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7:07:53

김기중(야구선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김기중(야구선수)/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문동주 · 5 윤대경 · 11 엄상백 · 14 김승일
· 15 김기중 · 18 이상규 · 19 이충호 · 26 한승혁
· 27 이민우 · 28 장시환 · 29 황준서 · 30 폰세
· 31 정이황 · 36 장민재 · 38 김종수 · 40 장지수
· 43 정우주 · 44 김서현 · 45 배민서 · 46 이태양
· 47 김범수 · 48 원종혁 · 49 김범준 · 53 김민우
· 55 와이스 · 57 성지훈 · 58 박상원 · 60 김규연
· 61 배동현 · 62 김도빈 · 63 박성웅 · 64 권민규
· 66 주현상 · 68 조동욱 · 93 이성민 · 96 문승진
· 99 류현진 · 100 이기창 · 102 한서구 · 104 이동영
· 105 박상현 · 107 엄상현 · 108 엄요셉 · 109 최주원
· 111 박부성
최종 편집: 2025년 2월 3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한화 이글스 등번호 15번
문동욱
(2020)
김기중
(2021~)
현역
<nopad>파일:2024_김기중.png
<colbgcolor=#FC4E00><colcolor=#fff> 한화 이글스 No.15
김기중
Kim Ki-Joong
출생 2002년 11월 16일 ([age(2002-11-16)]세)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의왕부곡초 - 매송중 - 유신고
신체 186cm, 90kg
포지션 투수(스윙맨)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21년 2차 1라운드 (전체 2번, 한화)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21~)
연봉 6,000만원 (36%↑, 2025년)
등장곡 Fall Out Boy - Centuries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화 이글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김기중(야구선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colcolor=#FFF>
파일:김기중직구2024.gif
<colbgcolor=#FC4E00> 김기중의 포심 패스트볼
파일:김기중슬라이더.gif
슬라이더
파일:김기중커브2024.gif
커브볼

최고 구속이 148km/h에 이르는 포심 패스트볼과 130km/h 대의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커브,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데뷔 초반에는 제구가 미완성이라는 평가가 많았지만, 2023시즌 후반부터 직구 평균 구속을 140km/h 대로 낮추고 제구에 집중한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며 준수한 5선발 수준의 피칭을 보여주고 있다.

분명 더 좋고 높은 투수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타 비슷한 연차의 투수들이 그렇듯 특유의 고질적인 멘탈 불안정으로 인해 2024년 시즌 후반기에 들어서는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4. 여담

  • 팀 내에 유신고 출신이 여럿 있는데, 박정현(내야수), 박상언(포수)이 있다.
  • 2021 시즌 등번호 15번을 배정받았는데, 이 번호는 팀의 대선배이자 레전드인 구대성의 등번호로 유명하고, 이후 이용규[1][2]문동욱이 달았던 적도 있었다.
  • 특이하게 로진을 아예 쓰지 않는다.[3][4][5]
  • 같은 팀 선배인 김민우에 의하면 슬프고 순수한 눈을 가졌다고 한다. 팬들 사이에서는 슬픈 개구리[6]를 닮았다는 반응이 많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준오를 닮기도 했다는 평도 있고, 가수 겸 배우인 와 상당히 닮았다. 좋좋소백진상으로 유명한 배우 김경민과도 꽤나 높은 싱크로율을 보이고 있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000>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미지명 김연철 이동석
이정훈
김용민(1)
곽동열
윤영환(1)
김락기
<rowcolor=#000000>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진상봉 김인권 김재성 허준 정진식
<rowcolor=#ffffff>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rowcolor=#f7000d> 최명진 오중석 백재호 신경현 황우구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이범호 김백만 유혜정 장순천 송창식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양훈 류현진 김혁민 윤기호 구본범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김용주 유창식 하주석 조지훈 최영환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김민우 김재영 김진영 이승관 노시환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남지민 김기중 박준영 김서현 황준서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정우주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1] 현재는 익숙한 15번. 19번은 2020~2022시즌.[2] 원래 구대성의 15번은 그당시 1차지명 유창식에게 넘어갔으나, 이후에 유창식이 이용규에게 팔았다...[3] 로진을 아예 쓰지 않는 선수는 MLB에서도 희귀하며, 류현진의 경우 손끝 감각을 살리기 위해 로진을 비교적 적게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로진을 쓰지 않는 이유를 2021년 9월 25일 방송된 아이 러브 베이스볼의 인터뷰에서 밝혔는데, 김기중 자신이 "손에 로진 자국이 남으면 오히려 투구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하며, 손에 땀이 아주 많이 나지 않는 이상 사용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5] 일본에 오사다 슈이치 선수가 송진 알레르기가 있어 흙과 섞어 사용한 바 있다.[6] 별명이 페페중이다. 그러나 본인은 닮지 않았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