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1 20:51:28

한국국제대학교


폐교된 대한민국의 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color:#ffffff;"
<colbgcolor=#808080> 종합대학 광주예술대학교 '''
· 건동대학교 · 경북외국어대학교 · 대구외국어대학교 · 명신대학교 · 서남대학교
· 선교청대학교 · 아시아대학교 · 한국국제대학교
· 한려대학교
''' · 한중대학교
전문대학 강원관광대학교 '''
· 국립세무대학
· 동부산대학교 · 대구미래대학교
· 대전성실전문대학 · 벽성대학 · 서해대학
''' · 성화대학
각종학교 개혁신학교 '''
· 한민학교
'''
사관학교 군사영어학교 '''
· 제2사관학교
'''
대학원대학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
·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 서울제일대학원대학교
''' · 인제대학원대학교
외국교육기관 네덜란드 물류대학 광양캠퍼스 · 프리드리히-알렉산더대학교 부산캠퍼스 '''
'''
사내대학 KDB금융대학교 · 현대중공업공과대학 · LH토지주택대학교
· 사내대학평생교육시설이나, 대학에 준하는 취급을 받고 있으며 폐교된 평생교육시설이 미비한 관계로 같이 서술한다.
}}}}}}}}} ||
<colcolor=#fff> 한국국제대학교
韓國國際大學校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파일:한국국제대학교 로고.svg
<colbgcolor=#102887> 교훈 성실(誠實), 창의(創意), 봉사(奉仕)
건학정신 창조·실용·국제화 교육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개교 1978년 3월
진주여자실업전문학교
폐교 2023년 8월 31일[1]
설립자 강명찬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동부로 965 (상문리)
법인 재단법인 일선학원

1. 개요
1.1. 연혁1.2. 주변 교통편
2. 대학평가3. 학부 및 대학원
3.1. 학부3.2. 대학원
4. 여담

1. 개요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에 있었던 4년제 사립대학이다. 1977년 학교법인 일선학원이 진주여자실업전문학교로 개교해 여러 번의 개편을 거쳐 2003년 4년제 대학 진주국제대학교로 승격했다.

2008년 재단이 바뀌면서 학교법인 강인학원과 한국국제대학교로 변경되었다. 신 재단은 창원시대형병원을 가진 곳이라 의과대학 유치라는 거창한 목표까지 내걸었었다. # 그러나, 의과대학 유치에 실패하는 등[2]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경영권을 반납하게 된다. 구 재단의 강경모 이사장은 교수채용 비리와 교비 횡령 혐의 등으로 네 차례나 실형을 선고 받은 전력이 있는 인물이기에 노조에서는 강력 반발했으나# 결국 구 재단이 다시 돌아왔다. #

이후 수년간 빠짐없이 재정지원제한 대학에 선정되다가 결국 2023년 7월 파산선고를 받았다. # 폐교 전 학교법인이 파산한 사례는 한려대학교를 운영하던 서호학원에 이어 두 번째로, 학교는 2023년 8월 31일 폐교되었다.[3]

1.1. 연혁

  • 1977년 10월 26일 학교법인 일선학원 설립인가
  • 1978년 5월 4일 진주시 하대동에서[4] 진주여자실업전문학교 개교
  • 1979년 1월 1일 진주여자전문대학 개편인가
  • 1979년 4월 6일 초대학장 강명찬 박사 취임
  • 1980년 9월 13일 진주실업전문대학 교명변경 인가
  • 1989년 12월 8일 진주전문대학 교명변경 인가
  • 1992년 진주시 문산읍으로 이전
  • 2002년 5월 30일 대학개편을 위한 법인 정관변경 인가
  • 2002년 11월 16일 진주국제대학교로 대학 개편 인가
  • 2003년 3월 3일 진주국제대학교 개교
  • 2003년 3월 18일 초대 총장 강경모 박사 취임
  • 2006년 7월 7일 제2대 총장 허남오 박사 취임
  • 2008년 2월 28일 학교법인 제4대 하충식 이사장 취임[5]
  • 2008년 3월 12일 한국국제대학교 교명변경 인가
  • 2008년 3월 18일 제3대 총장 고영진 박사 취임
  • 2011년 2월 1일 제5대 김영식 총장 취임
  • 2013년 6월 14일 제6대 강경신 이사장 취임[6]
  • 2013년 10월 28일 제6대 김태형 총장 취임
  • 2014년 5월 12일 제7대 강경모 이사장 취임
  • 2023년 8월 31일 폐교

1.2. 주변 교통편

신도시인 진주혁신도시(충무공동)에서 택시로는 10분 정도 소요된다. 시내버스는 260번, 280번, 281번, 283번, 380번 시외버스 등이 운행한다.

