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4 13:20:52

피아트 마레아

파일:2003 피아트 로고.png
파일:피아트 마레아.png
Marea

1. 개요2. 상세 (Type 185/1996~2007)
2.1. 파워트레인2.2. 브라질 시장 사양
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사인 피아트에서 생산했던 승용차이다.

2. 상세 (Type 185/1996~2007)

파일:1996 피아트 마레아.png 파일:1996 피아트 마레아 위켄드.png
세단 사양 왜건 사양 (마레아 위켄드)

1996년 9월 11일에 처음 출시된 준중형차로, 피아트 브라보와 브라바의 세단 및 왜건 라인업으로 시판되었다. 라인업으로는 세단과 위켄드(Weekend)로 알려진 에스테이트 왜건 사양으로 구성되었다. 피아트 C1 플랫폼을 탑재한 브라보/브라바 라인업 및 피아트 멀티플라 등과 연관이 있었던 차량이었다. 피아트 티포를 기반으로 만든 템프라의 후속 차종이었으며 피아트 아르젠타를 계승한 차량이기도 했다. 세단 차량의 설계는 피아트 중앙 연구소(Centro Stile Fiat) 소속의 마우로 바소(Mauro Basso)가, 위켄드 사양은 안토니오 피오바노(Antonio Piovano)가 담당하였다.
파일:마레아 위켄드 구조도.png
마레아 위켄드의 구조도

출시 초기에는 이탈리아에 위치한 피아트 토리노의 미라피오리 공장 및 피에디몬테산제르마노 지역의 카시노 공장에서 제조되어 수출이 이루어졌지만, 이탈리아 시장 단종 이후부터는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베칭 현지 공장과 튀르키예 부르사 토파쉬 (Tofaş) 현지 공장, 폴란드 티히 공장에서 현지 제조가 이루어졌다. 이들 사양은 해당 시장에서의 판매 및 주변 국가로의 수출을 목적으로 제조되었다. 전륜구동 형태의 차량으로, 세단 사양의 전장은 4,391mm, 전폭은 1,740mm, 전고는 1,420mm, 휠베이스는 2,540mm, 공차중량은 1,085kg~1,385kg이었으며, 위켄드 왜건 사양의 전장은 이보다 긴 4,490mm, 전고는 1,535mm였다.

이탈리아와 폴란드를 포함한 유럽 시장에서는 2002년 8월을 끝으로 생산을 중단하여 브라보/브라바 및 스틸로가 그 자리를 계승했으며, 이후 타 국가 세단 사양은 2007년을 끝으로 리네아에 자리를 물려주고 단종되었다. 위켄드 왜건의 경우에는 2003년 1월에 나온 피아트 스틸로 멀티왜건이 기존에 있던 마레아 위켄드를 대체했으며, 상용 사양인 마렝고 역시 2001년을 끝으로 단종되었다.

2.1. 파워트레인

피아트 마레아 파워트레인 정보(가솔린)
탑재 엔진 최고 출력 비고
<colbgcolor=#ffffff> 1.2L I4 엔진 85마력 -
1.4L I4 엔진 79마력 -
1.6L I4 엔진 102마력 -
1.6L I4 엔진 98마력 -
1.8L I4 엔진 112마력 -
2.0L I5 엔진 153마력 -
2.0L 터보 I5 엔진 180마력 -
피아트 마레아 파워트레인 정보(디젤)
탑재 엔진 최고 출력 비고
<colbgcolor=#ffffff> 1.9L 터보 I4 엔진 74마력 -
1.9L 터보 I4 엔진 99마력 -
1.9L JTD 터보 I4 엔진 104마력 -
1.9L JTD 터보 I4 엔진 108마력 -
2.4L 터보 I5 엔진 124마력 [1]
2.4L JTD 터보 I5 엔진 130마력 [2]

차량의 1.9L 디젤 I4 엔진은 브라보/브라바와 공유했으며, 2,0L 터보 I5 엔진과 같은 경우에는 피아트 쿠페에 탑재된 것과 동일한 엔진이었다. 출시 이후 인기가 많았던 2.4L I5 엔진 사양은 나온 지 1년이 지난 2001년에 단종되었으며, 1.6L I4 엔진에는 CNG/가솔린 사양의 바이 퓨얼 라인업이 추가되기도 했었다.

2.2. 브라질 시장 사양

파일:2001 피아트 마레아 후면부.png
2001년형 마레아의 후면부

브라질 시장 사양은 1998년 6월에 처음 등장했으며 ELX와 HLX 사양 2가지로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세단과 왜건 사양이 모두 판매되었으며 같은 해 9월부터는 초기에 이탈리아에서 수입해 오다 이후 현지 생산으로 변경된 위켄드 왜건이 출시되었다. 기본형 차종인 SX 사양의 가격은 27,582 헤알[3]이었으며, SX 터보 사양의 가격은 41,748 헤알[4] 선에서 판매되었다.

