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장교 | |
<colbgcolor=#1e5099>생도 | 사관학교(육군/해군/공군/간호/육군3) | |
후보생 | 학군사관 | 학사사관 | 간부사관 | 전문사관(의무/수의/법무/군종/과학기술) | |
기타 |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기본병과장교 | 특별임관 | 현지임관 | |
폐지 | 갑종간부후보생 | 석사장교 | 군사학교(군사영어/육군종합/호국군/육군2/해군2/공군2/해병) | |
준사관 | ||
후보생 | 기술·행정준사관 | 항공운항준사관 | 항공요격통제준사관 | 항공무기통제준사관 | |
폐지 | 통번역준사관 | |
부사관 | ||
민간/현역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민간부사관(육군/해군/해병/공군) | 학군부사관 |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 육군 특전부사관 | |
현역 | 현역부사관 | 임기제부사관 | |
기타 |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사관학교 퇴교자 | 예비역 병장에서 예비역 하사 임용 | |
폐지 | 을종간부후보생 | 교육대학 병역특례 | 일반하사 | 단기하사 | 금오공고 301학군단 | |
둘러보기: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 }}}}}}}}} |
폐교된 대한민국의 고등교육기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color:#ffffff;" | |
<colbgcolor=#808080> 종합대학 | 광주예술대학교 ''' 이 · 건동대학교 · 경북외국어대학교 · 대구외국어대학교 · 명신대학교 · 서남대학교 이 · 선교청대학교 · 아시아대학교 · 한국국제대학교 † · 한려대학교 이 ''' · 한중대학교 | |
전문대학 | 강원관광대학교 ''' † · 국립세무대학 국 · 동부산대학교 · 대구미래대학교 † · 대전성실전문대학 · 벽성대학 · 서해대학 † ''' · 성화대학 | |
각종학교 | 개혁신학교 ''' † · 한민학교 † ''' | |
사관학교 | 군사영어학교 ''' 국 · 제2사관학교 국 ''' | |
대학원대학 |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 † ·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 서울제일대학원대학교 이 ''' · 인제대학원대학교 | |
외국교육기관 | 네덜란드 물류대학 광양캠퍼스 · 프리드리히-알렉산더대학교 부산캠퍼스 ''' 국 ''' | |
사내대학 | KDB금융대학교 · 현대중공업공과대학 · LH토지주택대학교 | |
· 사내대학은 평생교육시설이나, 대학에 준하는 취급을 받고 있으며 폐교된 평생교육시설이 미비한 관계로 같이 서술한다.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군사영어학교 | 육군제2사관학교 | 해군제2사관학교 | 공군제2사관학교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국군 부대 | ||||
사관학교 |
1. 개요
1970년대~1980년대에 육·해·공군에 존재했던 사관학교.4년제인 정규사관학교와 비교할 때 2년제로 짧아 단기사관학교라고 하기도 했다. 현재는 모두 폐지되었고, 육군 제2사관학교는 1972년에 육군3사관학교로 통합되었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대간첩 작전부대 창설 및 증편으로 정원이 5,844명 증가했으며, 1974년에는 간부정예화계획에 의거 갑종 및 단기사관후보생을 폐지하고 단기사관학교 설치법을 마련하여 육군 제3사관학교 사관생도로 통합하여 모집했다. 이와 함께 해·공군도 1975년에 각각 제2사관학교를 창설하고 생도를 모집했으며, 각 군 사관학교도 모집인원을 2배수로 대폭 확대했다. #
육해공 모두 2사 생도들은 예복 복대 장식을 빨강으로 통일했다.
군사유튜버 '캡틴김상호' 관련 동영상
2. 육군 제2사관학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군3사관학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군3사관학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당시 장교양성에 있어서는 보수과정을 분리시키고, 2년제 단기사관학교로 제도화하기 위하여 1968년 10월 15일 육군 제2사관학교와 제3사관학교를 창설했다. 육군 제2사관학교는 전라남도 광주시에 소재한 육군보병학교를 감편하여 창설하였고, 육군 제3사관학교는 4개 학교(정보, 헌병, 부관, 경리학교)가 있던 경상북도 영천군에서 전후방으로부터 차출된 새로운 창설요원들에 의해서 창설되었다.
