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7:06:40

Forsaken(Roblox)


'''
에 대한
이 문서에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토론 중인 내용을 일방적으로 편집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이걸 원했어!!.png'''[[Forsaken(Roblox)|{{{#!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
{{{#!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등장인물
생존자 (스킨) · 살인마 (스킨) · NPC · 대사 및 상호작용
게임 관련 정보
감정 표현 · 아이템 · · 미션 · 업적
업데이트 로그
· 세계관
}}}
}}}}}}
파일:Roblox 아이콘.svg
파일:1px 투명.sv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파일:1px 투명.svg
제작 날짜
{{{#000 최근 업데이트 날짜
}}}
{{{#000 최대 플레이어 수
9명
}}}
{{{#000 플랫폼
}}}
{{{#000 커뮤니케이션
파일:Roblox 마이크 아이콘.svg 마이크
}}}
{{{#000 장르
서바이벌
}}}
{{{#000 하위 장르
일대다 게임
}}}
{{{#000 수위
약함[1]
}}}
{{{#000 기어 허용
파일:사용 가능 장비 (X).png
}}}
SNS

1. 개요2. 게임 내 규칙3. 시스템
3.1. 기본 시스템3.2. 조작법3.3. 플레이어 포인트 / 경험치3.4. Malice (악의)3.5. UI3.6. 도움 요청
4. 진행 방식
4.1. 히든 매치
5. 역할6. 상태효과7. NPC8. 9. 감정 표현10. 아이템11. 미션12. 업적13. 대사14. 게임패스
14.1. 개발자 상품
15. 세계관16. 업데이트 로그
16.1. 업데이트 예정 컨텐츠
17. 팁
17.1. 돈 & 경험치17.2. 생존자17.3. 살인마
18. 평가
18.1. 긍정적 평가18.2. 부정적 평가
19. 논란 및 사건 사고
19.1. 개발자(souldrivenlove)의 과거 행위 폭로 사건
19.1.1. 해명
19.2. 가스하푼 스킨의 프로젝트 문, Mili 저작권 침해 논란19.3. 공식 디스코드 해킹 사건19.4. VIP 서버 내 개발자 패널 공개 사건
20. 버그21. 이스터에그22. 기타

1. 개요

당신의 영원한 감옥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게임 소개문의 일부

Forsaken Dev Team에서 제작한 술래잡기 형식의 Roblox 공포게임. 생존자들이 살인마에게서 도망다니며 제한시간이 끝날 때까지 버티는 간단한 형식의 게임이다.

평가율은 86~87%를 유지하며 동접자는 3만에서 많으면 10만''까지 가는 알파 버전이라고는 말도 안되는 동접자를 보여준다.[2]20만'''동접자까지 갔으며 그때 개발진은 서버 공지에 감사하다며 이 답례로 제이슨 너프와 존 도 버프를 하겠나고 했다.]

2. 게임 내 규칙

게임 내 규칙과 그에 따른 처벌을 서술.

3. 시스템

게임 내 여러 시스템을 서술.

3.1. 기본 시스템

  • HP
    Forsaken의 핵심 시스템 중 하나이며, 각 캐릭터마다 주어지는 기본 HP가 다르다. 생존자는 평균적으로 90~100 정도의 HP를 가지고 있으며, 살인마는 1000 HP를 넘는 경우도 있다. HP를 회복시킬 방법은 맵에서 구급 키트를 찾아 사용하거나, 빌더맨이나 엘리엇의 능력으로 회복할 수 있다. 또는 본인 한정으로 셰들레츠키의 능력으로 회복할 수 있다. HP가 절반 이하가 되면 자세를 숙이며 한 손으로 배를 잡는 자세가 된다.
    • 만약 체력을 모두 소진하면 해당 캐릭터는 죽게 되며, 다음 라운드까지 로비에서 기다려야 한다. [3] 살인마가 죽으면 라운드가 바로 끝나고 생존자가 승리한다. 보이는 체력은 소수점을 반올림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체력이 0이어도 살아있는 경우가 있으며, 현 체력보다 낮은 피해를 입었는데도 처형당하는 경우가 있다. [4]
  • 걷기 속도 & 달리기 속도
    움직일 시에는 자동으로 걷기 속도로 걸으며, Shift 키를 누를 시에만 달리기 속도로 뛰며 아래에 서술된 스태미나가 닳는다. 생존자는 모두 동일한 걷기 속도와 달리기 속도를 가지며, 살인마는 살인마마다 다르다.
  • 스태미나
    쉬프트 키나 달리기 버튼을 누르면[5], 캐릭터는 스태미나를 지속적으로 소모하며 달린다. 쉬프트 버튼을 떼거나 달리기 버튼을 다시 누르면 달리기를 멈추고 스태미나가 서서히 차오른다. 스태미나가 0이 되어 모두 소모된 상태라면[6] 1초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다시 서서히 찬다.
    최대 스태미나, 초당 스태미나 재생 시간, 초당 스태미나 소모 시간이 따로 있으며, 생존자는 모두 100의 스태미나, 20의 스태미나 재생 시간, 10의 스태미나 소모 시간으로 같다. 살인마는 110의 스태미나, 21의 스태미나 재생 시간, 9의 스태미나 소모 시간으로 모두 동일하지만, 앞으로 나올 몇몇 살인마들은 다르게 설정될 예정이다.

3.2. 조작법

WASD를 제외한 모든 키는 설정에서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조작법 [ 펼치기 · 접기 ]
||<bgcolor=#000><tablebordercolor=black> ||<bgcolor=#000> 행동 ||
컴퓨터
Q, E, R, T 스킬
F 아이템 줍기 / 발전기 상호작용
좌클릭 아이템 사용 / 공격
아이템 떨어뜨리기
Ctrl 쉬프트락
Shift 달리기[7]
Space 감정 표현 취소, 점프[로비한정]
모바일
아이템 클릭 아이템 줍기
아이템 버튼 아이템 들기
아이템 들고 아무대나 클릭 아이템 사용
아이템 2번 누르기 아이템 떨어뜨리기
쉬프트락 버튼 쉬프트락
달리기 버튼 달리기[9]
점프 버튼 점프[로비한정]

3.3. 플레이어 포인트 / 경험치

<nopad> 파일:플레이어포인트.png
캐릭터, 스킨 구매 등에 사용되는 재화이다. 특정 행동을 하면 EXP와 함께 일정량의 플레이어 포인트를 얻는다.[11]
플레이어 포인트 획득 조건 [ 펼치기 · 접기 ]
행동 보상
생존자로 승리 40$
생존자로 패배하였지만 60초 이상 생존 10$
발전기 퍼즐 5$ (퍼즐 1개당)[12]
생존자로 능력 사용 성공하기 5$[13]
엘리엇으로 힐 성공하기 10$
살인마가 007n7의 분신 공격 3$[14]
빌더맨의 디스펜서가 100초 동안 살아있기[15] 5$
빌더맨의 센트리가 파괴됨[16] 3$
듀세카의 E스킬이 생존자를 명중 2$
듀세카의 E스킬이 살인마를 명중 3$
듀세카의 Q스킬이 8초동안 유지 ?$
생존자 처치 20$
살인마로 승리 60$
살인마로 패배 15$

또한, 캐릭터마다 EXP가 있다. 특정 행동을 하면 플레이어 포인트의 약 3배로 EXP를 준다. XP를 일정량 모으면 캐릭터마다의 레벨을 올릴 수 있고, 캐릭터마다 25레벨, 50레벨, 75레벨, 100레벨마다 마일스톤 스킨(Milestone)을 준다.

아직 게스트, 듀세카, 탭에겐 마일스톤 스킨이 없다.[17]

경험치 획득 조건 [ 펼치기 · 접기 ]
행동 보상
생존자로 승리 120EXP
발전기 퍼즐 15EXP (1개당)[18]
생존자로 능력 사용 성공하기 15EXP[19]
엘리엇으로 힐 사용 성공하기 30EXP
살인마가 007n7의 분신 공격 ?EXP[20]
빌더맨의 디스펜서가 100초 동안 살아있기[21] ?EXP
빌더맨의 센트리가 파괴됨[22] ?EXP
듀세카의 E스킬이 생존자를 명중 6EXP
듀세카의 E스킬이 살인마를 명중 9EXP
듀세카의 Q스킬이 8초동안 유지 ?EXP
빌더맨의 디스펜서가 100초 동안 살아있기 ?EXP
생존자 처치 ?EXP
살인마로 승리 ?EXP

3.4. Malice (악의)

매판마다 악의가 1씩 오르며 라운드가 시작할때 악의 수치가 가장 높은 유저가 살인마가 된다.[23]

악의는 리더보드의 돈 옆에 표시된다.

악의가 올라가는 공식은 1판이 끝나고 (발전기 퍼즐를 푼 횟수 ÷2 ) + 1[24] 올림 처리한다.

또한 200 로벅스로 15의 악의를 얻을 수 있다.

