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프리미어 12 2019 WBSC Premier 12 ━━━━━━━━━━━━━━━━━━━━━━━━━━━━ 12차전 11.16(토) 19:00, 도쿄 돔 44,224명 중계방송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이승호 | 0 | 0 | 1 | 5 | 0 | 0 | 2 | 0 | 0 | 8 | 12 | 0 | 3 | ||||||
키시 타카유키 | 0 | 1 | 6 | 0 | 2 | 0 | 1 | 0 | X | 10 | 14 | 1 | 8 | ||||||
승: 오노 유다이 | 패: 이승호 | 세이브: 타구치 카즈토 | |||||||||||||||||||
양 팀 선발 라인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 타순 | 일본 | ||||||||||||||||
포지션 | 선수명 | 선수명 | 포지션 | ||||||||||||||||
2B | 박민우 | 1 | 야마다 테츠토 | 1B | |||||||||||||||
CF | 박건우 | 2 | 사카모토 하야토 | SS | |||||||||||||||
LF | 김재환 | 3 | 마루 요시히로 | CF | |||||||||||||||
DH | 박병호 | 4 | 스즈키 세이야 | RF | |||||||||||||||
3B | 최정 | 5 | 아사무라 히데토 | DH | |||||||||||||||
RF | 강백호 | 6 | 요시다 마사타카 | LF | |||||||||||||||
1B | 황재균 | 7 | 마쓰다 노부히로 | 3B | |||||||||||||||
C | 박세혁 | 8 | 아이자와 츠바사 | C | |||||||||||||||
SS | 김상수 | 9 | 기쿠치 료스케 | 2B | |||||||||||||||
SP | 이승호 | P | 키시 타카유키 | SP |
주요 경기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결승타 | 스즈키 세이야(3회 무사 1,3루서 중전 안타) | ||||||||||||||
2루타 | 야마다 테츠토(1,5회), 아이자와 츠바사(2회), 기쿠치 료스케(2회), 사카모토 하야토(3회), 박세혁(4회), 김상수(4회), 마루 요시히로(5회) | |||||||||||||||
도루 | 토노사키 슈타(7회) | |||||||||||||||
희생 플라이 | 야마다 테츠토(3회) | |||||||||||||||
병살타 | 스즈키 세이야(4회), 허경민(9회) | |||||||||||||||
실책 | 겐다 소스케(6회) | |||||||||||||||
주루사 | 이정후(5회) |
투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이승호 | 패 | 2.0 | 59 | 8 | 0 | 1 | 1 | 6 | 6 | 27.00 | |||||||||||||||
이용찬 | 2.1 | 49 | 5 | 0 | 2 | 1 | 3 | 3 | 11.57 | ||||||||||||||||
함덕주 | 1.2 | 28 | 1 | 0 | 1 | 2 | 0 | 0 | 0.00 | ||||||||||||||||
고우석 | 1.0 | 31 | 0 | 0 | 3 | 1 | 1 | 1 | 9.00 | ||||||||||||||||
문경찬 | 1.0 | 7 | 0 | 0 | 0 | 1 | 0 | 0 | 0.00 | ||||||||||||||||
일본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키시 타카유키 | 4.0 | 69 | 7 | 1 | 0 | 7 | 6 | 6 | 4.50 | ||||||||||||||||
오노 유다이 | 승 | 1.0 | 23 | 0 | 0 | 3 | 1 | 0 | 0 | 0.00 | |||||||||||||||
야마오카 타이스케 | 1.2 | 38 | 4 | 0 | 0 | 4 | 2 | 2 | 10.80 | ||||||||||||||||
카야마 신야 | 0.1 | 4 | 0 | 0 | 0 | 1 | 0 | 0 | 0.00 | ||||||||||||||||
오타케 칸 | 1.0 | 6 | 0 | 0 | 0 | 0 | 0 | 0 | 0.00 | ||||||||||||||||
타구치 카즈토 | 세 | 1.0 | 6 | 1 | 0 | 0 | 0 | 0 | 0 | 0.00 |
타자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대표팀 타자 기록 | ||||||||||||||||||||||||||||
<rowcolor=#fff> 타순 | 선수 | 포지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
1 | 박민우 | 2B | 유비 | 삼진 | 삼진 | ||||||||||||||||||||||||
결과 | 3타수 무안타 2삼진 | ||||||||||||||||||||||||||||
