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WBSC 프리미어 1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66b3><colcolor=#ffd700> 조별 예선 | A조 | B조 |
결선 라운드 | 결선 토너먼트 | ||
결승전 | 결승전 | ||
관련 문서 | 대회 준비 · 논란 · 도쿄 대첩 |
1. 개요
대만 톈무 경기장과 타오위안 경기장에서 진행된다.이 조에 속한 팀은 다음과 같다.- 일본
- 미국
- 도미니카 공화국
- 대한민국
- 베네수엘라
- 멕시코
2. 순위
- 승률 순으로 순위를 정하며, 승률이 같을 경우 승자승을 적용해 상•하위를 구분한다.
- 승률이 같은 팀이 세 팀 이상이며, 승자승으로도 순위를 정할 수 없을 경우 TQB, ER-TQB, 팀타율, 추첨 순으로 순위를 정한다.
단, 두 팀이 같은 지표에서 같은 값을 가질 경우 승자승을 적용해 상•하위를 구분하며, 하위 지표는 무시[1]한다.
- TQB(Team's Quality Balance) = (총득점/공격이닝)-(총실점/수비이닝)[2]
- ER-TQB(Earned Run-Team's Quality Balance) = (총피자책점/공격이닝)-(총자책점/수비이닝)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공격이닝 | 실점 | 수비이닝 | TQB | 승률 | 승차 | |
1 | | 일본 | 5 | 5 | 0 | 31 | 42.2 | 14 | 45.0 | 0.4155 | 1.00 | - |
2 | | 미국 | 5 | 3 | 2 | 31 | 44.0 | 24 | 45.0 | 0.1712 | .600 | 2.0 |
3 | | 대한민국 | 5 | 3 | 2 | 29 | 43.0 | 14 | 43.0 | 0.3256 | .600 | 2.0 |
4 | | 멕시코 | 5 | 2 | 3 | 23 | 45.0 | 30 | 44.1 | -0.1656 | .400 | 3.0 |
5 | | 베네수엘라 | 5 | 2 | 3 | 26 | 42.0 | 36 | 41.1 | -0.2519 | .400 | 3.0 |
6 | | 도미니카 | 5 | 0 | 5 | 20 | 45.0 | 42 | 43.0 | -0.5323 | .000 | 5.0 |
3. 경기 결과
3.1. 11월 8일 - 1경기 : 일본 5 : 0 대한민국
| 2015년 프리미어 12 2015 WBSC Premier 12 ━━━━━━━━━━━━━━━━━━━━━━━━━━━━ 11.8 19:00, 삿포로돔 28,848명 중계방송사: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대한민국 | 김광현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7 | 0 | 3 | |||||
일본 | 오타니 쇼헤이 | 0 | 2 | 0 | 0 | 1 | 1 | 0 | 1 | 5 | 12 | 0 | 4 | ||||||
승: 오타니 쇼헤이 | 패: 김광현 | |||||||||||||||||||
양 팀 선발 라인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 타순 | 일본 | ||||||||||||||||
포지션 | 선수명 | 선수명 | 포지션 | ||||||||||||||||
CF | 이용규 | 1 | 아키야마 쇼고 | CF | |||||||||||||||
2B | 정근우 | 2 | 사카모토 하야토 | SS | |||||||||||||||
LF | 김현수 | 3 | 야마다 테츠토 | 2B | |||||||||||||||
DH | 이대호 | 4 | 나카무라 타케야 | DH | |||||||||||||||
1B | 박병호 | 5 | 쓰쓰고 요시토모 | LF | |||||||||||||||
RF | 손아섭 | 6 | 나카타 쇼 | 1B | |||||||||||||||
3B | 허경민 | 7 | 마쓰다 노부히로 | 3B | |||||||||||||||
C | 강민호 | 8 | 히라타 료스케 | RF | |||||||||||||||
SS | 김재호 | 9 | 시마 모토히로 | C | |||||||||||||||
SP | 김광현 | P | 오타니 쇼헤이 | SP |
주요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결승타 | 히라타 료스케(2회 무사 1,2루서 우익수 앞 2루타) | ||||||||||||||
