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15:27:12

1991 유러피언컵 결승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1990-91 유러피언컵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ord-break: keep-all;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5e5e5
1956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7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8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59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0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1 BEN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2 BEN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3 MIL
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
1964 INT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65 INT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66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7 CEL
파일:셀틱 FC 로고(1965~1977).svg
1968 MUN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1967~1968).svg
1969 MIL
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
1970 FEY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1960~1973).svg
1971 AJA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72 AJA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73 AJA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74 BAY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5 BAY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6 BAY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977 유러피언컵 결승전|1977 {{{#!wiki style="display: inline; letter-spacing: 0.5pt"]]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골드).svg
[[1978 유러피언컵 결승전|1978 {{{#!wiki style="display: inline; letter-spacing: 0.5pt"]]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골드).svg
1979 NFO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1974~2000, 화이트).svg
1980 NFO
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1974~2000, 화이트).svg
[[1981 유러피언컵 결승전|1981 {{{#!wiki style="display: inline; letter-spacing: 0.5pt"]]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골드).svg
1982 AVL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1973~1987).svg
1983 HSV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1984 유러피언컵 결승전|1984 {{{#!wiki style="display: inline; letter-spacing: 0.5pt"]]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골드).svg
1985 JUV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 하얀 배경).svg
1986 CSA
파일: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로고(1972~1991).svg
1987 POR
파일:FC 포르투 로고(1986~1995).svg
1988 PSV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1982~1990).svg
1989 MIL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90 MIL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91 ZVE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1992 BAR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93 MAR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1972~1993).svg
1994 MIL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95 AJA
파일:AFC 아약스 로고(1991~2025).svg
1996 JUV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7 BVB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1998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97~2001).svg
1999 MUN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0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97~2001).svg
2001 BAY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96~2002).svg
2002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03 MIL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4 POR
파일:FC 포르투 로고(2002~2010).svg
[[2005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2005 {{{#!wiki style="display: inline; letter-spacing: 0.5pt"]]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06 BAR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07 MIL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8 MUN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9 BAR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0 INT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14~2021).svg
2011 BAR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2 CHE
파일:첼시 FC 로고.svg
2013 BAY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4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5 BAR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016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7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8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19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2019 {{{#!wiki style="display: inline; letter-spacing: 0.5pt"]]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20 BAY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17~2024).svg
2021 CHE
파일:첼시 FC 로고.svg
2022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23 MCI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2024 RMA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025 PS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2026 미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2027 미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2028 미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2029 미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2030 미정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유러피언컵 결승전
1990
1990-91
바리
1992
웸블리
파일:1991 유러피언컵 결승전 표지.jpg
European Cup Final Bari 1991

1. 개요2. 진출 팀3. 경기 전4. 선발 라인업5. 경기 내용6. 경기 후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1991년 5월 29일 이탈리아 바리에 위치한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간의 서른여섯 번째 유러피언컵 결승전이다.

츠르베나 즈베즈다[1]와 마르세유 모두 처음으로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했다.

우승 팀은 1990-91 시즌 유러피언컵위너스컵의 우승 팀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 1991 UEFA 슈퍼컵 경기를 갖게 될 예정이다.

이 경기의 주심은 이탈리아 국적의 툴리오 라네세(Tullio Lanese)가 담당했다. 경기는 약 51,587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2. 진출 팀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1972~1993).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1.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류프코 페트로비치 감독이 이끄는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1라운드에서 스위스의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를 상대로 홈에서 1-1 무승부, 원정에서 4-1 승리로 합산 5-2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에서는 스코틀랜드의 레인저스 FC를 상대로 홈에서 3-0 승리, 원정에서 1-1 무승부로 합산 4-1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동독의 SG 디나모 드레스덴을 상대로 홈에서 3-0 승리, 원정에서도 앞서나가던 중 독일 팬들의 소요 사태로 경기가 중단되어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몰수승이 선언되어 합산 6-0으로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서독의 FC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원정에서 2-1 승리, 홈에서 2-2 무승부로 합산 4-3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이로써 1966년 결승 이후 25년 만에 유고슬라비아 팀이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했다.

2.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레몽 후탈스 감독이 이끄는 마르세유는 1라운드에서 알바니아의 디나모 티라나를 상대로 홈에서 5-1 승리, 원정에서 0-0 무승부로 합산 5-1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에서는 폴란드의 레흐 포즈난을 상대로 원정에서 1-3 패배, 홈에서 6-1 대승을 거두며 합산 7-4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디펜딩 챔피언 AC 밀란을 상대로 원정에서 1-1 무승부, 홈에서 경기 종료 직전 밀란이 조명 고장을 이유로 경기장을 떠나 몰수패 처리되어 합산 3-1로 마르세유가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소련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상대로 원정에서 3-1 승리, 홈에서 2-1 승리로 합산 5-2로 결승에 진출했다.

