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21:44:38

씨 프린스호 좌초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external/db.kookje.co.kr/L20100723.22002213318i1.jpg

1. 개요2. 사건 상황3. 피해 및 사고 수습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1]

1995년 7월 23일 14시 20분 경 전라남도 여천군(현 여수시) 남면 소리도 앞에서 호남정유(현 GS칼텍스)의 키프로스 선적 14만톤급 유조선 씨 프린스호가 암초에 부딪혀 침몰하면서 5천여 톤의 벙커A/C유와 원유가 유출된 사고이다.
M/T SEA PRINCE
IMO: 8903985
선종 유조선
선적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운영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호남정유
건조사 파일:일본 국기.svg 히타치조센(日立造船) 아리아케 조선소
취역 1990년 4월 26일
총톤수 (GT) 144,567톤
중량톤수 (DWT) 275,489톤
전장 326.20 m
흘수 20.48 m
주기관 1x Hitachi MAN B&W 6S80MC 디젤 엔진
23,090 b.h.p.
순항속도 14노트

2. 사건 상황

씨 프린스 호는 1990년 5월 일본 히타치 조선에서 건조한 144,567톤급의 단일 선체 유조선으로, 길이가 326m, 너비가 56m, 높이가 28m이다. 사고 당시 시프린스는 키프로스 국적으로, 호유해운에서 용선하고 있었다. 선적정보1 선적정보2

씨프린스 호는 원유 61만 배럴(97,000㎘, 약 85,000톤)을 싣고 7월 22일 18시에 광양만을 출발하여 서해안으로 항해하다가 7월 23일 14시 20분경 전남 여천군 남면 소리도 북동쪽 1.5 km 해상에서 암초에 좌초했는데 제3호 태풍 페이가 상륙하기 전날이었다.

보도에 의하면, 시프린스 호는 23일 14시 5분경에 소리도 인근에서 좌초되었다고 무선으로 보고하였고, 좌초를 벗어나려 기관을 조작 중 엔진에 불이 붙었다고 한다. 17시 30분 이후 폭발음이 들린 후에 배 뒷부분이 침수되었다. 화재는 24일 19시경에 진화되었다.

3. 피해 및 사고 수습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5072105175030003200-004.gif

씨 프린스 호의 승무원 20명 중 19명이 소리도로 피신하였고, 1명이 실종되었으며, 집계상 모두 5천여 톤의 벙커A/C유와 원유가 유출되었다. 게다가 사고가 발생했던 씨프린스호는 1993년에 이중 선체 유조선 규정보다 3년 전인 1990년에 일본 히타치 조선이 건조한 선령이 좀 되는 선박으로 이중 선체가 아니었기에 사고에 더더욱 취약했다.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120척의 함정이, 기름을 옮겨 싣기 위해 13만톤급 유조선인 호남 다이아몬드호가 동원되었다. 8월 8일의 작업에서 원유 19,000톤이 옮겨졌다.[2] 하지만, 기상 악화로 작업은 9일부터 중단되었다. 8월말에는 태풍 제니스의 영향으로 선체의 위치가 바뀌었고, 원유를 옮기는 순서가 논란이 되어 작업이 지연되었다.

당시 전남 여천군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유출사고 피해는 231건, 3295㏊, 204km의 해상과 73km의 해안을 오염시켰다. 여수 소리도 주민과 환경단체는 10년이 지난 2005년에도 잔존 유분이 발견되고, 어족자원이 감소했다고 주장하였다.[3]

1996년 1월 31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열린 공판에서 선장에는 징역 1년이, 호유해운에는 벌금 3천만 원이 선고되었다.