↑ | 김하성 | SS | 삼진 | 유땅 | |||||||||||||||||||||||||
결과 | 2타수 무안타 1삼진 | ||||||||||||||||||||||||||||
2 | 박건우 | CF | 삼진 | 좌안 | 볼넷 | ||||||||||||||||||||||||
결과 | 2타수 1안타 1득점 1볼넷 1삼진 | ||||||||||||||||||||||||||||
↑ | 이정후 | PR → CF | 중안 | 2땅 | |||||||||||||||||||||||||
결과 | 2타수 1안타 1득점 | ||||||||||||||||||||||||||||
3 | 김재환 | LF | 2땅 | 우안 | 볼넷 | ||||||||||||||||||||||||
결과 | 2타수 1안타 1득점 1볼넷 | ||||||||||||||||||||||||||||
↑ | 김현수 | LF | 유비 | 우안 | |||||||||||||||||||||||||
결과 | 2타수 1안타 | ||||||||||||||||||||||||||||
4 | 박병호 | DH | 유땅 | 좌안 | 볼넷 | 삼진 | 1비 | ||||||||||||||||||||||
결과 | 4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 1볼넷 1삼진 | ||||||||||||||||||||||||||||
5 | 최정 | 3B | 2땅 | 삼진 | 삼진 | ||||||||||||||||||||||||
결과 | 3타수 무안타 2삼진 | ||||||||||||||||||||||||||||
↑ | 허경민 | 3B | 좌안 | 1병 | |||||||||||||||||||||||||
결과 | 2타수 1안타 1득점 | ||||||||||||||||||||||||||||
6 | 강백호 | RF | 2땅 | 중안 | 우비 | 중안 | |||||||||||||||||||||||
결과 | 4타수 2안타 1득점 3타점 | ||||||||||||||||||||||||||||
↑ | 민병헌 | PR → RF | |||||||||||||||||||||||||||
결과 | 0타수 0안타 | ||||||||||||||||||||||||||||
7 | 황재균 | 1B | 좌중홈 | 삼진 | 삼진 | 좌안 | |||||||||||||||||||||||
결과 | 4타수 2안타 1홈런 1득점 1타점 2삼진 | ||||||||||||||||||||||||||||
8 | 박세혁 | C | 삼진 | 우2 | 삼진 | ||||||||||||||||||||||||
결과 | 3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 2삼진 | ||||||||||||||||||||||||||||
↑ | 양의지 | PH → C | 삼진 | ||||||||||||||||||||||||||
결과 | 1타수 무안타 1삼진 | ||||||||||||||||||||||||||||
9 | 김상수 | SS → 2B | 삼진 | 좌중2 | 유실 | 투비 | |||||||||||||||||||||||
결과 | 4타수 1안타 2타점 1삼진 | ||||||||||||||||||||||||||||
일본 대표팀 타자 기록 | |||||||||||||||||||||||||||||
<rowcolor=#fff> 타순 | 선수 | 포지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
1 | 야마다 테츠토 | 1B | 우2 | 우비 | 좌희비 | 좌2 | 볼넷 | ||||||||||||||||||||||
결과 | 3타수 2안타 1득점 2타점 1볼넷 | ||||||||||||||||||||||||||||
2 | 사카모토 하야토 | SS | 중비 | 좌2/중비 | |||||||||||||||||||||||||
결과 | 3타수 1안타 1득점 | ||||||||||||||||||||||||||||
↑ | 겐다 소스케 | SS | 중비 | 투희번 | |||||||||||||||||||||||||
결과 | 1타수 무안타 | ||||||||||||||||||||||||||||
3 | 마루 요시히로 | CF | 삼진 | 투안 | 우안 | 우2 | 볼넷 | ||||||||||||||||||||||
결과 | 4타수 3안타 1득점 1타점 1볼넷 1삼진 | ||||||||||||||||||||||||||||
4 | 스즈키 세이야 | RF | 볼넷 | 중안 | 유병 | 볼넷 | |||||||||||||||||||||||
결과 | 2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 2볼넷 | ||||||||||||||||||||||||||||
↑ | 콘도 켄스케 | RF → LF | 사구 | ||||||||||||||||||||||||||
결과 | 0타수 0안타 1타점 | ||||||||||||||||||||||||||||
5 | 아사무라 히데토 | DH | 2땅 | 좌안 | 볼넷 | 삼진 | 삼진 | ||||||||||||||||||||||