해당 시장에서는 2.0L I5 엔진이 기본 탑재되었으며, 142마력을 냈는데 기본형인 SX 사양에서는 127마력으로 출력이 약간 줄어들었다. [5], 스포티한 2.0L 터보 I5 엔진 역시 탑재되었는데, 해당 엔진은 182마력의 최고 출력을 냈다. 당시 해당 시장에서는 디젤 사양을 판매하지 못했는데, 이는 해당 국가에서 디젤 엔진 차량을 규제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2000년형 차량부터는 2.0L I5 엔진이 2.4L I5 엔진으로 대체되었으며, 최고 162마력의 출력을 냈는데, 이는 ELX/HLX 사양에 탑재되었으며, SX 사양은 132마력의 1.8L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2000년2001년형으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는데, 전면 그릴 및 차량의 후미등을 란치아 리브라와 공유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여기에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파일:2005 피아트 마레아 위켄드.png
2005년형 마레아 위켄드의 후면부

이후 2005년에 판매량 감소를 타개하기 위해 2006년형으로 한 번 더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후면부 및 새로운 그릴, 다른 피아트 차량들과 비슷한 디자인 요소를 갖추게 되었다. 또한 아르헨티나에서 현지 제조된 106마력의 1.6L 가솔린 I4 엔진을 탑재하는 등의 변화를 거쳤다.

현지에서 총 54,781대를 생산했으며, 2007년 11월을 끝으로 단종되었다.

3. 여담

한보그룹 계열의 이탈리아 모터스에서 1997년페라리와 함께 들여오려고 했으며, 2,400만원 선에서 판매하려 했지만, 한보사태로 인해 사정이 어려워지며 결국 무산되었다.

4. 둘러보기

파일:피아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AC2341><colcolor=#fff><rowcolor=#fff> 분류 승용 · SUV · RV · 승합ㆍ레이스상용
20​세기 이전
4 HP-
19​00​년대
6 HP · 8 HP · 10 HP · 12 HP · 16-20 HP · 24-32 HP · 60 HP · 브레베티 · 1-
19​10​년대
제로 · 2B · 70 · 501 · 505-
19​20​년대
510 · 520 · 502 · 519 · 509 · 503 · 507 · 512 · 521 · 525 · 514801804806-
19​30​년대
515 · 522 · 524 · 508 바릴리아 · 518 · 527 · 1500 ·
500(토폴리노) · 2800 · 1100
-
19​50​년대
1400 · 캄파뇰라 · 8V · 600 · 1200 · 500 · 18001100T
19​60​년대
13001500 · 2300 · 850 · 124 · 디노 · 125 · 128 · 130238 · 241 · 242
19​70​년대
127 · 126 · 132 · X1/9 · 131 · 133 · 147 · 리트모 · 스트라다 · 마렝고 · 티포 ·900E/900T · 데일리 · 피오리노
19​80​년대
파노라마 · 판다 · 아르젠타 · 레가타 · 우노 · 크로마 · 듀나두카토 · 탈렌토
19​90​년대
템프라 · 친퀘첸토 · 쿠페 · 푼토 · 바르케타 · 브라보/브라바 · 마레아 ·
팔리오 · 시에나 · 스트라다 · 세이센토 · 물티플라
울리세 · 스쿠도
20​00​년대
도블로 · 스틸로 · 알베아 · 이데아 · 세디치 · 리네아-
20​10​년대
프리몬트 · 오티모/비아지오 · 500X · 토로 · 풀백 · 모비 · 아르고 · 크로노스-
20​20​년대
펄스 · 패스트백 · 토폴리노 · 그란데 판다 · 티타노 · 트리스예정-}}}}}}}}}{{{#!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AC2341><rowcolor=#fff><colcolor=#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초소형​차토폴리노(2세대)-
경​차500e토폴리노(1세대) · 126 ·
친퀘첸토 · 세이첸토(1998~2010)
소형​차크로노스 · 아르고푼토 · 우노 · 600 · 850 · 127 · 듀나 · 오기
· 알베아 · 팔리오 · 펄라 · 리네아 · 시에나
준중형​차티포/에게아501 · 1100 · 1200 · 리트모 · 스트라다해치백 ·
브라보/브라바 · 비아지오/오티모 · 스틸로 ·
레가타 · 템프라 · 124 · 128 · 131 ·
파노라마/마렝고 · 마레아
중형​차-16-20 HP · 브레베티 · 505 ·
1300/1500 · 1400/1900 ·
125 · 132 · 아르젠타 · 크로마(2세대)
준대형​차-510 · 520 · 512 · 515 · 519 · 2800 · 2100 ·
2300 · 1800/2100 · 130 · 크로마(1세대)
스포츠​카-피닌파리나 쿠페 · 124 스파이더 · 쿠페 ·
X1/9 · 바르케타 ·
디노 · 8V
SUV
경형 SUV모비 · 판디나 · 판다-
소형 SUV500X · 펄스 · 패스트백 · 600 · 그란데 판다세디치
준중형 SUV-캄파뇰라
중형 SUV-프리몬트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스트라다 · 토로-
중형 픽업​트럭티타노풀백
MP​V
소형 MPV-600 물티플라 · 피오리노/큐보 ·
이데아 · 500L
준중형 MPV-물티플라
중형 MPV-울리세
대형 MPV트래픽-
상용​차
LAV도블로-
LCV두카토 일렉트릭 · 스쿠도 · 피오리노1100T · 900E/900T · 데일리 · 238 · 242 ·
탈렌토(1989) · 탈렌토(2016)
소형 트럭-241
기타 차량
장갑차-CM6614 · 611
전차C1 아리에테2000 · 3000 · L3/33 · L3/35 · L3/38 ·
L6/40 · M11/39 · M13/40 · M15/42
}}}}}}}}}
}}}
파일:아바스 최신 로고.png



[1] 라틴 아메리카 지역 한정[2] 라틴 아메리카 지역 한정[3] 원화가치 약 670만원[4] 원화가치 약 1,013만원[5] 이는 브라질 내에서 차량 등 공산품에 부과되는 소비세(IPI)를 30%에서 25%로 낮추기 위한 전략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