3.5. UI

  • 상점
    다양한 생존자, 살인마, 스킨, 이모트들을 구매할 수 있고, 로벅스로 플레이어 토큰을 구매할 수 있다.
  • 인벤토리
    생존자, 살인마, 스킨, 이모트를 장착할 수 있다.
  • 업적
    모든 업적 중, 달성한 업적과 그 업적의 보상을 확인할 수 있다.
  • 관전
    라운드 중 죽거나 도중에 들어왔을 때 확인할 수 있다. 다른 UI와 같이 볼 수 있다.
  • 통계
    총 통계(현재 선택한 생존자/살인마 및 스킨, 플레이 타임, 생존자/살인마 우승 횟수)를 볼 수 있다.
  • 설정
    여러 유용한 설정들을 정할 수 있다.
    {{{#!folding 설정 목록 [ 펼치기 · 접기 ]
  • 효과음, 브금등의 소리를 조절 수 있다.
  • 타격 성공 시에 나오는 효과음 또한 정할 수 있다.[25]
  • Funnier ragdoll 설정을 켜면 살인마가 생존자를 죽인 후 시체를 던질 때 시체가 웃기게 날아간다.[26][27]
  • 살인마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28]
  • 굳이 NPC[29]에게 말을 걸 필요 없이 AFK를 껐다 켰다 할 수 있다.
  • 히트박스, 데미지, 누적 데미지 등을 보이게 설정할 수 있다.
  • 이모트의 브금, 손가락, 이펙트 등을 없앨 수 있다.
}}}
  • 관리자 패널
    개인 서버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게임 시스템과 관련된 여러 효과들을 조정할 수 있다.
    {{{#!folding 관리자 패널의 설정들 [ 펼치기 · 접기 ]

  • 플레이어 추방
    플레이어를 선택해 추방한다. 단, 자가추방은 불가능하다.
  • 플레이어 즉사
    플레이어를 선택해 즉사시킨다.
  • 공지
    화면 하단에 뜨는 메세지를 서버의 모두에게 보낸다.
  • 플레이어 생존자/살인마 선택
    플레이어를 골라 생존자 혹은 살인마로 만들 수 있다.
  • 플레이어 상태이상 부여
    플레이어를 골라 원하는 상태이상의 등급과 지속시간을 조작해 부여한다.
  • 플레이어 아이템 제공
    플레이어를 골라 원하는 아이템의 종류와 수를 조작해 부여한다.
  • 플레이어 래그돌
    플레이어를 골라 래그돌 시킨다. Enabled로 실행하고, Disabled로 해제한다.
  • 다음 맵 선택
    다음 라운드의 맵을 고른다.
  • 다음 게임모드 선택
    다음 라운드의 게임모드를 고른다. 현재 두 종류의 모드가 있다.
  • 다음 살인마 선택
    다음 라운드의 살인마를 고른다.
  • 라운드 종료
    현재 진행중인 라운드를 종료시킨다.[30]
  • 휴식시간 종료
    즉시 다음 라운드를 실행한다.
  • 타이머 비활성화
    라운드의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기본값은 비활성화.
  • 팀킬 방지
    아군 오사를 방지한다. 기본값은 비활성화.
  • 쿨타임 비활성화
    모든 스킬의 쿨타임을 제거한다. 또한, 스킬의 딜레이도 제거한다.
  • 횟수 제한 제거
    모든 스킬의 횟수제한을 제거한다. 횟수를 전부 소모하면 스킬이 잠겨있지만 여전히 사용 가능하다.
  • 살인마 수 제한
    라운드의 살인마 수를 조절한다. 최솟값 1. }}}

3.6. 도움 요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진행 방식

라운드가 시작하면 타이머가 4분으로 시작하고, 위에 서술했듯이 악의가 가장 높은 플레이어가 살인마가 된다. 나머지 플레이어는 생존자가 되어 살인마로부터 도망친다.

생존자와 살인마가 가까워지면 살인마마다 있는 노래가 서서히 재생되며[31], 살인마는 125 스터드 안에 생존자가 없으면 스태미나가 소모되지 않는다.

살인마는 모든 생존자의 HP를 0으로 만들어 죽이면 승리하며, 생존자는 단 한 명이라도 살아남은 상태로 타이머가 0이 되거나 살인마의 HP가 0이 되면 승리한다.[32]

생존자는 발전기를 돌려 시간을 약 3초 정도 줄일 수 있으며, 살인마는 생존자를 죽이면 30초가 늘어난다.[33]

타이머가 30초 남으면 맵 전용 테마가 사라지고, 'Tick Tock'이라는 어둡고 기괴한 시계 소리가 나는 배경 음악이 나온다.

만약 남은 생존자가 1명뿐일 경우 1:1 OST가 재생되며, 특정 스킨들은 해당 OST 대신 전용 테마 OST가 재생된다. 타이머는 남은 시간과 관계없이 1분 15초로 고정되고, 서로 상대의 위치가 보이며 말 그대로 데스매치가 시작된다.[34]

4.1. 히든 매치

만약 특정 생존자와 살인마가 남을 시[35][36] 원래 1:1 OST 대신 전용 OST[37]로 바뀌며 타이머가 1분 30초로 고정된다.[38] 이 전용 OST는 스킨 전용 OST보다도 우선된다. [39]
특정 스킨의 생존자, 살인마끼리 남을시 시간은 1분 30초로 고정되지 않고 1분 15~19초로 고정된다.

현재 히든 매치 목록 [ 펼치기 · 접기 ]
* 007n7 / 쿨키드[40]
  • 셰들레츠키 / 1x1x1x1[41]
  • {{{#!folding 폐기된 히든 매치 [ 펼치기 · 접기 ]
  • 투 타임 / 아마라[42]
}}}

예정, 추측되는 히든 매치 목록 [ 펼치기 · 접기 ]
* 뉴비 / 게스트 666[43]
  • 투 타임 / 애저[44]
  • 게스트 1337 / 룩[45]
  • 빌더맨 / 둠브링거[46]
  • 찬스 / 아이트랩[47]
  • 더 마스크 / 블록스버그 뉴스 리포터 가이[48]
  • 스틱마스터루크 / 대격변[49]
  • 클론트루퍼1019 / 쿨 킬러[50]
  • 제인 도 / 존 도[51]
  • 탭 / 폭탄광[52]
  • 앨런 / 소닉.exe[53]
  • 케이트, 슬랜더맨[54]

예정, 추측되는 스킨 히든 매치 [ 펼치기 · 접기 ]
* 친구 엘리엇 / 전멸 존 도[55]
  • 대머리 투 타임 / 이발사 제이슨
  • {{{#!folding 폐기된 스킨 히든 매치 [ 펼치기 · 접기 ]
  • 나샤트라 셰들레츠키 / 마피오소 쿨키드[56]
}}}

5. 역할

생존자와 살인마를 서술하는 문단.[57]

5.1. 생존자

생존자. 타이머가 0이 될 때까지 살인마에게 죽지 않고 생존하여 승리해야 한다. 사망할 시 그 라운드는 패배 처리된다.

술래가 자신을 노리는 한 숨을 수 없다.[58] 그러나 도망가거나 가까워지면 무빙으로 공격을 피할 수 있다. 일부 생존자는 자신만의 특기로 저항을 해보거나 능력을 이용해 시간을 끌기도 하면 능력으로 살인마를 따돌릴 수 있다.
특징
  • 생존자들은 높은곳에서 떨어지면 잠시 속도가 느려진다.
  • 공격기를 가진 생존자[59]들이 많을 수록 공격기의 스턴의 시간이 줄어든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생존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생존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생존자#|]][[Forsaken(Roblox)/생존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1. 스킨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생존자/스킨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생존자/스킨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생존자/스킨 목록#|]][[Forsaken(Roblox)/생존자/스킨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살인마

살인마. 모든 생존자를 살해하여 승리해야 한다. 한 명의 생존자라도 살아남으면 패배 처리된다.
특징
  • 높은 곳에서 떨어져도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
  • 125스터드 안에 생존자가 없을 시 스태미나가 줄어들지 않는다.
  • 근거리 공격은 사용 전 스턴에 당해도 스턴 종료 후 정상적으로 시전된다. 원거리 공격[60]은 시전 중 스턴에 당하면 취소되거나, 시전되더라도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는다.[61][62]
  • 누군가를 공격 시 공격 대상의 속도가 잠시 증가한다. [6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살인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살인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살인마#|]][[Forsaken(Roblox)/살인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1. 스킨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Forsaken(Roblox)/살인마/스킨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상태효과