결과 | 4타수 1안타 1득점 1타점 1볼넷 2삼진 | ||||||||||||||||||||||||||||
6 | 요시다 마사타카 | LF | 2땅 | 우안 | 우안 | 1비 | 유비 | ||||||||||||||||||||||
결과 | 5타수 2안타 1득점 | ||||||||||||||||||||||||||||
↑ | 슈토 우쿄 | RF | |||||||||||||||||||||||||||
결과 | 0타수 0안타 | ||||||||||||||||||||||||||||
7 | 마쓰다 노부히로 | 3B | 중비 | 볼넷 | 삼진 | 2땅 | 1비 | ||||||||||||||||||||||
결과 | 4타수 무안타 1득점 1타점 1볼넷 1삼진 | ||||||||||||||||||||||||||||
8 | 아이자와 츠바사 | C | 좌2 | 중안 | |||||||||||||||||||||||||
결과 | 2타수 2안타 1득점 1타점 | ||||||||||||||||||||||||||||
↑ | 카이 타쿠야 | C | 우안 | 삼진 | |||||||||||||||||||||||||
결과 | 2타수 1안타 1득점 1삼진 | ||||||||||||||||||||||||||||
↑ | 고바야시 세이지 | C | 삼진 | ||||||||||||||||||||||||||
결과 | 1타수 무안타 1삼진 | ||||||||||||||||||||||||||||
9 | 기쿠치 료스케 | 2B | 좌2 | 유땅 | |||||||||||||||||||||||||
결과 | 2타수 1안타 2타점 | ||||||||||||||||||||||||||||
↑ | 토노사키 슈타 | PR → 2B | 투희번 | 볼넷 | 좌비 | ||||||||||||||||||||||||
결과 | 1타수 무안타 1득점 1볼넷 |
득점 루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닝 | 득점 팀 | 득점 루트 | 스코어 | ||||||||||||||
2회말 | 일본 | 기쿠치 료스케의 좌측 2루타로 1득점 | 대한민국 0 : 1 일본 | |||||||||||||||
3회초 | 대한민국 | 황재균의 좌중간 홈런으로 1득점 | 대한민국 1 : 1 일본 | |||||||||||||||
3회말 | 일본 | 스즈키 세이야의 중전 안타로 1득점 | 대한민국 1 : 2 일본 | |||||||||||||||
이사무라 히데토의 좌측 안타로 1득점 | 대한민국 1 : 3 일본 | |||||||||||||||||
마쓰다 노부히로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득점 | 대한민국 1 : 4 일본 | |||||||||||||||||
아이자와 츠바사의 중전 안타로 1득점 | 대한민국 1 : 5 일본 | |||||||||||||||||
기쿠치 료스케의 유격수 땅볼로 1득점 | 대한민국 1 : 6 일본 | |||||||||||||||||
야마다 테츠토의 좌익수 희생 플라이로 1득점 | 대한민국 1 : 7 일본 | |||||||||||||||||
4회초 | 대한민국 | 박병호의 좌전 안타로 1득점 | 대한민국 2 : 7 일본 | |||||||||||||||
강백호의 중전 안타로 1득점 | 대한민국 3 : 7 일본 | |||||||||||||||||
박세혁의 우측 2루타로 1득점 | 대한민국 4 : 7 일본 | |||||||||||||||||
김상수의 좌중간 2루타로 2득점 | 대한민국 6 : 7 일본 | |||||||||||||||||
5회말 | 일본 | 야마다 테츠토의 좌측 2루타로 1득점 | 대한민국 6 : 8 일본 | |||||||||||||||
마루 요시히로의 우측 2루타로 1득점 | 대한민국 6 : 9 일본 | |||||||||||||||||
7회초 | 대한민국 | 강백호의 중전 안타로 1득점 | 대한민국 8 : 9 일본 | |||||||||||||||
7회말 | 일본 | 콘도 켄스케의 밀어내기 몸에 맞는 공으로 1득점 | 대한민국 8 : 10 일본 |
SBS H/L 다시보기 |
기록지
멕시코전을 이김으로써 결승은 한일전이 되었고 이 경기는 미리 보는 결승전이 되었다. 이 경기를 이기는 팀은 결승전에서 조금이라도 유리한 말공격이 된다. WBSC 랭킹 우열에 상관없이 슈퍼라운드 1위로 결승에 진출하면 홈팀, 2위로 올라오면 원정팀이 된다. 그러나 양팀 모두 다음날 있을 결승전을 대비해서 특히 투수진 운영에 있어서는 다소 힘을 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은 타자 선발 라인업에서 정예 멤버들을 다수 투입했다.
2회말에 일본이 먼저 선취점을 냈다. 일본의 아이자와 츠바사가 2사 이후 2루타를 쳤고 기쿠치 료스케가 좌익수 앞 안타를 쳤다. 여기서 2루 주자 아이자와가 그대로 홈으로 내달렸고 좌익수 김재환이 홈 송구를 했는데, 타이밍상으로는 아웃 타이밍이었으나 포수 박세혁이 포구에 실패하며 선취점을 내줬다. 그러나 3회초에 황재균이 동점 솔로홈런을 때리며 바로 다시 동점을 만들었다.