홈런 | 사카모토 하야토(6회1점 정우람) | |||||||||||||||
2루타 | 박병호(5회), 마쓰다 노부히로(7회), 야마다 테츠토(8회) | |||||||||||||||
실책 | 없음 | |||||||||||||||
도루자 | 히라타 료스케(2회) | |||||||||||||||
희생번트 | 아키야마 쇼고(4회) | |||||||||||||||
희생플라이 | 사카모토 하야토(2회) | |||||||||||||||
병살타 | 이대호(4회) | |||||||||||||||
폭투 | 김광현(2회), 조무근(7회) |
투수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S)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김광현 | 패 | 2.2 | 67(38) | 5 | 0 | 2 | 0 | 3 | 2 | 2 | 6.75 | |||||||||||||||
조상우 | 0.1 | 19(11) | 1 | 0 | 1 | 0 | 1 | 0 | 0 | 0.00 | ||||||||||||||||
차우찬 | 2.0 | 40(21) | 2 | 0 | 1 | 0 | 0 | 1 | 1 | 4.50 | ||||||||||||||||
정우람 | 1.1 | 24(16) | 1 | 1 | 0 | 0 | 0 | 1 | 1 | 6.75 | ||||||||||||||||
조무근 | 1.2 | 24(18) | 3 | 0 | 0 | 0 | 2 | 1 | 1 | 6.75 | ||||||||||||||||
일본 대표팀 투수 기록 | ||||||||||||||||||||||||||
투수 | 기록 | 이닝 | 투구수(S)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ERA | |||||||||||||||
오타니 쇼헤이 | 승 | 6.0 | 91(60) | 2 | 0 | 2 | 0 | 10 | 0 | 0 | 0.00 | |||||||||||||||
노리모토 다카히로 | 2.0 | 38(25) | 2 | 0 | 1 | 0 | 3 | 0 | 0 | 0.00 | ||||||||||||||||
마츠이 유키 | 1.0 | 28(18) | 3 | 0 | 0 | 0 | 1 | 0 | 0 | 0.00 |
타자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대표팀 타자 기록 | |||||||||||||||||||||||||
<rowcolor=#fff> 타순 | 선수 | 포지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
1 | 이용규 | CF | 2땅 | 삼진 | 유땅 | 유직 | ||||||||||||||||||||
4타석 4타수 0안타 1삼진 | ||||||||||||||||||||||||||
2 | 정근우 | 2B | 유플 | 중플 | 삼진 | 볼넷 | ||||||||||||||||||||
4타석 3타수 0안타 1볼넷 1삼진 | ||||||||||||||||||||||||||
3 | 김현수 | LF | 삼진 | 우안 | 삼진 | 삼진 | ||||||||||||||||||||
4타석 4타수 1안타 3삼진 | ||||||||||||||||||||||||||
4 | 이대호 | DH | 삼진 | 2병 | 삼진 | 좌안 | ||||||||||||||||||||
4타석 4타수 1안타 2삼진 1 병살타 | ||||||||||||||||||||||||||
5 | 박병호 | 1B | 2땅 | 우2 | 삼진 | 좌안 | ||||||||||||||||||||
4타석 4타수 2안타 1삼진 | ||||||||||||||||||||||||||
6 | 손아섭 | RF | 볼넷 | 볼넷 | 땅볼 | 우안 | ||||||||||||||||||||
4타석 2타수 1안타 2볼넷 | ||||||||||||||||||||||||||
7 | 허경민 | 3B | 삼진 | 삼진 | ||||||||||||||||||||||
2타석 2타수 0안타 2삼진 | ||||||||||||||||||||||||||
↑ | 오재원 | PH | 중안 | |||||||||||||||||||||||
1타석 1타수 1안타 | ||||||||||||||||||||||||||
↑ | 황재균 | 3B | 삼진 | |||||||||||||||||||||||
1타석 1타수 0안타 1삼진 | ||||||||||||||||||||||||||
8 | 강민호 | C | 삼진 | 삼진 | ||||||||||||||||||||||
2타석 2타수 0안타 2삼진 | ||||||||||||||||||||||||||
