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3 21:44:36

걱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특정한 원인이 있는 불안의 일종}}}에 대한 내용은 [[공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공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공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특정한 원인이 있는 불안의 일종: }}}[[공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공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공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 분노 환멸 · 짜증 · 투정 · 성가심 · 악의 · 자기방어 · 안달 · 분함 · 꺼림 · 진노 · 증오 · 공통 · 애증공통
슬픔 실망 · 무능 · 애달픔 · 후회 · 우울 · 한탄 · 비참 · 무기력 · 좌절 · 그리움 · 비통 · 공통 · 애환공통
불안 공포 · 걱정 · 스트레스공통 · 초조 · 혼란 · 의심 · 조심 · 나약함 · 당혹
아픔 시샘 · 배신감 · 외로움 · 얼떨떨함 · 스트레스공통 · 핍박 · 억울 · 괴로움 · 고난 · 버림받음 · 두려움 · 불행 · 절망 · 피로 · 부담
창피 억눌림 · 시선의식 · 부끄러움 · 열등감 · 죄책감 · 불쾌 · 한심
기쁨 고마움 · 편안함 · 들뜸 · 행복 · 행운 · 믿음 · 여유 · 즐거움 · 자신감 · 용기 · 안심 · 우월감 · 희열 · 감동공통 · 성취감 · 자랑 · 만족 · 애환공통
사랑 내리사랑 · 형제애 · 우정 · 편애 · 안갚음 · 따름 · 동정 · 감동공통 · 자비 · 상냥함 · 설렘 · 애증공통
바람 · 희망 · 탐욕 · 음욕 · 욕심 · 간절함 · 기대 · 갈급함 · 인색 · 불만
감정의 상위 분류: 욕구 · 감성 · 이성
하버드 대학 심리학자 수전 데이비드의 분류 결과와 칠정의 요소
}}}}}}}}} ||

1. 개요2. 설명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Concern / 😟

안심이 되지 않아 불안한 감정 또는 어떤 것을 위하거나 생각하는 마음을 일컫는다.

2. 설명

앞으로 일어날 일이나 이미 일어난 부정적인 일에 대해 그것을 극복하거나 문제를 최소화할 해결 방안을 탐색하지 못한 경우 사람들은 걱정을 하게 된다.

걱정이 보통 원래 우려했던 것보다는 대부분 잘 풀리는데, 이 이유는 걱정의 특성상 나쁜 상황을 대비하는 활동을 부추긴다는 점과, 걱정이 약간의 편향을 가진다는 점 때문이다. 다르게 보자면 이는 즉 걱정이 가장 나쁜 경우의 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며, 따라서 과하지 않는 수준의 걱정은 오히려 삶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걱정은 불안의 표현이므로, 불안의 증세에 따라 심박수가 증가하거나 식은땀이 나게 되고, 지금 하고 있는 일에 집중하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이것을 극복하지 못하면 점점 더 큰 불안감에 휩싸이게 되고, 그것은 스트레스로 발전해 나간다. 극도로 심한 경우 질병을 얻었다는 사례도 있다.

일부 사람들은 너무 많은 걱정을 하는데, 이들 중 일부는 보다시피 불안장애의 전형적인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1] 그 외에도 강박장애의 강박사고 역시 강박이 충족되지 않은 환경에 대한 걱정의 형태로 충분히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걱정이 너무 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자기 잘못이라 생각하지 말고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노인들이 말년에 생각할 때 가장 후회되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부분이 걱정하면서 시간을 낭비한 것이라고 한다. [2]

파일:concern1.jpg
우리가 하는 걱정거리의 40%는 절대 일어나지 않을 사건들에 대한 것이고, 30%는 이미 일어난 사건들, 22%는 사소한 사건들, 4%는 우리가 바꿀 수 없는 사건들에 대한 것들이다. 나머지 4%만이 우리가 대처할 수 있는 진짜 사건이다. 즉 96%의 걱정거리가 쓸데없는 것이다.
― 어니 J. 젤린스키 '느리게 사는 즐거움' 中

짤의 내용에 대해서는, 물론 이렇게 이분법적이고 단순한 상황에선 쓸데없는 걱정에 해당하므로 걱정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 맞으나, 사람은 전지하지 않기 때문에 예와 아니오로 판별할 수 없는 사건을 반드시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저도 몰라요.'라는 대답에는 이 그림이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고아여서 걱정이라면, 실제로 살면서 겪는 문제가 많을 것이며 해결을 위해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위 내용은 중대한 상황에 닥친 사람들에게 이러한 조언은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할 것이며, 사소한 강박과 걱정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더 맞는 조언일 것이다.

