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화어([ruby(協, ruby=きょう)][ruby(和, ruby=わ)][ruby(語, ruby=ご)]) 대동아어(大東亜語) | 일만어(日満語) | 흥아어(興亜語) | ||
<colcolor=#fff><colbgcolor=#003074> 유형 | 교착어, 피진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서자방향 |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 |
문자 | 가나 (히라카나, 가타카나)・한자 | |
주요 사용 지역 | 舊 만주국 전역 | |
원어민 | 없음[1] | |
계통 | 일본어족 중국어의 피진 |
[clearfix]
1. 개요
일본 제국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건국 초기에 사용되었던 간이 일본어. 흥아어(興亜語), 일만어(日満語), 대동아어(大東亜語) 등으로도 불렀다. 일본어에 중국어의 문법이나 단어가 약간 섞여서 만들어졌다. 언어학적으로 보면 피진어로 볼 수 있다.
급조된 만주국에서 여러 민족 간의 의사소통수단으로서 사용되었으나, 그 후 일본어 우선주의[2]가 세를 얻으면서 점점 그 사용이 축소되었다.[3] 패전과 더불어 만주국이 와해되면서 관련자료 및 연구자료도 유실되어 상세한 내용은 알 수 없게 되었다.
현대 일본의 창작물에서 나타나는, 일본어를 서툴게 사용하는 중국인 말투의 기원을 협화어에서 찾는 주장이 있다. 조사가 생략되며 어미에 '~데스' 대신 '~아루'를 붙여 사용하므로 대부분의 말은 ~네 아루, ~데 아루[4], ~아루요/아루네/아루나 등으로 끝난다. 이것만 따로 아루요코토바(アルヨことば)라고도 한다. 한국에서 ' 우리 살람 xx 한다 해라고 하는 중국인의 말투', 이른바 "왕서방 말투"와 유사하다. 그런고로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99%로 ~해체가 된다. 영미권에서는 칭글리시로 번역되는데 영미권 중에서도 영국에서는 홍콩 영어로 번역되기도 한다. 포르투갈에서는 마카오 포르투갈어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アル가 대체 어디서 나왔는지는 위에서 말했듯 관련 자료가 유실됐지만, 有에서 나왔다는 추측과, 지역이 만주인 만큼 북방민족의 방언인 얼화(er化,儿化)현상에서 나왔다는 추측이 있다. 협화어의 실제 발음이 aru가 아니라 er이었다고 하면 자연스럽게 얼화 어미에 익숙한 북부 중국인과 만주인들의 발음에서 나온 어색한 일본어일 것이므로 제법 설득력이 있다. 게다가 예를들어 アルヨ의 실제 발음은 아루요 보다는 얼-요(er-よ) 였다면, ㄹ 받침이 없는 일본어의 특징상 アルヨ로 표기했을 것이다. 실제로 儿化는 일본어로 アル化라 한다.
음독 자료가 있으니 관심이 있다면 들어보자.
2. 예
협화어: 私日本人アルヨ 와타시 니혼진아루요표준 일본어: 私は日本人ですよ 와타시와 니혼진데스요
해석: 나는 일본인입니다.
협화어: 姑娘[5]綺麗アルネ 쿠냥 키레이아루네
표준 일본어: 娘さんが綺麗ですね 무스메상가 키레이데스네
해석: 따님이 예쁘네요.
협화어: 貴方座るの椅子無いアルヨ 아나타 스와루노 이스 나이아루요
표준 일본어: 貴方の座る椅子が有りません 아나타노 스와루 이스가 아리마셍
해석: 당신이 앉을 의자가 없습니다.
3. 협화어를 쓰는 캐릭터
사실 일본 창작물에서 등장하는 거의 대부분의 중국인 캐릭터가 이 언어를 쓴다고 봐도 된다.- @냥냥 - 마법소녀 육성계획 restart
- 카구라[6] - 은혼
- 고기만두맨 - 날아라 호빵맨
- 김용 - 월드 히어로즈
- 나폴레옹(유희왕) - 유희왕 GX
- 라우 카 롱 - 용과 같이 시리즈
- 레이레이 - 뱀파이어 시리즈
- 렉가(일본판 한정) - 트랜스포머 시리즈
- 리엔 - 금색의 갓슈벨
- 류 웨이 - 쿠로코의 농구
- 샴푸, 주천향 가이드 - 란마 1/2
- 쉔호아 - 블랙 라군[7]
- 아이야 블랙포우 - 하스스톤[8]
- 웨이 화 - 꽃의 안드로이드 학원
- 왕 첸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윈드맨 - 록맨 6
- 젠지 광동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차이나의 레미 - 은하아가씨전설 유나
- 중국 - 헤타리아
- 차이나 호 - 꼭두각시 서커스
- 춘메이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츈 메이유이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쿠라도베리 잼 - 길티기어 시리즈
- 쿠이나 쿠엔 - 파이널 판타지 9
- 쿠페이 - 마법선생 네기마
- 타오 유이파 -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
- 페이탄 - 헌터×헌터 (협화어와 비슷한 말을 하는 캐릭터)
- 메이린(흑집사) - 흑집사
- 마리아 SP - Sdorica[9]
4. 관련 문서
[1] 후술하겠지만 만주국 멸망 이후 사멸하다시피했다.[2] 언어신비주의의 극단적 사례로, 일본어에는 특별한 주술적 힘이 있어서 그것이 일본에 복을 가져다 준다고 여기는 이른바 고토다마(言靈) 신앙을 의미한다. 즉 일본어 자체가 '언령이 깃드는 존엄한 언어'라는 소리.[3] 만주국은 본래 오족협화 사상이라는 것을 모토로 내걸었지만 현실은 일본 제국의 괴뢰국이라 일본의 영향에 놀아날 수밖에 없다.[4] 표준 일본어에서 쓰이는 용법은 だ의 문어체로서 쓰인 것이므로 이쪽과는 전혀 무관한 내용이다. 이때는 히라가나(である)로 표기한다. 다만 협화어가 실제로 쓰였던 1930-40년대에는 공문서에서 가타카나를 쓰긴 했는데, 이때도 공문서 문어체에서는 である 대신 なり(ラ행변격동사 あり에 に가 붙어서 축약된 조동사. 이것이 である로 이어진 것이다.)를 썼기 때문에 혼동의 우려는 없었다.[5] 중국에서는 꾸냥이라고 읽는다.(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구냥) 젊은 미혼 여성이나 딸을 가리키는 말이다. 고모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여기서는 딸이라는 의미. 이제는 자주 쓰이지 않으나 小를 붙이거나 안 붙이고도 자기보다 딱 봐도 자기보다 어려보이는 연하의 여성을 부를 때는 쓴다.[6] 중국인은 아니고 외계인이다.[7] 애니판 한정[8] 일본판 한정. 한국판은 평범하게 발랄한 말투를 쓴다.[9] 원본에서는 평범한 말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