2.3. Road to the Final

''''''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즈베즈다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1972~1993).svg 마르세유
대진 합계 1차전 2차전 녹아웃 대진 합계 1차전 2차전
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 그라스호퍼 5:2 1:1 (홈) 4:1 (원정) 1라운드 파일:FS 디나모 티라나 로고.svg 디나모 티라나 5:1 5:1 (홈) 0:0 (원정)
파일:레인저스 FC 로고(1968~1991).svg 레인저스 4:1 3:0 (홈) 1:1 (원정) 2라운드 파일:레흐 포즈난 로고(1957~1994).svg 레흐 포즈난 8:4 2:3 (원정) 6:1 (홈)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1990~2002).svg 디나모 드레스덴 6:0 3:0 (홈) 3:0 (원정)
(몰수승)
[1]
준준결승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밀란 4:1 1:1 (원정) 3:0 (홈)
(몰수승)
[2]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바이에른 뮌헨 4:3 2:1 (원정) 2:2 (홈) 준결승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1959~1997).svg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5:2 3:1 (원정) 2:1 (홈)
5승 3무 0패 (19득점 6실점) 합계 성적 5승 2무 1패 (22득점 8실점)
◀ 1989-90 결승 ▶ 1991-92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후반 23분에 디나모 드레스덴 관중의 폭동으로 경기가 중단, 2-1로 앞서고 있던 츠르베나 즈베즈다에게 3-0 몰수승이 주어졌다.[2] 후반 추가시간때 경기장 조명이 꺼지는 소동이 일어났고, 곧바로 조명이 켜졌지만 AC 밀란이 경기를 계속하기는 것을 거부하여 1-0으로 앞서고 있던 마르세유에게 3-0 몰수승이 주어졌다.

3. 경기 전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경기 6일 전인 5월 23일 이례적으로 일찍 이탈리아에 도착했다. 팀은 바리에서 40km 떨어진 모노폴리 마을에 본부를 설치하고, 선수들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준격리 상태에서 준비했다. 부인과 여자친구들과 분리되었고, 호텔 방에서 걸려오는 전화는 받을 수 없었지만 밖으로 전화를 걸 수는 있었다.

클럽은 팀의 전설적인 선수들과 친구들을 바리로 초대해 응원하도록 했다. 라이코 미티치, 드라고슬라브 셰쿨라라츠 등 전 선수들과 미샤 파비치 전 감독, 그리고 여러 세르비아 유명인사들이 이탈리아를 방문했다.

4. 선발 라인업

이름 비고 이름 비고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스테반 스토야노비치 GK, 파일:주장 아이콘.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스칼 올메타 GK
블라디미르 유고비치 LM 마누엘 아모로스 RWB
슬로보단 마로비치 LB, 61' ⚠️ 에릭 디메코 LWB, 112' ↓
레피크 샤바나조비치 RB 바질 볼리 CB, 28' ⚠️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 CB 카를루스 모제르 CB
일리야 나이도스키 CB 브뤼노 제르맹 CM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 CM 베르나르 카소니 CB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CM, 40' ⚠️ 크리스 워들 RW
다르코 판체프 CF 장피에르 파팽 CF, 파일:주장 아이콘.svg
데얀 사비체비치 RM, 84' ↓ 아베디 펠레 LW
드라기샤 비니치 CF, 26' ⚠️ 로랑 푸르니에 CM, 75' ↓
교체 선수 교체 선수
밀리치 요바노비치 GK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112' ↑
이비차 몸칠로비치 MF 필리프 베르크뤼세 75' ↑
라데 토시치 DF 장 티가나 MF
블라다 스토시치 84' ↑ 에릭 뮈라 DF
블라단 루키치 FW 알랭 카사노바 GK
감독 감독
류프코 페트로비치 레몽 후탈스

5. 경기 내용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1990-91 유러피언컵 결승
1991년 5월 29일 수요일 20:15 (CEST)
대한민국 표준시 1991년 5월 30일 목요일 03:15 (CEST+7)
'''
스타디오 산 니콜라 (바리)
주심: 툴리오 라네세 (이탈리아)
관중: 51,587명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파일:trophy_front_full.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1972~1993).svg
즈베즈다 마르세유
감독: 류프코 페트로비치 감독: 레몽 후탈스
0 0
- 파일:득점 아이콘.svg -
-
◀ 1990 유러피언컵 결승전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 1992 유러피언컵 결승전
승부차기
즈베즈다 5 : 3 마르세유
선축
(GK: 스테반 스토야노비치)
후축
(GK: 파스칼 올메타)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1 파일:승부차기 실패 아이콘.svg 마누엘 아모로스
드라기샤 비니치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2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베르나르 카소니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3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장피에르 파팽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4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카를루스 모제르
다르코 판체프 파일:승부차기 성공 아이콘.svg 5 - -