그러나 3회말, 긴장한 탓인지 이승호는 2이닝 8피안타 6실점을 기록, 김경문 감독은 바로 이용찬으로 투수를 교체했다.
4회초, 한국이 1:7 상황에서 3번의 1루타와 2번의 2루타로 5점을 뽑아 1점차로 단숨에 따라잡았다. 이중 김상수의 2루타는 홈런이 될 뻔했다. 4회말, 일본이 이 경기에서 첫 병살타를 때렸다.
5회초, 일본은 투수를 오노 유다이로 교체했고, 그 직후 3연속 볼넷으로 무사만루를 만들었으나, 최정은 상대 투수 오노가 전혀 제구가 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3연속 볼넷을 내줬는데도 스트라이크 존에서 크게 벗어나는 공에 배트가 나가며 허무하게 삼구삼진으로 물러났다. 이후 1사 만루에서 강백호가 영점이 잡힌 오노 상대로 끈질긴 승부 끝에 우익수 쪽 안타성 타구를 만들었으나 일본 우익수에게 잡혔는데, 여기서 이정후의 타구 판단 미스로 3루에서의 태그업이 늦었고, 일본 측의 중계 플레이가 깔끔하게 이루어지며 홈에서 태그 아웃되었고, 결국 무사 만루에서 점수를 내지 못했다.
5회말, 일본이 안타 3개를 추가하며 2점을 더 냈다. 이 과정에서 야마다 테츠토의 안타에 김현수가 바운드를 잘 맞추지 못하며 2루타를 내줬다.
6회초, 일본은 투수를 야마오카 다이스케로 교체했고, 황재균과 박세혁이 삼진으로 물러난 후 김상수가 유격수 땅볼을 쳤는데 일본의 백업 유격수인 겐다 소스케가 이 경기 첫 실책을 저지르며 실책 출루에 성공했다. 그러나 김하성이 삼진당하며 득점에는 실패했다.
6회말, 함덕주가 삼자범퇴를 만들었다.
7회초, 허경민의 유격수 땅볼 출루 이후 이정후 포스아웃 관련하여 김경문 감독이 비디오 판독을 요청했고, 판정은 아웃에서 세이프로 바뀌었다! 그 이후 강백호의 네 번 파울 이후 2타점 1루타를 때려 또다시 1점차 추격을 했다. 결국 일본은 다시 투수를 가야마 신야로 교체했다. 그후 황재균의 안타로 2사 1,2루가 만들어 졌으나 대타 양의지가 삼진을 당해 추가 득점은 나오지 않았다.
7회말, 한국은 투수를 함덕주에서 고우석으로 교체했다.
고우석이 연속 볼넷을 내주어 무사 1,2루를 만들었고 번트로 1사 2,3루 위기 상황을 맞았다. 거기에서 볼넷을 하나더 내주어 1사 만루가 만들어졌다. 그 상황에서 몸에 맞는공으로 1점을 허용했다. 그 이후 삼진과 플라이로 이닝을 마무리했다.
8회초, 일본은 다시 투수를 오타케 간으로 교체했다. 8회말에 한국 역시 투수를 교체했고 두 팀 모두 삼자범퇴로 8회를 끝냈다.
9회초, 일본은 또다시 투수를 다구치 가즈토로 교체했다. 김현수가 선두타자 안타를 치고 출루하였으나, 박병호가 1루수 파울플라이, 허경민이 병살타를 치며 경기는 일본의 승리로 종료되었다.
전반적으로 한일전 야구에서 보기 드문 타격전이었으며, 한국에서도 경기는 졌지만 예상외로 재밌었다는 반응이다. 양 팀 합쳐 18점이 난 것은 98년 방콕 아시안게임 예선 라운드 1차전에서 양 팀 합산 22점이 난 경기 이후로 처음이었다. 한국은 일본의 초반 대량 득점을 극복하고 역전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나 잦은 수비 실책과 주루 미스, 그리고 5회 무사 만루에서 무득점으로 물러난 것이 패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스타팅 라인업으로 나섰던, 이전 경기들에 선발로 잘 기용되지 않았던 선수들의 타격감이 좋았다. 황재균, 김상수, 박건우, 박세혁, 강백호 등의 선수들이 한국이 대랑 득점하는데에 일조했다. 특히 김상수는 좋은 타격에 유격수, 2루수에서 환상적인 수비를 보여주며 한국 선수들 가운데서는 MVP급 활약을 보여주었다. 거기에 막내 강백호는 오히려 베테랑 형들보다도 더 뛰어난 타격능력을 보여주었다.
