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해상사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년대 이전 ] {{{#!wiki style="margin: -5px 0" | <rowcolor=#fff>발생일 | 사건명 | 종류 | 원인 | 사망 | 국외 |
1953년 1월 9일 | 창경호 침몰 사고 | 운항중 침몰 | 불명 | 330명 | ||
1956년 1월 12일 | 태신호 화재 | 화재 | 65명 | |||
1963년 1월 18일 | 연호 침몰 사건 | 운항중 침몰 | 과적 | 140명 | ||
1970년 12월 5일 | 남영호 침몰사고 | 운항중 침몰 | 과적 | 326명 | ||
1974년 2월 22일 | YTL30호 침몰 사건 | 선체 전복 | 과적 | 159명 | ||
1976년 10월 28일 ~ 11월 4일 | 대화퇴 해상 집단 조난 사고 | 선체 전복 | 악천후 | 317명 | ||
1986년 11월 26일 | 카페리2호 전복 사고 | 선체 전복 | 과적 | 12명[1] | ||
1987년 6월 16일 |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 화재 | 26명[2] |
}}}
}}}
- [ 199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사건명 종류 원인 사망 국외 1993년 10월 10일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운항중 침몰 과적 292명 1995년 씨 프린스호 좌초사고 암초 충돌 충돌 0명
- [ 200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사건명 종류 원인 사망 국외 2007년 4월 12일 코비5호 고래 충돌 사고 선체 충돌 충돌 1명 2007년 12월 7일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선박 간 충돌 · 원유 유출 기상 악화 0명
- [ 201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 [ 202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사건명 종류 원인 사망 국외 2020년 3월 4일 307해양호 침몰 사고 선박 침몰 화재 6명 2020년 11월 14일 소연평도 해상 어선 전복 사고 운항중 전복 2명[11] 2020년 12월 29일 32명민호 침몰 사고 운항중 전복 6명[12] 2021년 1월 23일 127대양호 침몰 사고 선박 침수 1먕[13] 2021년 2월 19일 거룡호 침몰 사고 운항중 전복 파도로 의한 전복(추정) 1명[14] 2021년 10월 20일 제11일진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풍랑으로 인한 전복 2명[15] 2023년 2월 4일 청보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5명[16] 2024년 2월 15일 금양 6호 침몰 사고 선체 전복 불명 0명 2024년 3월 9일 욕지도 해상 어선 연쇄 사고 선박 전복 불명 4명[17] 2024년 3월 14일 욕지도 해상 어선 연쇄 사고 선박 침몰 불명 4명 2024년 3월 20일 시모노세키 수송선 전복 사고 선체 전복 불명 9명[18] 2024년 9월 16일 77대령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3명 2024년 11월 8일 제135금성호 침몰 사고 선체 전복 과적(추정) 9명[19] 2024년 12월 9일 금광호-태천2호 충돌사고 선체 충돌 선체 충돌로 인한 전복 7명[20] 2024년 12월 30일 서해호 침몰 사고 선체 전복 4명[21] 2025년 1월 4일 가거도 해상 낚싯배 전복 사고 선체 전복 3명 2025년 2월 1일 삼광호-33만선호 좌초 사고 좌초 2명[22] 2025년 2월 3일 136다누리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0명 2025년 2월 9일 제22서경호 침몰 사고 선체 침몰 5명[23] 2025년 2월 12일 2066 재성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2명[24] 2025년 2월 13일 제2022신방주호 화재 사고 화재 5명[25]
<colcolor=#fff> 136다누리호 전복 사고 | ||
<colbgcolor=#bc002d> 발생일 | 2025년 2월 3일 | |
발생 위치 | 중화민국 북동방 약 98해리 해상 | |
유형 | 전복 | |
탑승 인원 | 10명 | |
인명피해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실종 | 0명 |
생존자 | 탑승자 10명 전원 생존 | |
사망 | 0명 |
1. 개요
2025년 2월 3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서방 약 833km, 대만 북동방 약 98해리 부근에서 어선 '136다누리호'가 전복된 사건. 다행히 선원 10명 모두 구조되었다.
2. 경과
3일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0시 14분쯤 서귀포 남서방 약 833㎞ 해상에서 제주 선적 선박이 전복됐다는 소식이 팩스를 통해 접수됐다. 해당 선박 승선원 10명 중 현재 4명이 구조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대만 해상수색본부(RCC)에서 국제 공동대응 요청이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해경은 중국과 일본, 대만 해경에 구조 협조를 요청해 136다누리호에 승선한 10명 모두를 구조했다고 밝혔다. #
2025년 7월, 어느 한국인이 일본 미야코지마에 프리 다이빙 투어를 가서 해당 선박을 발견하였다. 난파선 다누리호가 대만해협에서 해류를 타고 오키나와까지 갔던 것이다.# 그리고 해당 선박에서 외국인 선원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분증과 현금이 든 지갑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다. 영상 촬영자는 처음에는 함부로 만지면 안 될 것 같아 그 자리에 두고 왔지만, 고민 끝에 한국으로 귀국한 후 현지 다이버의 도움으로 지갑을 다시 받았고 안의 신분증을 단서로 실제 주인에게 지갑을 돌려줄 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