↑ | 양의지 | C | 1플 | 유플 | ||||||||||||||||||||||
2타석 2타수 0안타 | ||||||||||||||||||||||||||
9 | 김재호 | SS | 2땅 | |||||||||||||||||||||||
1타석 1타수 0안타 | ||||||||||||||||||||||||||
↑ | 나성범 | PH | 삼진 | |||||||||||||||||||||||
1타석 1타수 0안타 1삼진 | ||||||||||||||||||||||||||
↑ | 김상수 | SS | 좌안 | 1플 | ||||||||||||||||||||||
2타석 2타수 1안타 | ||||||||||||||||||||||||||
일본 대표팀 타자 기록 | ||||||||||||||||||||||||||
<rowcolor=#ffffff> 타순 | 선수 | 포지션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
1 | 아키야마 쇼고 | CF | 삼진 | 볼넷 | 투땅 | 2땅 | 1직 | |||||||||||||||||||
5타석 4타수 0안타 1볼넷 1삼진 | ||||||||||||||||||||||||||
2 | 사카모토 하야토 | SS | 볼넷 | 희플 | 2플 | 좌홈 | 중안 | |||||||||||||||||||
5타석 3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 2득점 1볼넷 1희생타 | ||||||||||||||||||||||||||
3 | 야마다 테츠토 | 2B | 삼진 | 3땅 | 2땅 | 유플 | 좌2 | |||||||||||||||||||
5타석 5타수 1안타 1타점 1삼진 | ||||||||||||||||||||||||||
↑ | 나카시마 타쿠야 | 2B | ||||||||||||||||||||||||
4 | 나카무라 타케야 | DH | 좌안 | 좌안 | 좌플 | 1플 | 우플 | |||||||||||||||||||
5타석 5타수 2안타 | ||||||||||||||||||||||||||
5 | 쓰쓰고 요시토모 | LF | 2땅 | 1직 | 1땅 | 투땅 | ||||||||||||||||||||
4타석 4타수 0안타 | ||||||||||||||||||||||||||
↑ | 나카무라 아키라 | RF | ||||||||||||||||||||||||
6 | 나카타 쇼 | 1B | 삼진 | 중안 | 좌안 | 삼진 | ||||||||||||||||||||
4타석 4타수 2안타 2득점 2삼진 | ||||||||||||||||||||||||||
7 | 마쓰다 노부히로 | 3B | 우안 | 볼넷 | 볼넷 | 우2 | ||||||||||||||||||||
4타석 2타수 2안타 1득점 2볼넷 | ||||||||||||||||||||||||||
8 | 히라타 료스케 | RF→LF | 좌2 | 삼진 | 우안 | 3땅 | ||||||||||||||||||||
4타석 4타수 2안타 1 2루타 2타점 1도루자 1삼진 | ||||||||||||||||||||||||||
9 | 시마 모토히로 | C | 2땅 | 중안 | 중플 | 삼진 | ||||||||||||||||||||
4타석 3타수 1안타 1삼진 |
득점 루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닝 | 득점 팀 | 득점 루트 | 스코어 | ||||||||||||||
2회말 | 일본 | 히라타 료스케의 좌측 2루타로 1득점 | 대한민국 0 : 1 일본 | |||||||||||||||
사카모토 하야토의 우익수 희생 플라이로 1득점 | 대한민국 0 : 2 일본 | |||||||||||||||||
5회말 | 히라타 료스케의 우전 안타로 1득점 | 대한민국 0 : 3 일본 | ||||||||||||||||
6회말 | 사카모토 하야토의 좌월 홈런으로 1득점 | 대한민국 0 : 4 일본 | ||||||||||||||||
8회말 | 야마다 테츠토의 좌측 2루타로 1득점 | 대한민국 0 : 5 일본 |
SBS H/L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5 WBSC 프리미어 12/조별 리그/B조 1경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5 WBSC 프리미어 12/조별 리그/B조 1경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11월 10일
