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그룹 더보이즈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주학년 문서 참고하십시오.
학년 구분 |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5학년 | 6학년 |
유치원생 | ||||||
초등학생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5학년 | 6학년 |
중학생 | 1학년 | 2학년 | 3학년 | |||
고등학생 | 1학년 | 2학년 | 3학년 | |||
대학생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 |
1 유치원의 경우 별도로 학년이 존재하지 않는다. |
1. 개요
학년(學年)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1년 동안 발생하는 학습 과정의 단위(School Year)를 가리키는 표현과, 각 단위를 등급별로 구분해놓은 학년(Grade)이 있다. 예를 들어 '학년말 시험'에서 학년은 전자에 해당하며 1학년, 2학년 등 세어나가는 학년은 후자에 해당한다. 학년도와 학년제의 차이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2. School Year
자세한 내용은 학년도 문서 참고하십시오.3. Grade
한국 학년제의 경우 초등학교는 1학년 ~ 6학년, 중학교·고등학교는 1학년 ~ 3학년까지 분류한다. 학점제인 고등교육기관에서도 학년을 따지는데, 전문대학은 1~4학년[1], 대학은 1~5학년[2]까지 분류하게도 하며, 대학원은 석사나 박사 과정에 따라 유동적이다. 현대 한국에서는 상황에 따라 학년이 기수제로 작용하게 되는데, 대학에도 학번제라는 비슷한 문화가 있다. 현대의 한국 사회에서는 대부분 동급생=동갑=친구라는 인식이 강한 실정인데, 당시 입학 및 교육제도에 의한 동급생들의 세는나이(공식적으로는 연 나이)의 차이로 인해서 빠른 생일로 인해 이상하게 존댓말 및 서열 등 문제로 각종 논쟁이 빚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3]. 이러한 사회적 문제 때문에 2009학년도 위무취학 대상자부터 빠른 생일이 폐지되었다.[4] 반면 해외에선 빠른 생일로 존대 문제가 갈리지 않기 때문에 현대의 대한민국을 제외하고는 년도별로 학교를 보내는 국가는 캐나다 외에는 전무하다.[5]일본은 초등교육기관이 소학교이고 4월에 신학기를 시작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한국과 대체로 일치한다. 다만 학기는 3학기제로 한국과 다르다. 또한 위와는 달리 이쪽 뜻의 일본어는 年生(연생, 넨세)다.
미국에선 학교마다 학년제가 다르다. 보통 8-4(5-3-4, 6-2-4, 4-4-4)가 일반적이며, 6-6(6-3-3), 5-4-3 또는 7-5도 일부 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체적인 학년은 1학년(First Grade)부터 12학년(Twelfth Grade)까지로 동일하며, 4년제로 되어있는 학교(특히 고등학교)는 대학처럼 Freshmen, Sophomore, Junior, Senior 같은 단어로 학교 내의 학년을 구분하기도 한다.[6]
중국도 12연급(年级)으로 구분한다. 다만 중국의 경우 한국의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고급중학(高级中学) 3년급을 중국에서도 똑같이 고3(高三. Gāosān : 가오싼)이라고 하는 등, 각급학교 내의 학년을 구분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15시를 오후 3시라 하는 것과도 비슷하다.
학년이 같으면 동급생, 동기, 동창이라 하며, 높으면 선배(또는 형, 오빠, 언니, 누나), 낮으면 후배(또는 동생)라고 표현한다.
초등학생이나 청소년에게 나이를 물어볼 때는, 주로 나이 자체보다는 몇 학년이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같은 청소년들끼리도 나이보단 학년으로 물어보는 경우가 대다수다. 몇 살이냐고 물어봐도 몇 학년으로 대답하기도 한다. 가끔 초등학교 1~2학년은 미취학 아동, 고등학생은 성인과 헷갈릴 수도 있으니 몇 살이라고 물어보는 경우가 생대적으로 많다.
프랑스에서는 특이하게 중학생부터 저학년을 오히려 큰 수로 표기하며
어르신들이 반농담조로 나이의 10의 자리를 학년, 1의 자리를 반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77세인 경우 ‘7학년 7반’ 하는 식으로. 보통 50대부터 쓰나 30~40대들도 쓰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10대나 20대도 쓰는 경우가 있지만 20대는 대학교 학년과 헷갈릴수 있고 10대는 최후배 취급을 받을수도 있고 또는 1학년일 경우에도 반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거의 쓰지 않는다. 그리고 10대~20대에는 모르는 경우가 있다.[9]
4. 관련 문서
[1] 2년제 및 3년제는 예외[2] 대부분 4학년[3] 무엇이든지 연령 및 기수로 계급을 분류하는 군대식 사병 문화[10]가 한국 사회에 정착하면서 이러한 인식이 등장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 원래는 한국에서 동급생=동갑=친구 및 빠른 생일이라는 개념의 인식 자체가 거의 없었다. 나이 차가 5살 발생하는 오성과 한음의 사례를 분석하면, 조선 시대에는 서로의 나이 차이에 상관없이 친구 맺을 수 있는 문화가 활발했었음을 추론할 수 있었고, 이러한 문화는 1960년대까지도 남아있었다. 이 당시에는 높은 영아사망률때문에 출생등록을 늦게하는 경우가 많아 행정등록상 나이가 더 많은 경우가 비일비재하기도 했었고, 중학교도 시험쳐서 들어갔기 때문에 늦깍이 학생들이 많았던 탓이었다.[4] 엄밀히 말하자면 금지(폐지)를 유도한 방식이 아니라 1년 유예하도록 권고하는 방침이다.[5] 1월 입학식 국가들의 경우에 2학기를 기준으로 잡거나 자체적으로 3~4월쯤으로 기준으로 채택한 경우가 많다.[6] 8-4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중학교 학년인) 8학년(Eighth Grade)까지만 수로 표현하고,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학년인) 9학년부터는 4년제 명칭으로 쓰기도 한다.[7] 한국 기준으로는 초등학교 6학년이다.[8] 프랑스는 한국의 초등학교에 해당되는 에콜 프리메로가 5년제인 대신 중학교에 해당하는 꼴레주가 4년이다. 고등학교에 해당되는 리세는 3년.[9] 2022년 당시 세는나이 16살(2007년생)인 아이브의 이서는 그것을 잘 모른다고 발혔다. 만 나이로는 15살이다. 하지만 아는 경우도 있다.TV CHOSUN에서 2020년 초 방송된 프로그램 내일은 미스터트롯에서도 물론 트로트 가수인 홍잠언은 2019년 당시 세는나이 9살(연나이 8세) 12월에 자신을 0학년 9반이라고 표현한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