  • 출혈(Bleeding) [제이슨]
    지속시간동안 피해를 입는다. 체력이 10 이하로 내려가면 피해를 입지 않으며, 등급이 높을수록 데미지와 틱이 증가한다.
  • 실명(Blindness) [1x1x1x1,듀세카]
    지속시간동안 화면이 블러처리된다. 등급 당 20%로, 3등급인 60%까지 적용된다.
  • 화상(Burning) [쿨키드]
    지속시간동안 피해를 입으며 몸이 불에 탄다. 등급이 높을수록 데미지와 틱이 증가한다.[67]
  • 혼란(Confusion) [명령어전용]
    지속시간동안 이동 조작이 정반대가 된다.
  • 오염됨(Corrupted) [존도]
    지속시간동안 피해를 입으며 몸에 특수한 이펙트가 생긴다. 이 상태효과의 피해로 체력이 1 미만이 되지 않는다. 또한 투명함 상태효과를 얻어도 이펙트가 남아 보이기 쉽다.
  • 글리치(Glitched) [1x1x1x1]
    지속시간동안 받는 피해가 증가하고, 화면에 글리치 이펙트가 남으며 시야를 가린다.[71]
  • 환각(Hallucination) [놀리]
    출시 예정 살인마인 놀리가 부여하는 전용 효과, 등급당 효과가 달라지며, 최대 3등급에 중첩은 불가하다.
  • 투명함(Invisibility) [뉴비,007n7]
    지속시간동안 투명해진다. 등급 당 25%씩 투명해지며, 92.5%까지 적용된다. 또한 살인마는 이 효과를 받는 생존자가 범위 내에 있을 때 추격 테마를 들을 수 없다.
  • 메스꺼움(Nausea) [명령어전용]
    지속시간동안 화면이 일렁인다. 등급이 높을 수록 더욱 거세게 일렁인다.
  • 망각(Oblivious) [명령어전용]
    지속시간동안 살인마의 추격 테마를 들을 수 없게 된다.
  • 중독(Poisoned) [1x1x1x1,독극물강]
    지속시간동안 피해를 입으며 몸이 초록색으로 변한다. 등급이 올라갈수록 데미지와 틱이 증가한다. 이 상태효과로 체력이 1 미만이 되지 않는다.
  • 재생(Regeneration) [셰들레츠키]
    지속시간동안 체력을 회복한다. 등급이 높을수록 회복량과 틱이 증가한다.
  • 슬레이트스킨(Slateskin) [뉴비]
    지속시간동안 추가 체력을 얻으며 이동속도가 45% 감소한다. 등급 당 40의 추가 체력을 얻으며, 추가 체력이 0이 되면 즉시 해제된다.
    또한, 지속시간동안 출혈, 화상, 재생, 속도, 약점에 면역이 되며, 이미 걸린 상태였어도 그 효과를 즉시 제거한다.
  • 힘(Strength) [명령어전용]
    지속시간동안 가하는 피해량이 증가한다. 등급 당 20%.
  • 기절(Stunned) [셰들레츠키,게스트,찬스]
    지속시간동안 움직일 수 없으며 모든 스킬이 봉인된다.[85] 종료 후 5초간 기절에 면역이 된다.[86] 지속시간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단계와 지속시간이 따로 표기되지 않는다.

  • 아공간화(Subspace) [탭]
    지속시간동안 화면이 분홍색으로 물들며 추격 테마를 들을 수 없고, 2등급 이상인 경우 화면이 제멋대로 돌아간다. 등급이 높을수록 색감이 강해지며 최대 등급은 3. 종료 후 화면이 약간 밝아진다.
  • 감지불가(Undetectable) [뉴비,007n7]
    지속시간동안 위치감지 스킬에 면역이 된다. 또한 쿨키드의 피자배달부, 1x1x1x1의 미니언에게 타겟당하지 않는다. 살인마의 경우 감지불가 효과를 부여받은 생존자에 의해서는 추격테마가 재생되지 않는다.

7. NPC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NPC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NPC#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NPC#|]][[Forsaken(Roblox)/NP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맵#|]][[Forsaken(Roblox)/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감정 표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감정 표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감정 표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감정 표현#|]][[Forsaken(Roblox)/감정 표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아이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아이템#|]][[Forsaken(Roblox)/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미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미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미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미션#|]][[Forsaken(Roblox)/미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업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업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업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업적#|]][[Forsaken(Roblox)/업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Forsaken(Roblox)/대사 및 상호작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게임패스

  • VIP
파일:ForsakenVipgamepass.png
가격 파일:Robux 아이콘 하양.svg 799
구매하기
쿨키드의 테이블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모든 캐릭터에 대해 영구적으로 1.25배의 경험치를 제공합니다(부스트와 함께 중첩).
+ 영구 [VIP] 타이틀 제공(설정 메뉴에서 전환 가능)
+ Noob(V.I.P) 전용 스킨을 제공합니다.
+ 제이슨(V.I.P) 전용 스킨을 제공합니다.
+ 독점 감정 표현 제공(하카리 댄스)[91]
- 우릴 행복하게 만듭니다

가격에 비해 얻는 이점이 많지 않은 것이 흠. 전 캐릭터 만렙을 노린다면 나쁘진 않다.사실상 하카리 이모트 하나로 사는 사람이 많다.

14.1. 개발자 상품

  • 플레이어 포인트
파일:포세이큰포인트.png
가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구매하기
말그대로 플레이어 포인트를 로벅스를 주고 사는 것이다.
  • 경험치 부스트
파일:포세이큰부스트.png
가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구매하기
산 가격의 따라 n분동안 경험치를 더욱 많이 올릴 수 있게 해준다.
  • 악의 +15
파일:포세이큰악의.png
{{{#!folding 과거의 사진 [ 펼치기 · 접기 ]
가격 파일:Robux 아이콘 하양.svg 200
구매하기
악의 15를 그 자리에서 바로 준다. 돈만 많으면 살인마를 계속 할 수 있다는 소리.
현재 아이콘은 존 도이며 과거의 아이콘은 애저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15. 세계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세계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세계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세계관#|]][[Forsaken(Roblox)/세계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업데이트 로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orsaken(Roblox)/업데이트 로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업데이트 로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업데이트 로그#|]][[Forsaken(Roblox)/업데이트 로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1. 업데이트 예정 컨텐츠

생존자, 살인마, 음악, 맵, NPC, 감정 표현, 스킨은 포함하지 않는다.
  • 업데이트 내용 UI
  • 게임패스 선물 기능
  • 스턴 무적 시각적 효과
  • 제이슨 너프, 존 도 버프
  • 프레져 콜라보
  • BloxR 콜라보
  • 플레이시간, 생존자 승, 살인마 승 숨기기

17.

  • 설정 관련
    • 간질 발작 옵션 켜기 - 1x1x1x1에게 공격당했을 때 생기는 글리치 효과를 없애준다.
    • 히트박스 - 말 그대로 스킬들의 히트박스를 보이게 해준다. 상황에 따라서 시야를 되려 방해할 수 있으니 취향껏 설정하자. [92]
  • 게임 관련
    • 살인마 옵션 끄기 - 본인이 살인마를 하기가 어렵거나 싫다면 이 옵션을 키자. 악의가 설정을 켜는 시점에 갖고 있던 악의로 고정된다.[주의]
    • AFK 모드 켜기 - 게임에 참여하지 않고 로비에 남아있고 싶다면 이 모드를 켜면 된다.
    • 스태미나를 1정도 남기고 달리는 것을 멈추자. 어려우면 2~5정도로 하자. 스태미나를 모두 소모해버리면 패널티로써 스태미나 회복에 시간이 걸리지만 애매하게 남겨놓으면 딜레이 없이 바로 차기 시작해서 훨씬 이득볼 수 있다. 스테미나 1로 하면 돌진기,원거리에 취약해서 살인마와의 거리가 어느정도 넓으면 그때 걷는것도 좋다.
    • 생존자에 마우스 포인터를 대거나[94] 체력바 위에 생존자 상태 표시에서 체력이 없는 생존자를 찾을 수 있다. 이때 자신이 엘리엇이나 빌더맨이면 이 방법으로 체력이 없는 생존자를 찾아 힐을 해주자.
  • 기타
    • 귀찮겠지만 프로필로 생존자의 실력을 예측하자. 뉴비라면 에임, 원거리를 대충 쏴서 죽이고 고수일 경우 예측샷을 해야한다.[95]
    • 상대랑 발전기를 돌릴때 방금 막 퍼즐 하나 깨서 3칸이 찼을땐 남은 한칸은 포기하자. 도전해봤자 상대가 곧 퍼즐을 풀테고 시간 낭비이다.