3.2.1. 1경기 : 베네수엘라 4 : 6 멕시코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멕시코 | 칼리오 케세라 | 0 | 0 | 2 | 0 | 0 | 0 | 1 | 2 | 1 | 6 | 8 | 2 |
베네수엘라 | 프레디 가르시아 | 0 | 0 | 4 | 0 | 0 | 0 | 0 | 0 | 0 | 4 | 6 | 2 |
- 승리 : 마르틴 비라몬테스(1이닝 무실점)
- 패전 : 가브리엘 알파로(2/3이닝 2실점)
- 세이브 : 브레나 베르나르디노(2이닝 무실점)
- 결승타 : 움베르토 소사(7회 2사 1,2루 중월 적시타)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3.2.2. 2경기 : 미국 11 : 5 도미니카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도미니카 | 빅터 마테오 | 0 | 3 | 0 | 0 | 1 | 1 | 0 | 0 | 0 | 5 | 14 | 3 |
미국 | 지크 스프루일 | 3 | 0 | 6 | 0 | 2 | 0 | 0 | 0 | 0 | 11 | 12 | 0 |
- 승리 : 조이 디나토
- 패전 : 빅터 마테오
- 홈런 : 윌슨 베테미트(2회초 솔로), 테오스카 에르난데스(5회초 솔로)
- 결승타 : 애덤 프레이저(3회말 1사 2루 우측 3루타)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3.3. 11월 11일
3.3.1. 1경기 : 미국 5 : 7 베네수엘라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베네수엘라 | 펠리페 폴리노 | 0 | 0 | 0 | 2 | 3 | 0 | 2 | 0 | 0 | 7 | 13 | 0 |
미국 | 앤서니 바스케스 | 1 | 0 | 1 | 0 | 2 | 0 | 1 | 0 | 0 | 5 | 9 | 1 |
- 승리 : 욜맨 바자르도(4이닝 5피안타 3실점)
- 패전 : 존 처치(2이닝 3실점 2자책)
- 세이브 : 페르난도 니에베(1.2이닝 무실점)
- 홈런 : 댄 블랙(3회 솔로), 루이스 히메네스(4회 투런)
- 결승타 : 루이스 히메네스(5회 1사 1,2루 중월 2루타)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3.3.2. 2경기 : 도미니카 1 : 10 대한민국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대한민국 | 장원준 | 0 | 0 | 0 | 0 | 0 | 0 | 2 | 5 | 3 | 10 | 11 | 2 |
도미니카 | 루이스 페레즈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4 | 0 |
- 승리 : 장원준 (7이닝 7탈삼진 1실점 1자책점)
- 패전 : 미겔 페르맨 (1이닝 3피안타 1피홈런 1탈삼진 3실점 3자책점 )
- 홈런 : 이대호 (7회 1사 2루 좌월 투런 홈런)
- 결승타 : 이대호(7회 1사 2루 좌월 투런 홈런)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한일전을 5대 0 완봉패로 시작하며 불안하게 출발했던 우리 대표팀. 이날도 출발은 좋지 못했다. 경기전 급체를 했던 이용규를 대신하여 선발 출전한 2번타자 민병헌이 첫 타석부터 몸에 맞는 볼로 절뚝거리면서 교체되었다. 이후 김현수의 초구 병살타로 흐름이 끊긴 한국은 선발 페레즈에게 막히며 공격의 활로를 쉽사리 뚫지 못했다. 그 사이 한국은 5회 이용규의 아쉬운 수비로 2루타를 맞은 후[5], 후속 타자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허용했다.
한국 타선은 6회까지 1안타로 묶이며 일본전의 데자뷰를 찍는 듯했는데......
6회가 끝난 후 도미니카 공화국은 6이닝 동안 66개의 공을 던지며 한국 타자들을 요리했던 선발 페레즈를 교체했다. 이유는 페레즈가 메이저리그에서는 주로 중간계투로 많이 뛰었고 마이너에서도 선발로 출장한 적이 그리 많지 않은 편이라 투구수 문제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그런데 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큰 실책이였다. 선두타자 이용규가 안타를 치고 나갔고, 이어진 1사 2루에서 손바닥 부상으로 인해 타격감이 좋지 못했던 이대호가 좌측 펜스를 살짝 넘어가는 2점 홈런을 때렸다.