걱정은 앞으로 있을 위험을 예측하고 방지하기 위한 우리의 생존 본능이며 적절한 걱정은 필요하지만, 지능이 높은 현생 인류는 자신이 통제하지 못하는 일까지 예측하고 죄책감을 느끼고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인지주의 심리 치료를 받아 불필요한 걱정을 줄일 수 있고, 인지주의 심리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상황을 긍정적, 혹은 중립적으로 인지하도록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되기도 한다. 가령, 길을 가다 친구가 인사를 하지 않고 지나쳐 간다면 '내가 무슨 잘못을 했나?' '나를 어색해하나?'라는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시력이 나쁜가 보다', '바쁜 일이 있나 보다' 등의 중립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걱정을 줄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걱정은 불안을 표출하는 한 형태이며 따라서 충분히 걱정했음에도 계속 걱정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에는 정신과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3. 여담

  • 자기개발서 장르의 창시자로 꼽히는 데일 카네기는 '걱정'이라는 한 가지 주제만으로 단행 서적(《How to Stop Worrying and Start Living》.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제목으로 번역 출간됨)을 출간한 바 있으며, 이 책은 무려 저자의 대표작 중 하나이기도 하다.
  • OECD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코로나 이전/이후의 불안감(걱정) 비율을 조사했을 때 대한민국은 29% 수준으로 변화가 없었다. 코로나 이전의 불안감 비율은 한국이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었으나, 미국, 영국, 멕시코의 불안감 비율이 큰 수치로 증가하여 2020년 4월 기준 멕시코가 세계 1위를 기록하였다. 한편, 일본은 코로나/이전 이후 모두 11%를 기록하여 대한민국처럼 변화가 없었으며, 주요 16개국 중에서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그리스를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 '걱정'이라는 어형은 18세기부터 '걱졍'으로 나타난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걱정을 '분별'이라는 단어로 많이 표현했다. 이 단어는 불교에서 유래한 것으로, 선조의 언문 서간에도 등장하는 등 조선 중기까지 일상 용어로 쓰였다.
  • 걱정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것을 뜻하는 용어로 '램프 증후군'이 있다.
  • 뉴스에 다른 나라의 경제 상황을 보도하는데 외국을 걱정하지 말고 우리나 신경써라, 전교 꼴등이 전교 3, 4등을 걱정하는 꼴이라며 걱정이라는 단어를 여기저기 쓰는 네티즌들이 2020년대에 늘어났다. 일본, 독일이 경제대국이라는 점과 경기침체와 맞물려 뉴스에 자주 보도되는 특성 덕에 일뽕과 독빠들 비율이 압도적이다. 그러나 다른 나라의 경제 역시 한국에도 영향을 주므로, 이는 옳은 표현이 아니다.
  • 다른 사람의 인생 등을 걱정하며 모욕하는 경우도 있는데[3], 이는 정당한 행위가 아니다. 이는 마치 환자의 미래의 고통이 걱정되니 지금 죽여주겠다고 하는 꼴이다.

4. 관련 문서



[1] 현대에 불안장애는 우울장애보다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며, 그에 비해 우울장애보다 대중적 인식은 더딘만큼 실제 유병률은 얼마든지 더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불안장애를 가졌는데 단순히 걱정이 좀 많을 뿐이라 치부할 가능성도 충분히 높다.[2] 걱정이 무조건 필요없다기보단, 과도한 걱정에 파묻히는 것이 쓸모없다는 것. 현대보다도 정신질환의 인식이 부족했던 시절 실제 불안장애를 가졌던 이들이 노인이 되어 후회하고 있는 것일 가능성도 무시할 수는 없으며 이는 정신건강의학과의 인식을 더 개선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져야 한다.[3] 주로 그 사람의 생각을 바꿔보겠다는 의도이다. 간혹 관심을 끌기 위해, 또는 그저 욕하고 싶어서 하는 경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