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주주 | ||
| 프랑스 정부|외국 법인|기타 일본 기업 법인 | |||
| 주요 인물 | |||
| 장도미니크 세나르RNMA 회장|프랑수아 프로보르노 그룹 CEO|이반 에스피노사닛산 자동차 CEO|카토 타카오미쓰비시 자동차 CEO | |||
| 소속사 및 사업부 | |||
| 브랜드 | 르노 그룹 계열 | 르노|알핀|모빌라이즈|다치아 | |
| 닛산 그룹 계열 | 닛산|닛산 모터스포츠 & 커스터마이징|인피니티|베누시아 | ||
| 미쓰비시 그룹 계열 | 미쓰비시|랠리아트 | ||
| 합작사 | 르노 닛산 오토모티브 인디아|NMKV | ||
| 공통 플랫폼 |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의 자동차 플랫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주주 | ||
| 프랑스 정부|닛산|기타 공영 | |||
| 전/현직 주요 인물 | |||
| 장도미니크 세나르RNMA 회장|프랑수아 프로보르노 그룹 CEO|루카 데 메오|카를로스 곤 | |||
| 계열사 및 사업부 | |||
| 브랜드 | 르노|알핀|모빌라이즈|다치아|화청|EV이지 | ||
|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 | 오픈 이노베이션 랩 파리|테크노센터|오픈 이노베이션 랩 실리콘 밸리|오픈 이노베이션 랩 텔아비브 | ||
| 제조사/해외 지사 | 바틸리|소파사|소마카|코르메카니카 SA|르노 아르헨티나|르노 에스파냐|르노코리아|르노 인디아|르노 두 브라질|르노 멕시코|르노 인더스트리 벨기에 SA|르노메드|레보즈|르노 남아프리카 | ||
| 합자회사 | 현재 | 호스 파워트레인|JMEV|오약 르노|르노 닛산 오토모티브 인디아|르노 파스|르노 알제리 | |
| 과거 | 파사-르노|르노 브릴리언스|둥펑 르노|마힌드라 르노|르노삼성 | ||
| 부품 제조사 | 모트리오 | ||
| 마케팅ㆍ전시장 | 르노 클래식|라뜰리에 르노 파리|르노 성수 | ||
| 제조 공장 | 유럽 | ACI 메이지외 공장|두에 공장|바틸리 공장|플린스 리팩토리|모뵈주 공장|르망 공장|알핀 디에프 장 레델레 공장|노보 메스토 공장슬로베니아|팔렌시아 공장스페인|셍 엉드헤 드 류흐 공장|상두빌 공장|바야돌리드 카로체리아 공장스페인|바야돌리드 몬타제 공장스페인|부르사 공장튀르키예|미오베니 공장(다치아)루마니아 | |
| 남미 | 코르도바 공장아르헨티나|쿠리티바 공장브라질|엔비가도 공장콜롬비아 | ||
| 태평양 | 부산 공장대한민국|카사블랑카 공장모로코|오란 공장알제리|탕헤르 공장모로코 | ||
| 소매 | 르노 리테일 그룹 | ||
| 금융 | 모빌라이즈 파이낸셜 서비스 | ||
| 르노삼성자동차의 역대 사장 | ||||
| 장마리 위르티제 | → | 프랑수아 프로보 | → | 박동훈 |
| 르노 그룹의 역대 CEO | ||||
| 루카 데 메오 | → | 프랑수아 프로보 | → | 현직 |
| {{{#fff {{{+1 프랑수아 프로보}}}}}} Francois Provost | |
| | |
| <colbgcolor=#000> 본명 | 프랑수아 프로보 (Francois Provost) |
| 출생 | 1968년([age(1968-01-01)]세) 프랑스 파리 |
| 국적 | |
| 학력 | 에콜 폴리테크닉 대학(1991년) 파리국립광업학교 (1994년) |
| 직위 | 르노 그룹 국제 개발 및 파트너십 SVP(2020~현재) 르노 그룹 최고 조달, 파트너십 및 공보 책임자 (2023~현재) 르노 그룹 CEO(2025~현재) |
| 경력 | 르노 중국 SVP[1](2019~2020) 르노 아태지역 회장/중국 사업 부문 수석 부사장(2017~2019) 둥펑 르노 사장(2016~2017) 한국개인정보보호협의회 부회장(2016.4~?) 르노삼성자동차 3대 사장(2011~2016) 르노 러시아법인 부사장(2010~2011) 글로벌 영업 및 마케팅 전략 기획 담당(2008~2010) 르노-닛산 포르투갈 법인 영업 총괄 (2005~2008) 프랑스 지역본부 판매 총괄(2004~2005) |
| 공직 경력 | 프랑스 국방부 장관 보좌관(1999~2002) 프랑스 재정경제부 재무팀 선임 사무관(1994~1999) |
1. 개요
프랑스 출신의 기업인으로 르노 그룹의 회장이다. 국내에서는 르노삼성자동차의 3대 사장을 역임한 바 있다.2. 생애
1968년에 태어났으며, 프랑스 에콜 폴리테크닉 대학을 1991년에, 파리 국립광업학교를 1994년에 졸업한 후 프랑스 재정경제부에서 공직 생활을 하다가 5년 후에는 국방부 장관 보좌관 자리까지 승승장구한 엘리트 인사였다. 이후 2002년에 공직 생활을 끝내고 르노에 입사하였다.[2] 이후 2003년에 파리의 한 르노 지점에서 월 150대 가량의 차량을 판매해 영업왕에 오르기도 했다. 그로 인해 승승장구하며 2005년에는 프랑스 지역본부 판매 총괄, 2008년에는 글로벌 영업 및 마케팅 전략 기획 담당으로 승진했다.2011년 9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르노삼성자동차의 3대 사장을 맡았으며, 장 마리 위르띠제 사장의 고별 기자회견 때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르노삼성 사장 재직 당시 나이는 43세였다.