8회초, 선두타자 황재균이 범타로 물러났지만 이후 연속 3안타가 터지며 점수는 3대 1이 되었고, 상황은 1사 2,3루로 이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도미니카 공화국의 투수는 데폴라로 교체된다. 그리고 이용규가 평범한 1루 땅볼을 쳤지만 커버를 들어오던 데폴라가 넘어지며 1사 만루가 되고 만다.(기록은 야수선택) 이후 김현수가 주자일소 3루타를 치며 석 점을 더 따내고, 이대호의 쐐기 적시타로 김현수까지 홈으로 불러들이며 한국은 8회에만 5점을 내게 된다.
이후 9회에도 정근우의 2타점 2루타와 이용규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더 얻은 한국은 10대 1의 승부를 완성했다.
일단 마지막 3이닝에 타선이 터졌다는 사실은 고무적이지만, 6회까지 선발에 끌려다녔다는 점으로 볼 때 아직 한국의 타격감에 좋은 평가를 주는 것은 이르다는 게 중론.
한편 마운드에서는 선발 장원준이 깔끔하게 7회까지 막아 주었고, 이후 이닝은 정대현과 이현승이 각각 나누어 막았다. 선발이 길게 막아주고 후반에 터진 타선 덕에 계투 소모를 최소화한 것도 큰 소득이라고 할 수 있다. 베네수엘라전 결과를 미리 알 순 없지만, 적어도 지친 계투때문에 안타깝게 경기를 내주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듯. 다만 이대호와 쌍포를 가동해야만 하는 박병호가 무언가에 쫓기는 듯한 부담스러운 타격을 보여주는 점은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
다음날의 베네수엘라와의 경기도 이긴다면 2승 1패로 8강 진출의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되지만, 만약 진다면 2패째를 당하면서 남은 경기를 전승해야 된다는 부담감에 사로잡힐 것이다. 게다가 베네수엘라 다음 상대인 멕시코는 일본과 5대 6 접전을 펼쳤고, 미국도 만만히 볼 수는 없는 상대이기 때문에 베네수엘라 전 승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었다.
한편 도미니카 선발 페레즈가 기아 타이거즈와 계약을 맺었다는 썰이 올라오고 있다.
여담으로 이 경기를 중계한 SBS는 여자친구의 오늘부터 우리는 (Me gustas tu)을 엔딩곡으로 틀었다.
3.3.3. 3경기 : 일본 6 : 5 멕시코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멕시코 | 엔리케 가르시아 | 0 | 1 | 0 | 1 | 0 | 1 | 1 | 0 | 1 | 5 | 13 | 1 |
일본 | 마에다 겐타 | 0 | 2 | 2 | 0 | 1 | 0 | 0 | 0 | 1X | 6 | 12 | 0 |
- 승리 : 사와무라 히로카즈(1이닝 2피안타 1실점)
- 패전 : 알렉산더 칼데라(0.1이닝 2안타 1실점)
- 세이브 :
- 홈런 : 로베르토 로페스(2회초 솔로), 나카타 쇼(2회말 투런)
- 결승타 : 나카타 쇼(9회 1사 1,2루 우전적시타)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참가 자체가 불투명하고 급조된 전력이라 평가받는 멕시코는 예상보다는 선전중이다. 1승도 그렇고 이번에도 어쨌든 이번 대회 최강전력으로 평가받는 일본팀[6]을 상대로 극적으로 동점을 만들기까지 했으니 야구 단판제의 변수가 큰 것 뿐인지 아니면 멕시코 자체가 예상보다 강한 것인지는 좀 더 두고봐야겠지만.
3.4. 11월 12일
3.4.1. 1경기 : 대한민국 13 : 2 베네수엘라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R | H | E |
베네수엘라 | 카를로스 모나스테레오 | 0 | 0 | 2 | 0 | 0 | 0 | 0 | 2 | 8 | 1 |
대한민국 | 이대은 | 3 | 0 | 0 | 4 | 3 | 3 | X | 13 | 14 | 1 |
- 승리 :이대은(5이닝 6피안타 2실점)
- 패전 :카를로스 모나스테레오(0.2이닝 4피안타 3실점)
- 세이브 :
- 홈런 :황재균(4회말 1점),(5회말 1점)
- 결승타 :김현수(1회말 무사 1,2루에 2타점 2루타)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첫번째 홈경기. 13:2로 7회에 콜드게임으로 승리했다. 황재균은 4타수 4안타 2홈런(연타석)으로 가장 수훈선수라고 할 수 있다.