17.1. 돈 & 경험치

  • 돈 관련
    • 발전기를 많이 고치면 살인마가 되기 위해 필요한 악의를 얻기도 쉽고, 돈과 경험치를 주기에 발전기가 보인다면 꼭 고치자.
    • 엘리엇은 피자 한번 먹일 때 10$를 주긴 하지만 피가 낮고, 킬러들의 타겟이 되기 쉽지만 무빙, 숨기를 잘한다면 엘리엇으로 발전기 미션을 우선적으로 다 깨고 피자를 사용해 어그로가 끌린 팀원들을 회복하며 돈도 얻는 플레이로 한 판에 생존자로 80$ 이상씩 버는 방법도 있다.
    • 007n7로 발전기를 다 고친 뒤 살인마를 피해 숨어지내다가 이기거나 LMS에 특화된 능력으로 LMS에서 승리해도 돈을 벌기가 좋다.
    • 이 외에도 자신에게 맞는 캐릭터가 있다면 그 캐릭터로 오래 살아남아 승리하는 근본적인 방법도 있다.
    • 자신에게 잘 맞는 살인마를 사용해 한 라운드를 이기면 60$를 주는데, 생존자 한 명 죽일때 15$씩 주는것과 별개라서 사람 많은 서버에서 살인마로 이기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96] 그리고 특정 능력들을 맞춰도 돈을 주기에 잠수타는 유저를 LMS에 남겨두고 스킬들을 써서 돈을 뽑다가 죽이는 플레이도 있고 특정 기술을 초근거리에서 맞추거나 특정 기술로 생존자를 죽이면 보너스 돈까지 준다.
  • 경험치 관련
    • 발전기를 고쳐도 꽤 많은 경험치를 준다.[97]
    • 자신의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스킬을 사용해서 각각 다른 특정한 조건이 될 때도 경험치를 준다.
    • 한 라운드에서 이기면 엄청나게 많은 경험치를 주기에 돈 모으는것과 별개로 그냥 오래 살아남기만 해도 경험치 얻기 쉽다.
    • 살인마도 이기고, 죽일 때마다 많은 경험치를 주며 특정한 기술로 생존자를 처치 혹은 특정한 기술을 초근거리에서 맞추는 등의 조건이 달성되어도 보너스 경험치를 준다.

17.2. 생존자

  • 무빙
    • 일단 무빙을 할려면 두가지 감을 일깨워야 한다. 게임상 핑이 꽤 있기에 안닿는 거리에서도 죽을 수 있다. 그러므로 게임을 하다보면 감으로 닿는다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그리고 그때 무빙을 해야한다.
    • 살인마가 평타를 썼다면 평타 쿨타임이 돌기 전까지는 달리기를 멈춰 스태미나를 회복하자.[98] 게임에 숙련되면 저절로 알게된다.
    • 일단 살인마가 때릴 때쯤 양쪽 중 한 방향으로 움직해 공격을 일반적으로 피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고인물에게 쉽게 간파당하니 초보 살인마 상대로 추천한다.
    • 다른 방법으론 한 방향으로 꺾다가 다시 다른 방향으로 꺾는 것이다.[99] 그러면 진짜 웬만하면 대부분 속을 것이다.
      소개했던 이 무빙을 섞어서 쓰는 것이 좋지만 두번째 방법을 많이 쓰는 것이 좋다. 다만 너무 자주 사용하면 킬러가 역으로 이용해서 자신의 스테미나를 회복하니 심리전을 걸자.
    • 또한 살인마가 굉장히 가까히 있다면 살인마 뒤로 가서 피하는 방법도 있다.
    • 이 방법을 응용해 살인마가 조금 뒤에 있을때 뒤로 갔다 다시 앞으로 가는 무빙법도 있다.
  • 뒷걸음질로 달리지 말자. 속도가 느려진다.
  • 벽이나 코너를 활용해 살인마의 시야에서 최대한 벗어나자.
  • 쉬프트락을 끄자. 살인마를 보면서 달릴려면 그래야 한다.
  • 1:1 대치상황에서 위치 감지가 풀린다면 재빠르게 다시 숨는 것도 좋다. 물론 어설프게 하면 얼마 못가 바로 발각될 것이다.
  • 살인마의 일반 공격은 외외로 피하기 쉽다. 스태미나가 0은 아니지만 바닥이고, 살인마와의 거리가 가까울 때 살인마의 측면으로 계속 돌진해주면 피할 수 있다.
  • 엘리엇을 살려놔야 나중에 피가 부족하지 않다.
  • 게임이 끝나기까지 얼마 안남았으나 팀원이 죽을 위기라면 대신 맞아주거나[주의할점] 공격기로 도와주자. 만약 그러지 못한다면 바로 다음 타깃이 될 것이다.
  • 발전기는 여유가 있다면 돌리자. 발전기 퍼즐 하나당 소량의 시간이 차감된다.[101][102]
  • 만약 당신이 공격기를 가진 생존자라면 최대한 팀원들을 돕는 방식으로 공격기를 사용하자. [103]
  • 가능한 살인마와 마주치지 말아야 살아남기 쉽고 체력도 보존할 수 있다. 첫그로가 너무 자주 걸려서 짜증난다면 아예 어그로 전용 캐릭터인 뉴비나 투 타임을 들자.[104]
  • 살인마가 고인물일 경우 다 같이 생존하는 것은 어림도 없으니 1:1을 노리자.
  • 살인마와 대면해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쫒기는 것 보다, 벽, 구조물, 복층 구조로 살인마를 따돌린 후 멀리 도망치는게 더 좋다.
  • 살인마의 공격을 피한답시고 살인마 쪽으로 돌진하는것은 좋지 않은 선택이다. 살인마가 적어도 한 대 맞힐 기회가 생기는 것과 더불어 스태미나를 아껴둘 수 있기 때문이다.
  • 웬만한 실력의 살인마는 쫓는 도중 어딘가에 숨더라도 바로 찾아낼 것이다. 그러니 숨는 것 대신 스태미나를 거의 다 쓸 때까지 도망가고 주변의 엄폐물을 이용해 심리전을 하다 스태미나가 차면 다른 엄폐물로 도망가는 방법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다.
  • 어떨 때는 팀원을 돕지 않아야 자신이 생존할 수 있는 상황도 있다. 팀원을 돕긴 하되 무리해서 돕지는 말자.
  • 발전기는 3면 중 살인마에게 최대한 안 보일만한 곳을 골라서 돌리자.
  • 공격형 캐릭터일 경우 공격권이 있다면 살인마가 스킬을 시전할 때[105]공격해서 스킬을 끊고 스턴까지 먹일수 있다. 하지만 무리해서 선딜시간 놓쳐서 되려 당하지 말자. 그리고 공격권을 추격 상황이면 살인마와 너무 가까울때 되려 살인마쪽에 바로 공격을 날리지 말고 살인마쪽에 딱 붙인 다음 공격하는게 낫다. 팀을 도울 경우 엄폐물이 있다면 엄폐물에 숨어서 미리 이동경로에 존버타다가 모습을 들어내면 스턴해도 좋고 살인마가 스테미나를 모으려고 걷고있을때 딱 붙어서 써도 좋다.[106]
  • 총합적으로 게임 방식이 Dead By Daylight의 방식과 유사하기에 데바데의 어그로 방식을 참고하면 생존 확률이 크게 올라갈 것이다.
  • 발전기를 돌리더라도 UI 바깥부분을 살펴보자. 살인마가 다가올 수도 있다.

17.3. 살인마

  • 평타만 잘 맞혀도 반은 간다. 한 대 때리고 안 때리고의 차이는 곧 추격 시간을 결정한다.
    • 평타에 자신이 없다면 목표의 스태미나가 전부 소진될 때까지 추적하고 사용하자. 보편적인 달리기 속도는 살인마가 우세하나 생존자들에겐 콜라 등의 이속 보조 수단이 있으니, 무리해선 안 된다.
    • 평타는 되도록 상대를 앞서서 쓰거나, 상대방과 완전히 붙어있을 때 쓰자.
    • 생존자가 평타에 맞으면 2초동안 생존자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므로 그 사이에는 스태미나를 회복하자. 아무리 뛰어도 잡기 힘들며, 스태미나 손해다.
  • 생존자들이 많은 초반에는 서포터 캐릭터부터 노리는 것이 좋다. 특히 앨리엇은 힐러 포지션 답게 체력이 낮으며, 힐량이 35으로 생각보다 많아 다른 생존자들을 죽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최우선으로 죽여놔야 한다. 물론 후술하겠지만 서포터 캐릭터들을 LMS까지 남겨둔다면 LMS가 상당히 편해지므로 상황에 맞게 판단하자.
  • 남은 생존자들이 2~3명 정도라면 LMS를 대비해두자.[107]
    • 남은 생존자가 2명일 때 남은 시간이 2분 이상 정도로 꽤 남아있다면 한 명을 먼저 빈사 상태로 만든 후 남은 생존자를 죽이자. 데스 매치에 돌입하면 시간이 얼마나 남든 기본 1분 15초로 고정되기 때문에 둘 다 공격해 피를 어느 정도 깎은 후 1:1 대치상황에 돌입하는 것이 이득이다.
    • LMS로 돌입하기 전 LMS에서 위협이 될 생존자[108]부터 우선해 처리하고, 반대로 그 시기에 약한 생존자[109]를 남겨 최후의 생존자로 만들자.
  • 발전기를 고치고 있는 생존자들을 습격할 방도를 세워두면 좋다. 평타보다는 많은 데미지를 단번에 넣을 수 있는 게 처치하기 쉬우며, 원거리 공격으로 발전기를 방해할 수 있다.
  • 근접 반격기를 가진 생존자들은 반격기를 한번 빼주고 공격해야 한다. 적당히 공격하면서 훼이크를 치다 보면 십중팔구 반격기를 빼게 될 것이다.
  • 가능한 최단 경로로 생존자와의 거리를 좁히자. 생존자들 보통 일직선으로 쭉 가 거리를 벌리기보단 지형지물을 활용해 시야에서 벗어나려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반격기 방어 기술을 무조건 공격용으로 쓰는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스태미나가 없는데 이 스킬에 맞으면 죽거나 할 상황에 방어로 저항 버프를 얻어 공격권은 못 얻지만 목숨은 대부분 부지한다. 또한 방어의 쿨타임이 짧을때 더욱 추천.
  • 가능하면 체력이 낮은 생존자를 먼저 공략하여 죽이는 것이 좋다. 생존자를 1명 죽일 때마다 타이머를 30초나 늘려주기에 공격기가 없거나 체력이 적은 투 타임, 엘리엇, 뉴비, 빌더맨과 같은 생존자들을 공략하는 것을 추천한다.
  • 만약 사용 중인 살인마가 히든 매치가 가능한 1x1x1x1이라면 셰들레츠키를 가장 나중에 죽이는 것도 고려해보자.[110] 히든 매치는 일반 데스 매치보다 주어지는 시간이 많기 때문.
  • 125 스터드 내에 생존자가 없으면 스태미나가 닳지 않는 것을 이용해 근처에 생존자가 있는지, 만약 스태미나가 닳기 시작한다면 어느 방향에 있는지 유추가 가능하다.
  • 생존자 중 찬스가 있을 경우 주위를 잘 봐야 한다. 다른 생존자를 쫓다 갑자기 총에 맞을 수 있다.