육군 제2사관학교와 육군 제3사관학교는 동시에 창설되었지만 육군 제2사관학교는 교육생 수용준비가 늦어지는 바람에 제1기생은 육군 제3사관학교에서만 교육했다. 1969년 3월 18일 육군 제3사관학교의 개교식이 열렸고, 1970년 1월 17일 제3사관학교 1기 생도 771명이 임관하였다. 육군 제2사관학교의 1기라고 칭할 수 있는 제2사관학교 2기 생도들은 같은 해 5월 29일 임관[1]하였다. 1970년 동일한 두 개의 단기사관학교가 있으면 부정적인 요인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이원화하지 말고 하나로 통합할 것을 대통령이 지시함으로써 1972년 4월 26일 교육환경이 열악한 육군 제2사관학교가 제3사관학교에 통합되었다. 육군 제2사관학교는 1972년 2월 25일 6기생을 마지막으로 총 2,724명의 장교를 배출했다.
1971년 7월 16일 2사 및 3사 4기생 임관 관련기사(경향신문)
창설학교의 명칭을 육군 제2·3사관학교라고 명명한 것은 1968년 9월 20일 육군본부 정책회의에서 육군사관학교를 제1사관학교라고 염두에 두고 새로이 창설되는 단기사관학교를 숫자 순에 의하여 명명한 것이었다.
육군단기사관학교령
3. 해군 제2사관학교
해군 제2사관학교는 초급장교의 만성적 부족현상을 해소하고, 우수한 중·단기 복무장교의 확보를 목적으로 1975년 5월 10일 경상남도 진해시의 현 해군전투병과학교 건물에 창설되었다. 교육연한 2년 동안 항해·기관·상륙 3개 병과를 양성, 임관 후 복무연한은 6년이며, 정원은 240명이었다. 해군의 장교양성제도 변경에 따라 1983년 8월 27일 7기생 임관을 마지막으로 교육을 종료했다.※유튜브 제목 오류
해병대는 고졸자를 대상으로 해병학교에서 해병사관후보생으로 모집해 오다가 1973년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면서 해병학교도 해체되자 해병간부후보생(해간)으로 인원을 모집하였다. 해군사관학교와 해군제2사관학교에서도 장교를 공급받았다. #
홍보동영상(1977년 1기생 연안실습) 국방홍보원
1981년 8월 29일 5기생 임관 관련기사(중앙일보)
일부 졸업자는 임관 후 1~2년이 지나고 중위때 육군 3사관학교 학부과정(2년간 교육 후 학사학위 수여)에 편입(1983년~1987년)해 추가 교육을 받고 졸업한 뒤 해군 장교로 실무에 나갈 기회가 있었다.
2013년에 총동문회를 창설했다.
해군2사관학교 총동문회 창설 기념 동영상
3.1. 출신 인물
- 안희수: 해병준장(1기, 1977년 임관, 해사 31기 상당), 해병대교육훈련단장, 계룡대 근무지원단장. 마산고등학교 졸업.
- 김영섭: 해군준장(2기, 1978년 임관, 해사 32기 상당), 해군대학 총장.
- 박승훈: 해병준장(2기, 1978년 임관, 해사 32기 상당), 해병대교육훈련단장.
- 이정: 해군준장(3기, 1979년 임관, 해사 33기 상당), 해군대학 총장.
- 전찬걸: 해군소령. 졸업 및 임관 후 중위때 육군3사 학부과정에 편입해 수료한 것으로 되어 있는 특이 이력 소유자. 경상북도 울진군수.
- 류지영: 해병준장(6기, 1982년 임관, 해사 36기 상당), 국방부 근무지원단장.
- 조돈천: 해군준장(7기, 1983년 임관, 해사 37기 상당), 제118조기경보전대장, 장보고-3사업단장.
- 조동택: 해병준장(7기), 계룡대 근무지원단장,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령관.
소수의 2사 출신들이 장군 및 제독으로 진급했으나, 사실상 준장이 진급 상한선이었다.
4. 공군 제2사관학교
공군 제2사관학교는 정규사관학교 교육을 제외한 조종·정비·관제·통신전자분야의 초급장교 양성을 목적으로 1975년 12월 1일 충청남도 대전시 둔산동, 탄방동에 창설되었다. 현재 대전광역시청 앞 보라매공원 인근이다. 교육은 공군의 초급장교로서 기본수양과 실무장교로서 필요한 전문적 업무수행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표를 두고 실시되었으며, 교육과목은 교양·기초필수·전공 과목으로 나누어 균형있는 교육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1976년 4월 개교 이후 1984년 4월까지 총 1,026명의 공군 장교를 배출했다. 단시일 내에 소정의 초급장교양성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7기생 배출을 끝으로 1984년 4월 30일 폐교되었다.공군2사관학교 기수단
파일:공2사-002.jpg
국군의날 행진
조종 교육
조종간부후보생(조간)은 1971년 조종사관후보생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1976년부터 공군 제2사관학교로 입교를 하였다. 이때부터 10개월이었던 교육기간도 2년으로 늘어났다.# 부대 별칭은 은하대라고 불렸다. 공사는 성무대.