전날경기의 마지막 3이닝 동안 10점을 폭발시킨 한국 타선의 힘이 돋보인 경기였다. 상대 투수에게 경기 초반 끌려갔던 지난 두 경기와는 달리 이번엔 1회부터 3점을 선취하며 선발 이대은의 어깨를 가볍게 해준 것은 물론 전체적인 경기 분위기도 가져올 수 있었다.
위기가 찾아온 것은 3회초. 선두타자에게 홈런을 맞은 이대은은 그 다음 타자에게 안타를 맞고 와일드피치로 추가진루까지 허용했다. 이후 적시타로 또 다시 1점을 잃고 2사 2,3루의 위기에 몰리지만
4회말, 선두타자 황재균의 홈런에 이어 강민호, 김재호의 2연속 2루타와 김현수, 이대호의 연속 적시타로 한국은 4점을 따내며 7대 2로 점수차를 벌리게 된다.
5회초에도 또다시 2사 2.3루의 위기가 찾아왔지만 히메네스에게 3삼진째를 잡으며 위기를 탈출한 한국은 5회 황재균의 연타석 홈런포 등을 묶어 3점을 가져갔고, 6회에도 이대호가 사구, 박병호가 볼넷으로 연속 출루한 후 투수 악송구까지 겹치며 다시 3점을 따낸다. 그리고 7회초가 끝난 후, 점수차는 11점이였고 대회 규정에 따라 한국의 콜드승으로 경기가 끝난다.
타선은 장단 14안타를 몰아치며 13점을 퍼부었고 타격감이 완전히 살아난 모습을 보였다. 황재균이 연타석 홈런을 치며 3타점을 기록했고 김현수 역시 득점권마다 안타를 때려내며 3타점을 기록했다.
투수진 역시 8안타를 내주긴 했지만 실점을 2점으로 묶으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특히 7회 이태양의 경기를 마무리짓는 k-k-k 행진은 이 경기의 백미.
선발 이대은은 5이닝 6피안타 2실점으로 호투했고, 슈퍼시리즈 때 부상을 입었던 우규민, 그리고 이태양이 1이닝씩을 맡으며 경기를 매조지했다. 어제 경기에 이어 오늘도 투수 3명만을 사용하며 불펜을 아낀 것은 향후 계투 운용에 청신호.
다만, 한가지 찜찜한 것은 박병호. 전날 도미니카전 5타수 무안타에 이어 오늘 경기에서도 안타를 기록하지 못했다. 선발 라인업 중 안타를 치지 못한 사람은 박병호 뿐이다.
여담으로 이 날 히메네스가 강민호에게 '롯데로 돌아오고 싶다'고 말하자 강민호가 '우리 아두치 있다'고 깔끔하게 선을 그었다고 한다.