1996년 5월 6일, 피해 어민들은 국제유류오염피해보상기금(IOPC FUND, internal Oil Pollution Compensation Fund)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였고, 1997년 6월 5일, IOPC 기금 측은 어민들에 102억여 원을 보상하기로 합의하였다.[4]

4. 여담

사고 선박은 11월 26일에 인양되었고 그 과정에서 가라앉은 엔진은 12월 18일에 인양되었다. 그 후 씨 프린스호는 필리핀으로 예인되어 선체 수리를 위해 필리핀 수비크 만 앞바다에서 머무르던 중에 악천후로 12월 24일 침몰되었다.

사고 7년 뒤인 2002년에야 백서가 발간되었는데, 이는 씨프린스호 침몰 6주년 당시 시민단체와 언론의 현장답사 결과 해상에 기름 잔량이 발견되어 국정감사 때 사고 뒷처리 문제가 제기돼서야 나온 것이다.

5.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해상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년대 이전 ]
{{{#!wiki style="margin: -5px 0"
<rowcolor=#fff>발생일사건명종류원인사망국외
1953년 1월 9일 창경호 침몰 사고 운항중 침몰 불명 330명
1956년 1월 12일 태신호 화재 화재 65명
1963년 1월 18일 연호 침몰 사건 운항중 침몰 과적 140명
1970년 12월 5일 남영호 침몰사고 운항중 침몰 과적 326명
1974년 2월 22일 YTL30호 침몰 사건 선체 전복 과적 159명
1976년 10월 28일 ~ 11월 4일 대화퇴 해상 집단 조난 사고 선체 전복 악천후 317명
1986년 11월 26일 카페리2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과적 12명[1]
1987년 6월 16일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화재 26명[2]
}}}
}}}
}}}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사건명종류원인사망국외
1993년 10월 10일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운항중 침몰 과적 292명
1995년 씨 프린스호 좌초사고 암초 충돌 충돌 0명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사건명종류원인사망국외
2007년 4월 12일 코비5호 고래 충돌 사고 선체 충돌 충돌 1명
2007년 12월 7일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선박 간 충돌 · 원유 유출 기상 악화 0명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사건명종류원인사망국외
2011년 4월 6일 오하마나호 정전 표류 사건 정전 0명
2011년 9월 6일 설봉호 화재 사고 화재 0명
2011년 12월 14일 퍼시픽 캐리어호-현대 컨피던스호 충돌사고 선박간 충돌 충돌 0명
2013년 3월 4일 대광호-오션US호 충돌 사고 선박간 충돌 충돌 0명[3]
2013년 7월 18일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참사 익사 사고 안전 부실 5명
2013년 11월 8일 흥아 드라곤호-엘레니호 충돌사고 선박간 출동 충돌 0명 파일:black_circle.jpg
2013년 12월 29일 그래비티 하이웨이호-마리타임 메이지호 충돌사고 선박간 충돌 충돌 0명
2014년 3월 24일 성일호 화재 사고 화재 6명[4]
2014년 4월 16일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운항중 침몰 선체 결함 · 정비 불량 · 화물의 과적 · 고박 불량 299명[5]
2014년 7월 17일 한양 에이스호 폭발사고(1차) 선체 폭발 페놀로 인한 폭발 0명
2014년 12월 1일 501오룡호 침몰사고 운항중 침몰 기상 악화 27명[6] 파일:black_circle.jpg
2015년 1월 11일 한양 에이스호 폭발사고(2차) 선체 폭발 수소가스로 인한 폭발 0명
2015년 9월 5일 돌고래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기상 악화 15명[7]
2016년 2월 19일 시노코 인천호-토시마루 충돌사고 선체 충돌 충돌