==# OST #==
장소 관련 테마

DAMNATION
로비 테마: 저주

Brandonworks
Brandon6875935의 장소 테마: 브랜돈워크스

Resting Place
요릭의 안식처 테마: 안식처

Planet Voss
플레넷 보스 테마: 플레넷 보스

HOTEL ROBLOXIA
공포의 호텔 테마: 호텔 로블록시아

SHATTERED
유리 집 테마: 부서진

C00l Carnival Ambience
멋진 카니발 테마

Template Town Ambience
템플릿 타운 테마
[!]
May The Heights Collapse
SFOTH 테마: 높은 곳이 붕괴되길
[!]
Pinapple Rag Techno Remake
발전기 지옥 1, 2 / ARG 승리.테마곡 테마: 핀애플 래그 테크노 리메이크

Tick Tock
종료 30초 전 테마: 틱 톡
1대1 관련 테마

Eternal Hope, Eternal Fight
1:1 테마: 영원한 희망, 영원한 싸움

Creation of hatred
셰들레츠키/1x1x1x1 1:1 테마: 증오의 창조물

PLEAD
007n7/쿨키드 1:1 테마: 애원

Butcher Vanity LMS Remix
허영심 제이슨 1:1 테마

VIP 제이슨 1:1 테마

SMILE
컵케이크 쿨키드 1:1 테마: 미소

CURIOSITY
가스하푼 존 도 1:1 테마: 호기심
살인마 관련 테마

제이슨 추격 테마

정확한 히트박스 제이슨 추격 테마

레트로 제이슨 추격 테마

Killer Vanity
허영심 제이슨 추격 테마: 살인마의 허영심

Chimes of the Lucid
깊은 잠 제이슨 추격 테마: 루시드의 종소리

Initiative Massacre
전투 개시 제이슨 추격 테마: 주도적 대량학살

READY OR NOT
쿨키드 추격 테마: 꼭꼭 숨어라

블루두드 쿨키드 추격 테마

컵케이크 쿨키드 추격 테마

I DID IT FOR YOU
구원자 쿨키드 추격 테마: 널 위한 거였어

DEBITO DI SONNO
마피오소 쿨키드 추격 테마: 데비토 디 소노
[113]

March 18th
존 도 추격 테마: 3월 18일
[114]

BAD FAITH
배신당한 1x1x1x1 & 데몬 킹 존 도 추격 테마: 악의

OBSESSION
가스하푼 존 도 추격 테마: 집착

Corrupted Reflection
너 자신 존 도 추격 테마: 오염된 자신

BRUTAL ENIGMA
마일스톤 III,IV 존 도 추격 테마: 잔혹한 수수께끼

DOMINO EFFECT
1x1x1x1 추격 테마:
도미노 효과

구 1x1x1x1 추격 테마

타임리스 1x1x1x1 추격 테마

마일스톤 III, IV 1x1x1x1 추격 테마

UNREGGCOGNIZABLE
에그스 1x1x1x1 추격 테마: "알" 수 없음
기타


===# 업데이트 예정 OST #===
장소 관련 테마

1대1 관련 테마
  • Close to me (친구 엘리엇 / 전멸 존 도 LMS 테마: 내 곁에)
  • RECEADING LIFESPAN (대머리 투 타임, 이발사 제이슨 LMS 테마: 줄어드는 수명)
살인마 관련 테마
  • Delirious Jason Theme (딜리리어스 제이슨 테마)
  • PLAYING GOD (구원자 쿨키드 추격 테마: 신 행세)
  • SCRIPT BUILDER THEME (스크립트 빌더 존 도 테마)
  • 'TILL IT'S OVER (전멸 존 도 테마: 끝날 때까지)
  • Noli Chase Theme (놀리 추격 테마)
  • Sonic.EXE Chase Theme (소닉.EXE 추격 테마)
  • Castle Crusher (킹 추격 테마: 성 붕괴자)
  • 알 수 없는 Y.A.A.I 추격 테마
  • 알 수 없는 살인마 추격 테마
기타


===# 폐기된, 삭제된 OST #===
장소 관련 테마

1대1 관련 테마

Eternal Hope, Eternal Fight
구 1v1 테마: 영원한 희망, 영원한 싸움

Meet Your Making.
구 007n7/쿨키드, 셰들레츠키/1x1x1x1 1:1 테마: 너의 창조자를 만나라
살인마 관련 테마

Make them remember me, Jason
구 제이슨 추격 테마: 그들이 나를 기억하게 해주렴, 제이슨

You and your friends are dead.
구 레트로 제이슨 추격 테마: 너와 너의 친구들은 죽었어.

Ceaseless Jollity
구 쿨키드 추격 테마: 멈추지 않는 즐거움

Pay Off Your Debts
구 마피오소 쿨키드 추격 테마: 빚을 갚아라

로차스 존 도 추격 테마:확산되는 감염

Infernus Monochromatica
인페르넘, 모노크롬 1x1x1x1 추격 테마: 단색의 지옥

UNMISTAKABLE
챔피언 1x1x1x1 추격 테마: 틀림없는
기타

JX1DX1 추격 테마

18. 평가

18.1. 긍정적 평가

  • 일대다류 술래잡기 형식의 로블록스 게임중 가장 인기가 많으며 이게임 덕에 비슷한 류의 공포 술래잡기류 게임이 같이 인기가 늘어났다.
  • 스토리가 매력적이다. 유명한 괴담, 인물들에서 따온 캐릭터들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흘러가며, 이를 ARG 요소와 떡밥, 특정 캐릭터들의 히든 매치 등으로 조금씩 풀어간다.
  • 업데이트 주기가 준수하다.
  • 커뮤니티가 활발하며, 개발자들이 소통을 잘하고 떡밥을 자주 뿌린다.
  • 애니메이션, 이펙트 면에서 퀄리티가 우수하다.
  • 수많은 스킨, 감정표현 등의 수집요소가 있어 할 것이 많다.
  • 발전기 시스템을 통해 게임에 열심히 참여할수록 살인!마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
  • 악의라는 독특한 시스템을 넣어 다음 살인마의 실력을 파악할 수 있다.
  • 유저의 실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노래의 대부분을 직접 만들며 리믹스도 한다. 굉장히 노래가 잘만들어졌으며 중독성이 있다.
  • 술래와 생존자 간의 밸런스가 잘 맞춰져 있다.
  • 심각한 버그가 없다.[115]

18.2. 부정적 평가

  • 개발자의 논란때문에 포세이큰을 꺼리는 사람들이 있다.
    • 이 때문에 콜라보가 취소되거나, 스킨의 원작자가 스킨을 삭제해달라고 요구하는 사건이 있었다.
  • 핑차이가 심하다. 100ms와 200ms 끼리의 차이[116]는 생각보다 매우 큰 편이다.[117]
  • 물리엔진이 이상할 때가 있다.[118]
  • 개발진들이 저작권을 무시하고 다른 게임 캐릭터들을 스킨으로 만든다.[119]
  • 커뮤니티의 더러운 2차 창작이 많은 편으로, 해당 사유로 삭제된 스킨들도 존재한다.
  • 스태미나 조절이나 숙련도를 요구하는 스킬들로 인해 진입장벽이 다소 존재하고, 이에 따른 튜토리얼도 없다.
  • 초반에 죽으면 할 것이 없다.[120]
  • 쫒기는 사람에 대한 어드밴티지가 없다. 킬러에게 지속적으로 추격당하는 사람은 발전기를 돌릴 수가 없어서, 돈과 경험치를 다른 사람에 비해 손해를 볼 수 있다.
  • 게임이 반복적이다. 결국 메인 컨텐츠는 일대다 술래잡기 뿐이기에 이는 게임에 흥미를 잃기 쉬움을 뜻하며, 이 게임의 모티브가 된 DEAD BY DAYLIGHT와 비슷한 문제점이다. 사실 어쩌면 이런 문제는 모든 술래잡기류 게임의 단점이 된다.[121]
  • 거의 모든 게임이 그렇듯 비매너 유저가 꽤 있는 편이다.[122]