3.4.2. 2경기 : 도미니카 2 : 4 일본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일본 | 다케다 쇼타 | 1 | 0 | 0 | 1 | 0 | 0 | 0 | 2 | 0 | 4 | 5 | 0 |
도미니카 | 다니엘 카브레라 | 0 | 0 | 0 | 0 | 0 | 0 | 2 | 0 | 0 | 2 | 8 | 1 |
- 승리 : 오가와 야스히로 (3이닝 1피홈런 2실점)
- 패전 : 다닐로 데헤수스 (1이닝 2실점)
- 세이브 : 마쓰이 유키 (1이닝 무실점)
- 홈런 : 로니 로드리게스 (7회말 2점)
- 결승타 : 나카타 쇼 (8회 주자 2,3루 좌익수 쪽 2타점 2루타)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3.4.3. 3경기 : 멕시코 0 : 10 미국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R | H | E |
미국 | 잭 세고비아 | 0 | 2 | 2 | 0 | 0 | 3 | 2 | 1 | 10 | 13 | 0 |
멕시코 | 미겔 페냐 | 0 | 0 | 0 | 0 | 0 | 0 | 0 | 0X | 0 | 4 | 1 |
- 승리 : 잭 세고비아(6이닝 무실점)
- 패전 : 미겔 페냐(5.1이닝 6실점)
- 세이브 :
- 홈런 : 없음
- 결승타 : 브렛 필립스(2회초 2사 2,3루 2루수앞 2타점 내야안타)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3.5. 11월 14일
3.5.1. 1경기 : 베네수엘라 8 : 6 도미니카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도미니카 | - | 0 | 3 | 0 | 2 | 0 | 0 | 0 | 1 | 0 | 6 | 14 | 2 | 0 |
베네수엘라 | - | 1 | 0 | 1 | 0 | 1 | 2 | 3 | 0 | X | 8 | 9 | 3 | 0 |
- 승리 :
- 패전 :
- 세이브 :
- 홈런 :
- 결승타 :
3.5.2. 2경기 : 미국 2 : 10 일본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일본 | 스가노 도모유키 | 0 | 0 | 0 | 1 | 0 | 4 | 5 | 0 | 0 | 10 | 13 | 1 | 6 |
미국 | 재랫 그루브 | 1 | 0 | 1 | 0 | 0 | 0 | 0 | 0 | 0 | 2 | 7 | 2 | 3 |
- 승리 : 노리모토 다카히로
- 패전 : 세스 시몬스
- 홈런 : 맷 막브라이드 (2회, 주자 없이 솔로) 나카타 쇼 (6회, 1사 1,2루에서 3점), 마쓰다 노부히로 (7회, 2사 만루에서 4점)
- 결승타 : 나카타 쇼 (6회, 1사 1,2루에서 3점)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옛 한화 이글스 소속이였던 이브랜드가 0.2이닝 3실점 하였다.
이 경기에서 일본인이 1루심으로 배정이 되었었다. 졸속 배정이라고 깐 기사도 있다. 나중에 4강 한일전에서도 일본인이 좌선심으로 배정이 되었는데 KBO측의 항의에 WBSC 측에서 규정상 루심과 구심은 안되지만 선심은 그런 거 없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이 답변이 사실이라면, 규정에 어긋난 심판이 이 경기를 뛴 것이다!
3.5.3. 3경기 : 멕시코 3 : 4 대한민국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대한민국 | 이태양 | 2 | 1 | 1 | 0 | 0 | 0 | 0 | 0 | 0 | 4 | 8 | 1 | 6 |
멕시코 | 세자르 까리요 | 0 | 0 | 1 | 0 | 2 | 0 | 0 | 0 | 0 | 3 | 4 | 2 | 4 |
- 승리 : 차우찬
- 패전 : 세자르 까리요
- 홀드 : 임창민, 정대현
- 세이브 : 이현승
- 홈런 : 박병호
- 결승타 : 김현수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오늘 주심의 스트라이크 존이 들쭉날쭉하여 양팀 투수들이 모두 고전하였다. 경기 후반부에는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감을 잡은 강민호가 오른쪽 아래를 집중적으로 노리도록 투수들에게 요구했고, 그것이 먹혀 들어가면서 승리할 수 있었다. 박병호가 긴 부진을 깨고 첫 홈런포를 신고했다. 이 경기로 한국 대표팀의 8강 진출이 확정되었다.
3.6. 11월 15일
3.6.1. 1경기 : 도미니카 6 : 9 멕시코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멕시코 | - | 3 | 0 | 2 | 0 | 1 | 1 | 0 | 2 | 0 | 9 | 14 | 1 | 3 |
도미니카 | - | 0 | 0 | 0 | 0 | 0 | 0 | 0 | 0 | 0 | 6 | 12 | 2 | 4 |
- 승리 :
- 패전 :
- 세이브 :
- 홈런 :
- 결승타 :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막판에 미일양국 덕분에 기사회생한 멕시코.