경기 이후, 최정의 5회 무사만루에서 흐름을 끊는 삼진아웃과 이정후의 타구 판단 미스를 비판하는 반응이 많았다. 최정은 상대 투수가 자멸하는데도 스트라이크존에서 멀리 떨어지는 공에 배트가 나가는 아쉬운 모습을 보여줬고, 이정후는 대주자로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긴장했는지 본헤드플레이 급의 실수를 하는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정후가 타격에 있어서는 국대 에이스라는 것을 누구도 부정할 수가 없다. 정규시즌-포스트시즌-프리미어12 까지 기복없는 타격 실력을 뽐내고 있다. 한편 박병호의 부진과 김경문 감독의 나믿박믿 성향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어 이를 비판하는 반응도 있었다. 양의지 역시 타격 면에서 별다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투수는 선발부터 난조를 보이며 함덕주와 문경찬을 제외한 투수가 실점을 기록했다. 선발 이승호와 그 뒤를 이은 이용찬이 무사 만루 위기를 만들고 대량 실점을 했으며 고우석 역시 3볼넷 1사구로 밀어내기 점수를 내준것이 뼈아팠다. 함덕주는 피안타로 점수를 내주긴 했지만 자신의 주자가 아니었으며 그 다음 이닝을 삼자범퇴로 끝냈고 문경찬은 1이닝을 삼자범퇴로 마무리했다.
이 경기를 통해 슈퍼라운드 순위는 1위 일본, 2위 한국으로 결정되었고 다음날 열리는 결승전은 일본이 홈팀 자격으로 이 경기와 동일하게 한국이 선공을 하게 된다.
한국 쪽에 공식적으로 기록된 실책은 없었으나 수비 쪽에서 아쉬운 장면이 몇 나왔다. 2회 내준 선취점은 백업 포수 박세혁이 포구를 제대로 했다면 충분히 상대를 아웃시킬 수 있었는데 포구에 실패하며 내준 점수이고, 3회에는 투수 이승호의 번트 처리가 늦어 마루 요시히로에게 번트안타를 내주며 대량 실점의 빌미가 되었다. 5회에도 좌익수 앞에 떨어지는 공을 김현수가 바운드를 제대로 맞추지 못해 뒤로 빠지며 단타로 끊지 못하고 2루타를 내주는 등 전체적으로 아쉬운 수비를 보여 줬다. 반면 공격 면에서는 박세혁은 적시 2루타를 쳐냈고, 김현수도 9회 선두타자로 나와 안타를 기록하는 등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 그 외에도 강백호 등 이제껏 선발 명단에 들지 못한 선수들이 공격 면에서 활약하며 턱밑까지 추격했고, 결국 일본은 일찌감치 대량 득점에 성공했음에도 투수를 여럿 소모할 수밖에 없었다. 김경문 감독도 이를 인지했는지 경기후 인터뷰에서 수비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으며, 일본의 이나바 감독은 한국의 타선이 강해 공략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경기 후 일본 응원단이 욱일기를 반입한 것에 대해 KBO가 WBSC에 공식적으로 항의했다. 이에 WBSC는 'IOC에서 특별히 문제로 삼지 않고 있다'는 이유로 반입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을 거부했다. 이것은 꽤나 논란 있는 조치라고 볼 수 있는데, 국제 스포츠 마케팅 시장에서 IOC 이상의 파급력을 보이는 AFC나 FIFA같은 축구 관련 유력 단체들은 전부 일본 관련 경기에서 욱일기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IOC는 당장 내년 올림픽이 열리는 장소가 일본이고 일본 정부가 지지율 관리를 위해 노골적으로 혐한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과거 군국주의, 욱일기 등을 정당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와중에 일본 정부의 눈치를 봐서 IOC가 비정상적인 판단을 했다는 의견이 많다. 여기에 대해 네티즌들은 상당한 불만을 표시했다. 관련 기사#의 베댓 1위가 "방사능 올림픽 참가하지 말자 후쿠시마 가서 야구 한다는게 말이되냐?"이다. 여기에 일본 네티즌들은 " 정말 방사능 무서우면 안말리니까 오지마. " 라는 반응이 많다. [1]
장훈은 '이렇게 서툰 한국 대표팀은 처음 봤다'면서 '이렇게 된다면 결승에서 일본이 승리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