2. 대학평가

2.1.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파일:한국국제대학교 심볼.svg 한국국제대학교의 역대 대학구조조정 결과
평가명 선정년도 선정결과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2010년 해당 사항 없음(정상)
2011년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 선정
2012년 해당 사항 없음(정상)
대학구조개혁평가 2015년 C등급(정원 7% 감축 조치)
대학기본역량진단 2018년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Ⅱ 선정[불이익]
2019년 학자금대출제한대학 선정[불이익]
2021년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Ⅱ 선정[불이익]
2022년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Ⅱ 선정[불이익]
2023년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Ⅱ 선정[불이익]

2018년 8월 대학기본역량진단에 따라 2019학년도 재정지원제한대학 유형II에 선정되었다. # 이로 인해 학자금 대출 및 국가장학금 전면 제한, 정부 재정 지원 전면 불가의 조치가 내려졌다.

2.2. 폐교

2018년 7월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최악의 평가를 받자 총장이 사퇴하고 오랫동안 총장과 이사장이 부재한 상황에 처해 있었다. # 2018년 평가로 인해 35%의 정원감축 압력까지 받게 되자 위기가 심화되었다. 수치로 따지면 2014학년도까지는 28학과에서 1,118명의 신입생을 모집했지만 이게 계속 줄어서 2019학년도에는 21학과 1학부 664명으로 감축되었다. 충원률은 더 심각해서 2017년도까지는 99.2% 였으나 대학기본역량진단 성적이 나오자 2018년도에는 81%로 떨어졌다. 이후 19년 정원 내 입학자는 283명(정원외 13명 별도)으로 충원률은 42.6%대로 급락했다. 2020학년도는 더 줄어서 600명 이하로 되었지만 수시-정시까지 모집해도 다시 추가모집을 공고하는 상황이었다.

교직원 급여까지 밀려있었고 학내에서는 재단의 퇴진을 요구하고 관선이사 파견과 공영형 사립대학을 주장했다. 이미 이때부터 지역 언론에서는 사실상 폐교 수순으로 가는 게 아니냐는 진단이 나왔다. 상당수 교원과 직원들이 사표를 제출하고 급여삭감, 무급휴직까지 거론될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었다.

2020년 9월, '경남체육대학교'라는 교명으로 체육대학교로 전환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 예체능 계열 대학이면 대학기본역량진단이 면제[12]되는 것을 이용하려는 꼼수였으나 끝내 실패했다.
MBC경남 관련 보도 (2023. 03. 22.) KBS 관련 보도 (2023. 05. 10.) KNN 관련 보도 (2023. 07. 21.)

2023년 3월, 신입생 충원율이 2년째 10%도 되지 않고 학교건물이 단전, 단수돼 정상적인 강의도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학의 등록금 계좌도 압류되어 사실상 파산과 폐교 절차만 남은 상태가 되었다. 체육특기자로 입학한 학생들은 3학년이 되는 순간 경남대학교편입했다. 2023년 5월 3일, 창원지방법원에 학교법인을 상대로 파산신청이 접수되었으며, 이와 별개로 5월 9일부터 2주 넘는 기간 동안 교육부 종합감사가 진행되었다.

2023년 7월 13일 결국 파산선고를 받으면서 폐교가 확정되었으며, 재학중인 1~3학년은 주변의 대학으로 특별편입이 진행되었다. 학교는 2023년 8월 31일을 끝으로 폐교. # 특별편입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자 주변의 대학 학생 자치회에서 한국국제대학교 학생의 편입에 대해서 크게 반대했다. 진주에 있는 대학교는 한국국제대학교를 제외하면 국립인 경상국립대학교와, 진주교육대학교가 있는데, 진주교육대학교는 교육대학이다 보니 애초부터 맞는 학과가 없기에 원칙적으로 특별편입을 할 이유가 없고, 경상국립대학교의 학생 자치회에서 반대 의견을 내놓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13] 다만 경상국립대학교에서 특별편입을 거부하거나 맞는 학과가 없다고 해도 경남 전역이나 부산 등지로 특별편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였다. #[14] 결국 경상국립대 역시 특별편입을 진행하였고 36명이 편입학하였다. #

한국국제대학교를 비롯한 재정 한계 대학에 대하여 국가교육위원회 김태일 위원이 비상 연계 체계를 촉구하기도 했다. 국가교육위 김태일 "지방대학 간호학과 존폐위기, 대학 간 비상 연계 체계 필요해"

3. 학부 및 대학원

폐교 당시 6개 단과대학에 21개 학과로 구성되었다.