홍보동영상(1981년) 국방홍보원
일부 졸업자는 육군 3사관학교 학부과정(2년간 교육 후 학사학위 수여)에 편입(1983년~1987년)해 추가 교육을 학생장교(중위~대위) 신분으로 받고 졸업하여 실무부대로 나가는 기회가 있었다.
공군제2사관학교 총동문회
1978년 4월 13일 1기생 임관 관련기사(중앙일보)
1979년 4월 20일 2기생 임관 관련기사(중앙일보) 공군 계간지 「공군」 1979년 2호(제166호) 재편집본
1980년 4월 15일 3기생 임관 관련기사(조선일보) 공군 계간지 「공군」 1980년 2호(제169호) 재편집본
1981년 4월 15일 4기생 임관 관련기사(중앙일보)
1982년 4월 15일 5기생 임관 관련기사(중앙일보)
1983년 4월 11일 6기생 임관 관련기사(중앙일보)
1984년 4월 12일 7기생 임관 공군 계간지 「공군」 1984년 2호(제189호) 재편집본
4.1. 출신 인물
- 박현신: 공군 준장(2기, 1979년 임관), 정보통신 특기, 2007년 준장으로 진급, 공군 2사관학교 역사상 최초의 장군 진급자.
- 이진호: 공군 중령(3기). 한국 최초의 시험비행 조종사로 1996년 10월 KT-1 시제기 시험비행 중 캐노피가 떨어져 나가자 여압이 되지 않고 불량한 시야에서도 무사히 사천공항에 착륙한 일화가 유명하다.
- 안재봉: 공군 준장(5기, 1982년 임관, 공사 30기 상당), 공군항공우주전투발전단장
- 김진홍: 공군 소장(6기, 1983년 임관, 공사 31기 상당), 공군방공유도탄사령관. 보급수송 특기에서 방공포병 특기로 이동 출처.
- 박복균: 공군 대령(6기, 1983년 임관, 공사31기 상당).
- 김시연: 공군 대령(6기, 1983년 임관, 공사31기 상당). 군수 특기, 現 충청미래드론교육원 원장
- 유순상: 대통령 전용기 공군1호기 기장(2017년), 출처
2016년 12월에 6기 김진홍 소장이 전역하면서 현재 공군에 남아 있는 2사 출신은 없다.
4.2. 비하인드 스토리
- 육군 제3사관학교가 19기생(1982년 9월 9일 졸업/임관)을 마지막으로 생도과정이 폐지되고 사관후보생과정으로 변경되는 방안이 확정된 시기가 1981년 4월 16일(장교 양성제도 개선시행 지침)이고 이에 따라 사관생도 20기생 모집을 하지 않았고 1983년에 3사 사관후보생 1기생[2] 모집/선발, 입교 및 교육이 시행되었다.
- 같은 시기인 1981년 3월에 공군 제2사관학교 6기생이 모집 및 선발되어 입교하였는데 응시자격이 전문대 졸업자 및 4년제 대학 2학년 이상 수료자로 바뀌어서 아마도 창설된지 6년밖에 안되고 1기생이 이제 막 대위 진급하여 비행단에서 전투기 조종사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시기에 육군 및 해군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2사를 폐교시키지 않고 현재의 육군3사관학교 처럼 3~4학년 편입학 개념의 2년간 사관생도 교육으로 조종사를 계속 양성하려 했던 것이 아닌가 추측할 수 있다.
- 만약 그렇게 발전시켜서 역사를 계속 이어갔다면 1988년 10월에 대전에서 진주로 이전한 공군교육사령부 영내에서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3]와 같이 공군2사관학교가 계속 공군장교를 양성하고 있었을지 모른다.
- 그리고 같은 시기 공군에서는 1979년부터 정부의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에 따라 서울 대방동 공군사관학교 이전을 추진하여 1981년 5월에 현재의 충북 청주로 이전 부지가 채택되고 1983년 3월 착공하여 1985년 12월 21일 대방동(보라매공원)에서 청주 캠퍼스로의 이전이 완료되었다. 1987년 4월에는 캠퍼스 인근에 초등비행훈련을 위해 활주로를 갖춘 별도의 기지인 성무기지를 완공하여 2사가 있던 대전기지(보라매공원(대전))의 212비행대대가 이전 및 예속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