“멀리 이곳 부산까지 와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름 다운 이곳에서 유러피안 세단 뉴 SM7 노바를 선보이게 되어 대단히 기쁩니다. 지금 이곳의 멋진 야경을 보시고 감상하셨나요. 내일 시승에서는 SM7이 이렇게 훌륭한 차였나 라고 다시 놀라실 것입니다. 내일 여러분께서 SM7 의 진정한 가치를 재발견하실 차가 여기 있습니다. 바로 뉴 SM7 노바입니다. 르노삼성의 새 프론트 디자인 QM5, SM3 네오를 거쳐 SM7으로 카리스마 넘치는 용모를 갖췄습니다. Better & Different. 내일 시승에서 뉴 SM7 노바의 앞선 차이를 마음껏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저희는 더욱 성장할 것입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여러분께 놀라움을 선사해 드릴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따뜻한 애정과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곳 부산에서 뉴 SM7 노바와 즐거운 시간 보내시기 바라며 풍성한 한가위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M7 노바 출시 당시 한국어로 남긴 인사말
SM7 노바 출시 당시 한국어로 남긴 인사말
전임 위르띠제 사장처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많이 하려는 모습들을 보이기도 했었다. 특히 2015년 SM7 노바 출시 당시에는 한국어로 3분 이상 인사말을 남기기도 했다.[3] 또한, 약속 때를 제외하고는 르노삼성 본사 구내식당에서 밥을 먹었다는 일화도 있었다. 또한 빨리빨리라는 말을 많이 쓰기도 했으며, 김을 즐겨 먹었다는 일화도 있다.
위르띠제 사장처럼 르노삼성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카를로스 곤의 리바이벌 플랜이 진행되던 2014년에 닛산 로그를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물량을 배정받은 적이 있다. 물론, 반대로 르노 그룹사 측면에서 효율화를 위해 르노삼성 QM3를 국내 제조가 아닌 스페인 현지 캡처 제조분을 수입하는 형태로 판매할 것을 주장하기도 했다.
2016년에 명예 부산광역시 시민으로 위촉되었다. 이후 르노와 둥펑자동차의 중국 합자회사인 둥펑 르노의 사장을 재직하기도 했으며, 후임 사장으로는 르노삼성자동차 역대 최초의 한국인 사장인 박동훈 사장이 이어받았다.
2022년부터는 르노 그룹 국제 개발 및 파트너십 SVP 직위를 담당하고 있으며, 홍보부장 자리 등 주요 요직을 담당하다가 2025년 7월 31일 르노 그룹 CEO로 임명되었다. 공직 생활로 시작하다 자동차 산업으로 넘어온 독특한 이력에 르노삼성자동차 자리를 거쳤던 인사 중 최초로 르노 전체를 총괄하는 회장이 탄생한 셈.
여담으로 전직 르노 그룹 CEO였던 루이 슈웨체르와 비슷한 행보를 걸었는데, 관료 출신이라는 점과 르노 회장을 역임했다는 점이다. 다만, 슈웨체르 전 회장의 빽이 좀 더 높은 편이다. [4]
3. 둘러보기
| <colcolor=#fff> 역대 르노코리아 사장 (삼성자동차/삼성상용차/르노삼성자동차 사장 포함)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자동차 | |
| 회장 | 사장 | |
| 이필곤 | 홍종만 | |
| 삼성상용차 | ||
| 1대 | 2대 | |
| 김무 | 김명한 | |
| 르노삼성자동차 | ||
| 1대 | 2대 | 3대 |
| 제롬 스톨 | 장마리 위르티제 | 프랑수아 프로보 |
| 4대 | 5대 | 6대 |
| 박동훈 | 도미닉 시뇨라 | 스테판 드블레즈 |
| 르노코리아 | ||
| 초대 | 2대 | |
| 스테판 드블레즈 | 니콜라 빠리현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