19. 논란 및 사건 사고

19.1. 개발자(souldrivenlove)의 과거 행위 폭로 사건

트위터에 올라온 요약본
2025년 2월 10일, 공식 디스코드에서 Forsaken의 souldrivenlove 개발자가 자신이 어렸을 때 신용카드 사기, 나이 속이기 등을 했다고 자신을 폭로하고 지난 일들에 대한 사과를 했다. 여기까지만 보면 어릴 때 그럴 수도 있지 하고 넘어갈 수 있지만,

문제는 개발자가 한 행동들 중에 사이버 불링, 소아성애자 후원, 포르노 유포 등의 매우 심각한 행위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개발자는 과거에 이 행위들을 한 것을 밝히고 사죄했지만[123], 당시 팬덤은 난리가 났었다. 개발자의 이런 만행을 직접 사과했음을 감안하는 이들도 있지만, 일각에서는 게임의 유명세가 더 높아지기 전에 미리 논란될 것을 밝히고 조금 더 조용히 묻어가려고 한 게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19.1.1. 해명


사건의 대략적인 정리 영상
어느날 포세이큰 디스코드 서버 공지에 하나의 글이 올라왔다. 그 글의 내용은 리더 개발자인 "souldrivenlove", 줄여서 소울이 여러 거짓 논란과 괴롭힘으로 인해 무기한으로 쉰다고 발표했다.
세부 사항을 정리한 문서(액세스 권한 필요)
내용에 따르면 위에 있던 논란들은 그가 10세일 당시 미성숙한 상태에서 자신이랑 유일한 친한 사람들이랑[124] 어울리고 싶어 한 결과이고, 그 당시 저 행위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한 채 저질렀으며 현재는 심각성과 위험성을 잘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 행동의 결과, 혹은 그저 소울에게 개인적 원한으로 인해 소울은 몇년동안 개인정보 유출, 협박[125], 괴롭힘, 조롱, 욕설, 스와팅, 박제, 저격, 스토킹등을 당했으며 현실에서도 왕따, 강간, 자위 강요등을 당했다. 그 과정에서 여러 지인들에게 외면당했으며[126] 현실에서도 여러 삶의 위협을 받았다.

19.2. 가스하푼 스킨의 프로젝트 문, Mili 저작권 침해 논란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JudiciousTastefulScientificKnee|토론]]을 통해 다음의 합의사항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https://namu.wiki/thread/JudiciousTastefulScientificKnee|토론]] - 합의사항1'''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토론 합의사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논란 및 사건사고 중 forsaken의 프로젝트 문, Mili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 논란과 팬덤의 프로젝트 문, Mili 비방을 서술할 때에는 문단명을 '프로젝트 문, Mili 저작권 침해 논란'으로 하며 근거로 인터넷 인기글 3개 이상을 외부 링크로 첨부해야 한다
}}}}}}}}}
살인마 존 도의 가스하푼 스킨은 프로젝트 문에서 제작한 Limbus Company의 캐릭터 에이해브를 모티브로 한 스킨이다.[127] 다른 스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퀄리티와 더불어 1대1 상황에서 해당 보스의 전투테마인 Compass를 리믹스한 노래를 재생한다는 특징 덕분에 상당한 인기를 가진 상품이다.

그러나 본 스킨은 유료 재화로 구매가 가능한[128] 상품임에도 저작권을 가진 프로젝트 문과 노래를 작곡한 Mili의 허가를 구하지 않은 채 출시된 저작권 침해 사례[129]에 해당되며, 이러한 무단 도용에 대해 국내 및 해외의 프로젝트 문 팬덤들이 큰 불만을 표하게 되었다. # # # #

저작권 준수에 대해 방치 수준으로 수동적인 태도를 지닌 로블록스 측은 원작자 측의 직접적인 항의가 없었기에 제재하지 않았다. 스킨 제작자 또한 프로젝트 문 팬덤에게 대응할 생각이 없는지 되려 동백, 마왕 히스클리프 등의 다른 캐릭터들 또한 스킨으로 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9.3. 공식 디스코드 해킹 사건

2025년 3월, 과거 로블록스의 여러 유명 게임[130]의 공식 디스코드를 해킹, 레이드했던 카타 그룹이 이번엔 포세이큰 디스코드를 레이드했었다.

오래전부터 그 일을 하고 있었으며 한 직위가 높은 사람의 말투, 특징을 알아내 마치 그 사람처럼 행동해 그 사람의 권한을 얻었지만 그 사람보다 권한이 높은 사람이 많으므로 결국 해결할 수 있었다.

서버 이름은 "카타는 승리한다 EZ"라고 적혀있었으며 모든 채널이 파괴됐고 모든 유저에게 권한을 뿌려 약 3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서버에서 밴, 강퇴당했다. 또한 그로 인해 "탭 업데이트"가 하루정도 밀렸었다.

해결까지 10~30분정도가 걸렸으며 현재는 서버 복구중에 있으며 현재 꽤나 복구가 된 상황이다.

19.4. VIP 서버 내 개발자 패널 공개 사건

2025년 4월 10일 오후 3시경, VIP에서 사용할 수 있던 패널 대신 개발자 패널이 공개되었다. 그로 인해 수십억개의 공지가 동시다발적으로 올라왔으며 다량의 경험치와 돈을 얻거나 개발자 전용 생존자, 살인마등을 쓸 수 있었다.

다행이 개발자가 빨리 눈치채 5분만에 서버를 잠시 잠궜으며 이후 이 버그 아닌 버그는 고쳐졌다. 또한, 개발자들은 개발자 패널을 이용해 악용[131]을 한 유저들에게 영구 밴 조치를 하겠다며 강하게 나섰다. 대신, 포세이큰 디스코드 내 티켓을 열어 관리자에게 자신이 어떤 악용을 했는지 알려주면 영구 밴은 면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디스코드는 만 14세 이상부터 사용 가능하며 나이가 안되는 유저, 포세이큰 디스코드에 가입하지 않은 유저들은 억울하게 밴 당할 수도 있다.[132]

역시나 여러 매체에 전용 살인마, 생존자의 플레이, 리뷰영상이 나왔으며 해외 팬덤들은 그 내용을 추가하는등 여러 심각한 일이 일어났다.[133] 결국 디스코드 서버에 유출 내용을 추가하지 말라며 다시 한번 공지를 했다.

20. 버그

  • 제이슨의 E스킬을 사용하면 아주 좁은 틈도 들어갈 수 있다.[134]
  • 제이슨의 E를 맞은뒤 희귀한 확률로 땅에 꺼져 가장 멀리 있는 스폰 지점으로 돌아온다.
  • 가끔 쿨키드의 분신이 움직이지 않을때가 있다.
  • 게스트의 펀치를 맞고 엄청난 거리로 튕겨나지는 경우도 있다.
  • 존 도의 Q스킬로 생존자를 밀 때 가끔 공중부양을 한다.[135]
  • 인터넷이 불안정한 상태로 체력이 절반 이하가 되면 가끔 백플립,점프를 하기도 한다.
  • 쿨키드가 분신을 소환할때 가끔 분신이 잠시동안 안움직이는 버그가 있다.
  • 로비에 얇은 벽에 "헤드뱅거" 이모트를 벽에 대고 사용할시 머리가 벽에 끼는 버그가 있으며 쉬프트락 사용시 쭈욱 올라가는 버그가 있다.
    • 바깥에서 로비 옆쪽 굴뚝에 헤드뱅거 이모트와 점프를 이용해 굴뚝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136]
  • 달리면서 벽과부딫힘과 동시에 이모트를 사용하면 이모트가 빨라진다.
  • 이발사 제이슨의 히트박스가 다른 살인마의 비해 꽤나 크다. 아마 덩치가 커서 그런 것일 수 있으나 이건 매우 심각한 문제다.
  • 부활절 존 도 스킨의 q스킬이 다른 존 도의 q보다 큰 버그가 있다.
  • 현재까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갑자기 캐릭터가 사족보행을 하는 버그가 있다.

21. 이스터에그

  • 로비 바다에 있는 다리 끝으로 가서 앞쪽을 자세히 보면 Chill guy가 있다.
  • 로비 윗층에가면 NPC 한명과 TV가 있는데 TV를 클릭하면 ARG요소로 추정되는 화면이 나온다.
  • '로비 밖 왼쪽에 보면 무전기가 하는 말이 souldrivenlove 와 연관된 게임 Buckshot Frenzy 에 대해서 말한다.'