바리의 산 니콜라 경기장에서는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데얀 사비체비치,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와 마르세유의 장피에르 파팽[2] 등 양 팀의 핵심 선수들이 맞붙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경기는 매우 지루했다. 양 팀 모두 수비적인 전술을 구사하며 위험을 감수하지 않았고, 승부차기를 염두에 둔 경기 운영을 펼쳤다. 정규 시간과 연장전이 모두 0-0으로 끝나 결국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리게 되었다.

승부차기에서 마르세유의 첫 번째 키커 마누엘 아모로스의 슛을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골키퍼 스테반 스토야노비치가 막아냈고, 이후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키커들은 모두 성공했다. 다르코 판체프의 마지막 키커 성공으로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5-3으로 승부차기를 이기고 구단 역사상 첫 유러피언컵 우승을 차지했다.

6. 경기 후

이 경기로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동유럽 최후의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이 되었다. 다만 불운하게도 즈베즈다는 얼마 안가 벌어진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영향으로 그 다음 시즌에 참가한 유러피언컵에서 UC 삼프도리아와의 경쟁끝에 2연속 결승전 진출에 실패하였고, 전쟁의 영향으로 챔피언스 리그 참가는 물론 리그마저 쪼개지며 핵심 선수들이 줄줄이 해외로 팔려나가는 비극을 겪고 말았다.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우승 직후 데얀 사비체비치[3],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4], 다르코 판체프[5], 블라디미르 유고비치[6], 시니샤 미하일로비치[7] 등 핵심 선수들이 대거 유럽 명문 클럽으로 이적했다.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 인해 이 팀이 구축한 강력한 선수단은 해체되었고, 이후 그들이 이룬 업적에 비견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마르세유는 이후 1993년 결승전에서 AC 밀란을 상대로 1-0으로 승리하며 프랑스 클럽 최초로 UEFA 챔피언스 리그를 제패했다. 하지만 그 이후 국내 리그 승부 조작 스캔들에 연루되어 다음 시즌 유럽 대회 참가 자격이 박탈되는 불명예를 겪었다.

7. 여담

이 경기는 밀라노로마가 아닌 이탈리아의 도시에서 열린 최초의 유러피언컵 결승전이었다.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핵심 멤버들은 대부분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에서 뛰었고, 1990년 월드컵 8강 진출에 기여했다.

마르세유의 선발 명단에는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전설이자 훗날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감독이 되는 드라간 스토이코비치가 벤치 멤버로 포함되어 있었다.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 인해 다음 시즌에 UEFA 슈퍼컵인터컨티넨탈컵 경기를 치를 때 "유고슬라비아의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아닌 "유럽의 츠르베나 즈베즈다"로 불렸다.

8. 둘러보기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올화이트).sv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역대 경기
1990-91 1991 유러피언컵 결승전
1992-93 1993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2017-18 2018 UEFA 유로파 리그 결승전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97D6,#0097D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1e2d,#DDD
<colbgcolor=#0097D6><colcolor=#fff> 산하
스포츠단
<colbgcolor=#fff><colcolor=#0097D6> 축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스쿼드/간략)
역사와 문화 역사 역사 · 역대 감독(1~40 | 41~80 | 81~현재)
역대 시즌 2023-24/리그 · 2024-25/리그 · 2025-26/리그
유명 경기 1991 유러피언컵 결승전 · 1993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 2018 UEFA 유로파 리그 결승전
기록 리그 1
9회
1936-37, 1947-48, 1970-71, 1971-72, 1988-89, 1989-90, 1990-91, 1991-92, 2009-10
쿠프 드 프랑스
10회
1923-24, 1925-26, 1926-27, 1934-35, 1937-38, 1942-43, 1968-69, 1971-72, 1975-76, 1988-89
트로페 데 샹피옹
3회
1971, 2010, 2011
UEFA 챔피언스리그
1회
파일:UEFA 챔피언스리그 트로피.png
1992-93
관련 상식 더비 매치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르 클라시크
구단 시설 경기장 오렌지 벨로드롬
}}}}}}}}}}}}}}} ||

[1]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로 유명하다[2] 이후 발롱도르 수상자[3] AC 밀란[4] 레알 마드리드[5] 인테르 밀란[6] 삼프도리아[7] 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