · CLS 역대 왕조 · LMS 역대 왕조
LST 역대 왕조 · LCO 역대 왕조 · LCL 역대 왕조
CBLOL 역대 왕조 · LPLOL 역대 왕조
LFL 역대 왕조 · SL 역대 왕조 · TCL 역대 왕조
RL 역대 왕조 · LIT 역대 왕조 · HLL 역대 왕조
HM 역대 왕조 · EBL 역대 왕조
=======
VCT CN 역대 왕조
}}}}}}}}} ||



[1] 한편 사이먼은 입단 2개월 만에 리그 우승과 챔피언스 우승을 모두 경험하게 되었다.[2] PUBG 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