22. 기타

  • Forsaken은 버림받은 자[137]라는 뜻이며 발음은 포세이큰이다. 그러나 포사켄이나 포세큰으로 불리기도 한다. 물론 포세이큰이 맞는 발음. 과거 로블록스 특유의 발번역으로 인해 게임 이름이 포기로 적혀 있어 포기로도 불린다.[138]
  • 난이도는 같은 서버에 있는 사람들의 실력에 따라 달라지지만 컨트롤로 따지자면 꽤나 어려운 편이다. 달리기를 눌렀을때 바로 달려지지 않고 약간의 가속을 받아야지 달려지다던가.
  • 타 게임인 Pillar Chase 2의 플레이 방식과 비슷하다는 평이 많다. 생존자가 그나마 대항이 가능한 이 게임이 더 평가는 좋은편.
  • ARG를 활용하여 세계관 스토리를 풀어나가고 있으며, 스토리가 꽤나 심오하다.
  • 생존자나 살인마가 로블록스의 괴담에서 따온 경우가 많다.[139]
  • 타 매체의 패러디가 많이 나온다.
    {{{#!folding 패러디 [ 펼치기 • 접기 ]
}}}
  • 컴퓨터로 인게임에서 잠수를 타면 화면에 이상한 메세지가 나타난다.[145][146]
  • 게임의 인기로 인해, 양산형 짝퉁 게임들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147]
  • 포세이큰의 로블록스 공식 그룹 개설자가 The Spectre로 되어 있다.