2016년 8월 16일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 선체 폭발 가스로 인한 폭발 3명
2016년 9월 9일 에이와 마루 3호 폭발사고 선체 폭발 1명
2016년 1월 26일 코코몽호 침수 사고 선채 침수 침수 0명
2017년 3월 31일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 운항중 침몰 불명 22명 파일:black_circle.jpg
2017년 12월 3일 선창 1호 전복사고 선체 충돌,선체 전복 선체 충돌 15명
2017년 12월 31일 203현진호 전복 사고 운항중 전복 파도로 인한 전복 2명[8]
2018년 6월 19일 마산함 폭발 사고 탄약 폭발 1명
2018년 12월 2일 구룡포 해상 어선 전복 사고 운항중 전복 파도로 인한 전복 2명
2019년 1월 12일 구룡포 해상 통발어선 화재 사고 운항중 전복 화재 2명[9]
2019년 2월 28일 씨그랜드호 광안대교 추돌 사고 운항중 교각 충돌 선장의 음주 운항(추정) 0명 파일:black_circle.jpg
2019년 9월 28일 스톨트 그로이란드호 폭발 사고 선박 폭발 화학 반응 0명 파일:black_circle.jpg
2019년 11월 19일 대성호 화재 사고 운항중 전복 화재 3명[10]
[ 202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529C><rowcolor=#fff><width=25%>발생일
사건명종류원인사망국외
2020년 3월 4일 307해양호 침몰 사고 선박 침몰 화재 6명
2020년 11월 14일 소연평도 해상 어선 전복 사고 운항중 전복 2명[11]
2020년 12월 29일 32명민호 침몰 사고 운항중 전복 6명[12]
2021년 1월 23일 127대양호 침몰 사고 선박 침수 1명[13]
2021년 2월 19일 거룡호 침몰 사고 운항중 전복 파도로 의한 전복(추정) 1명[14]
2021년 10월 20일 제11일진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풍랑으로 인한 전복 2명[15]
2023년 2월 4일 청보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5명[16]
2024년 2월 15일 금양 6호 침몰 사고 선체 전복 불명 0명
2024년 3월 9일 욕지도 해상 어선 연쇄 사고 선박 전복 불명 4명[17]
2024년 3월 14일 욕지도 해상 어선 연쇄 사고 선박 침몰 불명 4명
2024년 3월 20일 시모노세키 수송선 전복 사고 선체 전복 불명 9명[18]
2024년 9월 16일 77대령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3명
2024년 11월 8일 제135금성호 침몰 사고 선체 전복 과적(추정) 9명[19]
2024년 12월 9일 금광호-태천2호 충돌사고 선체 충돌 선체 충돌로 인한 전복 7명[20]
2024년 12월 30일 서해호 침몰 사고 선체 전복 4명[21]
2025년 1월 4일 가거도 해상 낚싯배 전복 사고 선체 전복 3명
2025년 2월 1일 삼광호-33만선호 좌초 사고 좌초 2명[22]
2025년 2월 3일 136다누리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0명 파일:black_circle.jpg
2025년 2월 9일 제22서경호 침몰 사고 선체 침몰 5명[23]
2025년 2월 12일 2066 재성호 전복 사고 선체 전복 2명[24]
2025년 2월 13일 제2022신방주호 화재 사고 선체 침몰 화재 2명[25]
2025년 11월 19일 퀸제누비아2호 좌초 사고 선박 좌초 운항 책임자과실로 인한 무인도 충돌 0명

[1] 실종 16명[2] 실종 7명[3] 실종 7명[4] 실종 1명[5] 실종 5명[6] 실종 26명[7] 실종 3명[8] 실종 1명[9] 실종자 1명[10] 실종 9명[11] 실종 2명[12] 실종 1명[13] 실종 2명[14] 실종 4명[15] 실종 5명[16] 실종 4명[17] 실종 5명[18] 실종 1명[19] 실종 5명[20] 실종 1명[21] 실종 1명[22] 실종 2명[23] 실종 5명[24] 실종 3명[25] 실종 5명
}}} ||
[1] 해당 다큐는 사고 10년 후인 2005년 10월 19일에 방영하였다.[2] 시프린스호 원유 빼낸 뒤 인양[3] "씨프린스호 유출 추정, 잔존유 발견""[4] 시프린스호 피해보상 일부 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