3.1. 학부

  • 예술체육대학

3.2. 대학원

  • 일반대학원
  • 특수대학원
    • 보건복지대학원
    • 경영 행정 관광대학원
    • 산업대학원

4. 여담

  • 타 사립대학에 비해 등록금은 저렴한 편이었다. 문과계열의 경우에는 200만원 후반대이고 보건이나 공과계열의 경우 300만 원 중반선이다. 기숙사는 교내에 구관 신관이있는데 학생 수에 비해 수용률이 높은 편이라 들어가기는 쉬운 편이었다.
  • 기독교재단인 만큼 채플이 개설되어 있지만 학교 운영은 종교적인 색채는 없었다. 초교파 학교이지만 신학과나 기독교학과도 없고 교목 초빙을 제외하면 아무 교단과도 큰 교류를 하지않아서 오히려 개신교계에서 인지도가 낮은 편이었다.
  • 한국국제대학교가 점점 몰락하기 시작한 시기가 안양대학교에서 대진성주회에게 매각을 진행한 시기와 맞물렸고 한국국제대학교도 자연스럽게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에게 인수 제의를 하였다. 하지만 수도권에 교세가 몰려있는 예장대신 특성상 교단 내부에서도 회의적인 여론이 컸었고, 안양대 신학생들도 안양시에서 학교생활을 하다가 굳이 진주시로 편입학을 하고 싶지 않아해서 없던 일이 되었다. 그리고 예장대신은 수원시에 신학교를 새로 세워버린다. 만약 인수가 성사되었더라면 한국국제대학교에서도 안양대학교 신학대학 같은 신학대학이 생겨나면서 안양대와 대한신학교 역사를 가지고 다툴 가능성이 높았다.
  • 폐교된 이후 폐건물로 방치되자 많은 도둑들이 학교 내부에 침입하여 고물들을 털어가고 폐교체험을 하러 무단침입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예전에는 깨지지 않았던 교내 유리창들도 많이 깨져있는 상황이다.
  • 다크투어리즘을 다루는 드론 유튜버가 학교 부지와 기숙사를 탐험한 영상을 업로드하였다.# #

[1] 2024년 2월 29일에 폐교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8월 31일로 폐교가 앞당겨졌다.[2] 참고로 신 재단이 운영하는 병원은 한양대학교와 협력을 맺었다.[3] 전국 20번째, 부산·경남 2번째[4] 하대현대아파트 자리.[5] 창원한마음병원 이사장으로 대학경영권을 인수받았다. 인수 후 강인학원으로 법인명도 바꾸었고 이후 대학명 변경 및 의과대학 유치를 내걸었지만 이후 여러 가지 갈등으로 경영권을 다시 돌려줬다.[6] 설립자 일가로 경영권이 다시 돌아왔다.[불이익] 국가장학금 I/II 유형 미지급 학자금 대출 제한 정부재정지원 제한[불이익] [불이익] [불이익] [불이익] [12] 과거 추계예술대학교가 취업율 문제에 발목 잡혀서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걸려서 방침이 이렇게 변경된 것이다. 본디 예술 계열의 대학교는 취업과는 상관없는 곳이다.[13] 과거에도 일부 지방거점국립대 같은 몇몇 대학이 학생들의 수준차이가 크다고 특별편입을 거부한 전례가 있었다.[14] 운동부 중에서는 펜싱부가 경남대학교 소속으로 변경된 것이 확인되었다.[15] 구 경문대학[16] 구 탐라대학교+제주산업정보대학[17] 굳이 공통점을 찾자면 본래 전문대학으로 출발했고, 교명을 한 번 이상 교체했다는 점이 있으며, 세 학교 모두 경영위기대학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