[1] 유혈 (비현실적/경미함), 폭력 (가벼움/반복적), 공포 (때때로/가벼움)[2] Taph 업데이트때[3] 투 타임은 제외. 유일하게 부활기가 있다.[4] 예를 들어 체력이 26.5라면 게임 화면에 보이는 체력은 27이지만 쿨키드의 평타 한 방(26.5)에 처형당한다.[5] 컴퓨터는 꾹 눌러야 하며, 모바일은 꾹 누를 필요 없다.[6] 일부 예외로 -30까지 소모 가능하며, -30에 도달 시 스턴이 걸린다.[7] 꾹 눌러야 한다.[로비한정] 점프는 로비에서만 된다.[9] 한번만 눌러도 달려진다.[로비한정] [11] 어떨때는 EXP만, 어떨때는 플레이어 포인트만 줄때도 있다.[12] 발전기를 하나를 혼자서 다 고쳤을 경우 총 5*4, 20포인트가 지급된다.[13] 셰들레츠키로 살인마 스턴시키기, 찬스로 살인마 쏘기 등[14] 살인마가 최대 4번 타격할 수 있다.[15] 하지만 살인마가 잠수타거나 고의적으로 안 부수는 게 아닌 이상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빌더맨 또한 엘리엇 다음으로 살인마에게 자주 타겟팅 되기 때문에...안습하다[16] 원래 설치되었던 센트리가 재설치로 인해 파괴되어도 인정된다.[17] 007n7과 쿨키드는 곧 생길 예정이다.[18] 발전기를 다 고쳤을 경우 총 n 포인트가 지급된다.[19] 셰들레츠키로 살인마 스턴시키기, 찬스로 살인마 쏘기 등[20] 007n7의 HP에 따라 살인마가 총 3번 타격할 수 있다.[21] 하지만 살인마가 잠수타거나 고의적으로 안 부수는 게 아닌 이상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빌더맨 또한 엘리엇 다음으로 살인마에게 자주 타겟팅 되기 때문에...안습하다[22] 원래 설치되었던 센트리가 재설치로 인해 파괴되어도 인정된다.[23] 살인마 취소를 켜도 악의가 올라가는 것이지 살인마가 안걸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악의가 높은 채로 살인마 취소를 켰다 한들 살인마가 안될순 없다. 하지만 AFK를 키면 살인마가 될 수 없기에 사실상 양날의 검이다.[24] 발전기 1개당 퍼즐을 4번 풀 수 있고 맵에 발전기가 최대 5개 있으므로 1판에 악의를 최대 11까지 얻을수 있다.[25] 다른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다.[26] 다른 유저에게는 보이지 않고, 서로 이 설정을 켜도 보통 다른 방향으로 날아간다.[27] 1x를 사용 중이라면 추천되지 않는다. 분신이 나오는 위치를 알 수 없기 때문.[28] 악의를 더 이상 오르지 않게 하는 것이며, 살인마가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은 아니다.[29] 할아버지 시계.[30] 만약 타이머 비활성화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종료되지 않는다.[31] 살인자는 생존자 발견시 바로 추격 테마가 나오며, 생존자는 살인마와 가까워질 수록 레이어가 1~3으로 노래가 나오고 19 스터드 안으로 올시 추격 테마가 나오게 된다.[32] 팀원 전체가 살인마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셰들레츠키나 찬스여야 겨우 가능하다. # 관련 도전과제가 없는 것으로 보아 아직 미완성된 시스템으로 보인다.[33] 생존자가 나가거나 튕길 시에는 30초가 늘어나지 않는다.[34] 만약 히든 매치라면 1분 30초부터 타이머가 시작된다.[35] 셰들레츠키/1x1x1x1 , 007n7/쿨키드[36] 셰들레츠키가 1x1x1x1을 창조했으며 1x1x1x1은 셰들레츠키를 증오하고, 007n7와 쿨키드는 서로 부자 관계이다.[37] 쿨키드, 007n7(애원) 1x1x1x1, 셰들레츠키((증오의 창조물))[38] 살인마와 생존자의 스킨 유무는 상관 없다.[39] 예를 들면, 컵케이크 스킨을 장착한 쿨키드와 007n7끼리 1:1 대치 상황에 돌입하게 될 시 SMILE 대신 PLEAD가 재생된다.[40] 007n7이라는 계정의 부계정이 쿨키드였으나, 포세이큰 세계관에선 007n7의 아들이 쿨키드라는 스토리로 변형되었다.[41] 셰들레츠키의 부계정이 1x1x1x1였으나 포세이큰 세계관에선 1x1x1x1는 셰들레츠키의 증오의 물리적 발현이며, 셰들레츠키와 적대 관계로 변형되었다.[42] 개발자가 떠나 애저를 쓸 수 없게 되었을때 애저 대신 나왔던 살인마이지만 애저를 다시 쓸 수 있게 되어 삭제되지 않았다.[43] 서로 친구 사이였지만 "시련"을 계기로 서로 헤어졌다고 한다.[44] 서로 파트너이자 연인관계로 투 타임이 종교에 눈이 멀어 애저를 찔러 죽였으나 애저는 스펙터에 의해 모습이 변형되어 부활했고 현재는 애매한 사이가 되었다.[45] 룩은 게스트 1337이 다니는 군 소속의 상관이다.[46] 빌더맨, 셰들레츠키, 둠브링거는 같은 로블록스 HQ 소속이며, 셰들레츠키는 이미 히든매치 대상이 있으므로 빌더맨과 둠브링거가 유력하다. 또한 크리스마스 랜더링에서 둠브링거와 빌더맨의 모습이 나왔었다.[47] 서로 동료 사이, 친구 사이이다.[48] 서로 같은 게임 출신이다.[49] 스틱마스터루크가 만든 게임 자연재해 서바이벌에 대격변 기계가 존재한다.[50] 클론트루퍼1019가 만든 게임에 쿨 킬러가 나온다.[51] 원래 괴담에 나오는 계정이였지만 포세이큰 세계관에선 서로 결혼한 사이이다. 하지만 제인 도가 NPC로 나올 가능성도 있기에, 아직 추측 불가이다.[52] 해외에서 이 둘이 서로 연관이 있다고 많이들 추측한다.[53] 서로 같은 게임인 소닉 더 헤지호그 출신이다.[54] 서로 같은 게임 출신이다.[55] 서로 같은 타겜 소속이며 개발자가 공식적으로 밝혔다.[56] 히든매치 음악까지 공개되었으나, 드림 게임 스킨 삭제로 인해 사라지게 되었다.[57] 중립 직업이 나올 가능성이 희미하게 있다만, 확실하지 않고 여러 떡밥이 없기에 희박하다.[58] 콜라로 속도 부스트를 얻어 빠르게 숨을 수 있거나 살인마가 초보자, 혹은 생존자가 고인물일때는 잘만 하면 따돌릴 순 있지만 투시 스킬로 금방 들킬 가능성이 있다.[59] 셰들레츠키, 게스트 1337, 찬스[60] 쿨키드의 Q스킬, 존 도의 Q스킬, 1x1x1x1의 Q, E스킬[61] 히트박스를 켜보면, 공격은 날라가지만 히트박스는 중간에 끊어진다.[62] 다만 쿨키드의 Q스킬과선딜이 없어 거의 불가능하다. 1x1x1x1의 E스킬은 선딜이 짧아 의도적으로 취소시키기는 어렵다.[63] 생존자가 대미지를 입을 시 빨라지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살인마도 공격받을 시 속도가 잠시 상승한다.[제이슨] [1x1x1x1,듀세카] [쿨키드] [67] 체력이 1이 남아도 죽을 수 있다.[명령어전용] [존도] [1x1x1x1] [71] 간질 모드를 킬시 글리치 이펙트가 사라진다.[놀리] [제이슨,1x1x1x1,게스트1337,탭] [뉴비,007n7] [명령어전용] [명령어전용] [1x1x1x1,독극물강] [셰들레츠키] [셰들레츠키,게스트,듀세카] [뉴비] [존도,1x1x1x1,빌더맨,듀세카,게스트,제이슨] [존도,1x1x1x1,뉴비,투타임,듀세카,블록시콜라] [명령어전용] [셰들레츠키,게스트,찬스] [85] 무력함처럼 잠김 표시되지는 않는다.[86] 생존자도 마찬가지이다.[탭] [뉴비,007n7] [투타임,007n7,찬스] [90] 찬스 문서에 서술되어 있듯 받는 자해 피해를 포함한다, 풀피 상태에서 즉사할 수도 있다.[91]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도 많고 노래도 나쁘지 않고 적당히 신난 편.[92] 찬스를 쓸 때는 필수적으로 켜자. 켜지 않으면 E스킬의 히트박스를 가늠하기 힘들어 에임 연습이 힘들다.[주의] 악의가 높다면 이 옵션을 켜도 살인마에 걸린다. 걸린 이후 1로 고정.[94] 모바일은 꾹 누르기.[95] 설정으로 플레이시간, 승리수를 가린 사람은 웬만하면 고수로 생각하자.[96] 자신을 미포함 하였을 때 8x15=120+60(살인마로 승리)=180 자그마치 180원이다.(스킬을 맞추어 주는 돈도 생각해야한다.)[97] 퍼즐당 15 EXP,VIP 게임패스가 있다면 18.75 EXP.[98] 적어도 1.5초 정도 걷는게 좋다.[99] PC의 경우 쉬프트락을 끄고 해야한다. 꼭 쓸 필요는 없지만 쉬프트락을 켜야 움직임이 더 감쪽같아 더 잘 속는다. 어렵다면 굳이 키진 말 것.[주의할점] 2명 밖에 안 남았고 본인도 HP가 거의 없다면 맞아주지 말고 그냥 최대한 킬러와 먼 곳으로 도망치자. 맞아주다가 되려 본인이 죽고 살인마와 가까운 곳에서 살아남은 팀원이 최후의 생존자가 되며 바로 게임이 끝날 것이다.[101] 하나 당 약 3초 줄어든다.[102] 맵에있는 모든 발전기를 돌리면 최소 36초 최대 1분가량이나 줄어든다.[103] 예를 들어 근처에 있는 생존자가 1x1x1x1의 E스킬에 당했고 1x가 그 생존자에게 달려가고 있다면, 공격기를 아끼지 말고 사용하자. 공격에 성공한다면 1x는 E스킬의 최대 이점인 느림 10 디버프도 활용하지 못했고 스턴까지 당했으니 엄청난 손해를 본 셈이다. 물론 공격에 실패한다면 몇 대는 맞을 각오를 해야한다.[104] 물론 이 캐릭터들도 상관없이 쫒아오는 킬러도 있다. c00lkid처럼 색적기가 없는 킬러는 일단 눈에 보이는 생존자를 닥치고 쫒기 때문.[105] 다만 스킬의 선딜시간만 안전할 것이다. 위험해질수 있다.[106] 다만 이것도 정말 빠르게 해야한다. 안 그러면 반격당하기 쉽다. 살인마가 반격할 만큼 스테미나를 모으는건 적어도 2초 쯤이라서 2초 내에 완전히 붙어서 써야 잘 먹힌다.[107] 단, 후술할 내용은 초반부터 많은 생존자들을 잘라내 시간이 넉넉할 때 하자. 당장 생존자 하나라도 잘라내 LMS로 돌입해야 할 정도로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면 의미가 없다.[108] 007n7, 뉴비.[109] 이미 부활 능력을 사용한 투 타임, 엘리엇, 빌더맨, 탭, 듀세카.[110] c00lkidd도 007n7과 히든 매치가 가능은 하나 추천되지는 않는다. 007n7은 1:1 전용 캐릭터라 봐도 무방한 데다, c00lkidd는 특히나 007n7과의 추격에서 불리한 편이다.[!] 포세이큰에서 만든 곡이 아닌 몇 없는 곡중 하나이다.[!] [113] 이탈리아어로 수면 부채라는 뜻.[114] 이날은 존 도가 로블록스를 해킹할거라는 유머가 도는 날이였다.[115] 발견되더라도 금방 고쳐진다.[116] 약 1초[117] 핑이 높으면 높을수록 공격 사정거리가 줄어든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실제로 핑이 높은 채로 킬러를 해보면 바로 뒤에서 공격을 날려도 안 맞는다.[118] 가시 맞고 날아가는게 대표적이며, 아주 낮은 확률로 제이슨이 E를 적중하면 생존자가 땅에 꺼지면서 랜덤 구역에 텔포하는 일도 있다.[119] 해당 문제점은 로블록스의 자체적인 문제점과도 연결되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그나마 원작자가 삭제를 요청하면 삭제한다는게 다행인 부분이다.[120] 그나마 있다고 해도 관전이다.[121] 하지만 현재까지는 포세이큰에서 그런 현상은 극히 드물다.[122] 티밍을 하는 사람부터, 인성질, W+S 스팸, 해커등등.[123] 이 중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만든 Fnf 9.11 테러의 모드에 기여하였다고 했다.[124] 그때 그는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고 있었으며 온라인에서 활동하다 간 곳이 하필 음지 관련 디스코드 서버였다.[125] 살해 협박, 돈 협박, 개인정보 유출 협박[126] 애초에 음지에서 익숙해진 말투가 다른 사람들과 친해지기 어려웠고 아무리 친해져도 그를 노리는 사람들이 그와 친해진 사람들에게 그가 했던 여러 행동들을 말해줘 사람들은 그와 가까워지지 않아 했다.[127] 더 정확히는, 에이해브의 에고인 개화 E.G.O::가스하푼을 모티브로 한다.[128] 다만 게임 내 재화는 유료로도 무료로도 얻을 수 있기에 플레이를 통해서 재화를 모아 구매해서 무료 구매가 가능하다.[129] 당연하게도 스킨 제작자는 해당 컨텐츠의 모티브가 된 원작에 대한 출처 또한 남기지 않았으며, 가스하푼과 Compass를 본 게임으로 알게 된 어린 유저들이 Mili의 유튜브 댓글에서 Forsaken을 언급하며 난동을 부리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130] 슬랩배틀, 이베이드, 아이템 어사일럼, 룬 슬레이어[131] 경험치, 돈 악용, 전용 캐릭터 사용.[132] 언어를 몰라 아무렇게나 누르다가 악용할 수도 있고 남의 강요에 악용한 유저나 VIP 서버를 처음 사용한 유저등등 억울한 유저가 있을 것이다.[133] 개발자 캐릭터면 어떠냐는 반응이 있는데, 개발자 캐릭터중에 앞으로 나오게 될 게스트 666, 놀리등이 있어 사실상 불법 유출이 된다.[134] 이로 인해 벽에 껴 논클립으로 게임에서 추방 당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다만 공식 디스코드에서 버그가 다음 업데이트에서 수정될 것이라는 소식을 올렸으므로, 곧 고쳐질 것이다.[135] 자칫 잘 못 하면 갈 수 없는 곳에 가게 되며 가끔 가시에 끼어 그대로 죽을 수도 있다.[136] 굴뚝 아래쪽에 가는거라 한마디로 갈 수 없는 곳에 가는 것이다.[137] ARG 스토리에서 타일러가 제이슨에게 찢겨죽고 나는 누군가에서 더 이상 내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고 하는데, 이게 버림받은 거라면 스토리와 제목이 꽤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138] 현재는 '버림받은'으로 번역되어 있어 그나마 나은 번역이 되었다.[139] 곧 출시될 괴담 출신 살인마로는 게스트 666이 있다. 또한 로블록스를 해킹했던 007n7, C00lkidd 등 실제 해커에서 따온 경우도 많다. 추후에 4nn1 등 괴담 출신 캐릭터가 더 나올 가능성이 있다.[140] 아직 완전히 공개되지 않은 킬러인 아주르(Azure)와 투 타임을 엮는 커플링. 둘의 서사가 꽤나 심오할 것으로 추측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주르의 문단을 확인 해보길 바란다.[141] 투 타임의 설명문이다.[142] 원작 제작자의 요청으로 인해 삭제.[143] 다른 게임으로 연결되기도 하며 로블록스 계정의 설명, 티셔츠로 떡밥을 얻거나 여러 암호 해독과 힌트를 얻어 답을 유추하는등, 인터넷 상의 ARG가 포함되어 있다. 아직 현실로 이어지는 ARG는 없지만 커뮤니티가 더욱 활성화되면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144] 존 도의 Dœ, 캐릭터 설명란에 적혀있는 dœs/gœs 등.. 심지어 유저가 타이핑하는 채팅도 마찬가지.[145] If you leave, You WON't make IT FAR, You Brought This upon YOURSELF, Don't make me find you. 등등 무서운 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된다.[146] ARG의 요소중 하나이다.[147] 물론 타워 디펜스, 벗 베드등 팬게임들도 생기고 있지만 이 또한 별로라는 반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