멕시코는 이 경기를 잡아 2승 3패로 조별 리그를 마무리하고 경우의 수에 직면했다. 만약 베네수엘라가 일본을 이기면 [7] 노답이 되고 일본이 베네수엘라를 이겨주더라도 한국이 미국을 이기면 셋이 2승 3패로 동률이 되고 승자승에서도 1승 1패로 서로 물고 물리기 때문에 세 팀 간의 TQB를 따져봐야 하는데 단순 득실차만 따지고 보더라도 멕시코가 미국에게 0:10으로 깨진지라 TQB가 낮을 것이기 때문에 타이중 참사 때의 한국과 비슷한 상황이 오게 된다. 따라서 멕시코는 일본이 베네수엘라를 잡아주고 미국이 한국을 잡아주기를 바라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3.6.2. 2경기 : 일본 6 : 5 베네수엘라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R | H | E | B |
베네수엘라 | - | 1 | 0 | 0 | 2 | 0 | 0 | 0 | 0 | 2 | 5 | 12 | 0 | 4 |
일본 | - | 0 | 1 | 0 | 1 | 0 | 0 | 0 | 2 | 2X | 6 | 9 | 0 | 5 |
- 승리 :
- 패전 :
- 세이브 :
- 홈런 :
- 결승타 :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3.6.3. 3경기 : 대한민국 2 : 3 미국
팀 | 선발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R | H | E |
미국 | 지크 스프루일[8] | 0 | 0 | 0 | 0 | 2 | 0 | 0 | 0 | 0 | 1 | 3 | 7 | 1 |
대한민국 | 김광현 | 0 | 0 | 0 | 0 | 0 | 0 | 2 | 0 | 0 | 0 | 2 | 6 | 0 |
WBSC 공식 하이라이트 |
훈련 도중에 오른쪽 엄지발가락 통증을 느낀 박병호가 라인업에 빠지고, 그 대신 5번 타순에 양의지가 들어갔다. 1루수를 맡기 위해 오재원이 들어갔고, 유격수는 김상수가 들어갔다. 참고로 이 3명 모두 이 대회에서 첫 선발 출장이다.
선발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타순 | 포지션 | 선수명 |
1 | 2루수 | 정근우 |
2 | 중견수 | 이용규 |
3 | 좌익수 | 김현수 |
4 | 지명타자 | 이대호 |
5 | 포수 | 양의지 |
6 | 1루수 | 오재원[11] |
7 | 우익수 | 민병헌 |
8 | 3루수 | 황재균 |
9 | 유격수 | 김상수 |
선발 | 김광현 |
[1] 승자승으로 판별할 수 없는 같은 승률, 같은 TQB 값의 세 팀(A>B>C>A)이 있다고 하자. 이 중 A를 제외한 두 팀, B와 C만 같은 ER-TQB 값을 가지게 될 경우 이 두 팀의 상•하위는 팀타율 대신 승자승으로 정한다. A가 두 팀보다 높은 ER-TQB 값을 가질 경우 순위는 A>B>C, 낮은 ER-TQB 값을 가질 경우 B>C>A가 된다.[2] 연장, 콜드, 홈팀 리드시 9회말 소멸 등의 이유로 모든 팀의 공격이닝 또는 수비이닝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득실차를 적용할 수 없다.[3] 4회에 균형을 맞추는 투런홈런 , 5회에 결승타가 된 2타점 2루타를 치고 도루까지 시도하여 투수 처치의 악송구로 득점. 그리고 7회에는 1사 1-3루에서 번트안타로 타점을 올렸다.[4] 다만 히메네스는 2014 전반기 한국을 폭격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듯 실력 없는 타자는 아니다. 멘탈 및 워크에씩의 문제. 그런데 무릎이 다 나았으니 KBO에서 다시 뛰고 싶단다.[5] 물론 이용규는 급체로 인해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6] 중남미와 미국 팀의 메이저리거들이 참전하면 이야기가 전혀 달라지겠지만, WBSC 프리미어에서는 메이저리거 빼고 다 데려온 일본 드림팀 선수들의 이름값이 가장 높다.[7] 설령 한국이 미국을 잡아 미국과 2승 3패로 동률이 되더라도 승자승에서 밀리기 때문에......[8] 이 대회 종료 후 지크 스프루일은 KIA 타이거즈와 계약했다.[9] 승부치기에선 투수의 승패가 기록되지 않는다.[10] 승부치기에선 투수의 승패가 기록되지 않는다.[11] 박병호의 라인업 제외로 1루수 커버를 위해 오재원이 투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