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요 주주 | ||
프랑스 정부|닛산|기타 공영 | |||
전/현직 주요 인물 | |||
장도미니크 세나르RNMA 회장|루카 데 메오르노 그룹 CEO|카를로스 곤|프랑수아 프로보 | |||
계열사 및 사업부 | |||
브랜드 | 르노|알핀|모빌라이즈|다치아|화청|EV이지 | ||
연구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센터 | 오픈 이노베이션 랩 파리|테크노센터|오픈 이노베이션 랩 실리콘 밸리|오픈 이노베이션 랩 텔아비브 | ||
제조사 | 바틸리|소파사|소마카|코르메카니카 SA|르노 아르헨티나|르노코리아|르노 두 브라질|르노 멕시코|르노 인더스트리 벨기에 SA|르노메드|레보즈|르노 남아프리카 | ||
합자회사 | 현재 | 호스 파워트레인|JMEV|오약 르노|르노 닛산 오토모티브 인디아|르노-파스|르노 알제리 | |
과거 | 르노 브릴리언스|둥펑 르노|마힌드라 르노|르노삼성 | ||
부품 제조사 | 모트리오 | ||
마케팅ㆍ전시장 | 르노 클래식|라뜰리에 르노 파리|르노 성수 | ||
제조 공장 | 유럽 | ACI 메이지외 공장|두에 공장|바틸리 공장|플린스 리팩토리|르망 공장|알핀 디에프 장 레델레 공장|노보 메스토 공장슬로베니아|팔렌시아 공장스페인|셍 엉드헤 드 류흐 공장|상두빌 공장|바야돌리드 카로체리아 공장스페인|바야돌리드 몬타제 공장스페인|부르사 공장튀르키예|미오베니 공장(다치아)루마니아 | |
남미 | 코르도바 공장아르헨티나|쿠리티바 공장브라질|엔비가도 공장콜롬비아 | ||
태평양 | 부산 공장대한민국|카사블랑카 공장모로코|오란 공장알제리|탕헤르 공장모로코 | ||
소매 | 르노 리테일 그룹 | ||
금융 | 모빌라이즈 파이낸셜 서비스 |
르노 모뵈주 컨스트럭션 오토모빌 Maubeuge Construction Automobile (MCA)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개요 | |
국가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위치 | 노르 주 모뵈주 |
상세 주소 | 107 Av. André Chausson, Feignies, 프랑스 |
우편번호 | 59750 |
개장 연도 | 1969년 |
소유 기업 | 르노 |
규모 | 83.6ha (부지 규모) 23.9ha (시설 규모) |
직원 수 | 1,892명 (2023년 12월 기준) |
공장장 | 올리비에르 실바 |
좌표 | 북위 50도 16분 18.52초 동경 3도 54분 37.01초 |
지도 | |
[clearfix]
1. 개요
프랑스 노르 주 모뵈주에 위치한 르노의 차량 제조 공장이다.2. 상세
1969년에 쇼숑 공장 협회에서 생산하던 공장을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1970년부터 르노와 푸조가 참여하였다. 당시 르노와 푸조가 각각 24%, 쇼숑 공장 협회가 52% 지분을 차지하는 구조였고 이듬해 9월 23일에 공장이 개장되었다. 하지만, 이후 해당 공장에서 생산되는 차량의 판매량이 저조했던 데다 르노-푸조 간의 제휴 관계 청산이 이루어지며 위기를 겪었으나 1978년에 모든 지분을 매입한 르노 공장이 되었다. 당시에는 '모뵈주-쇼숑 오토모빌' 공장으로 설립했고 1990년대 들어 LCV를 전문으로 생산하게 되었다.2012년부터 다임러 AG와 파트너십을 통해 메르세데스-벤츠 시탄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2021년 6월부터 르노 두에 공장 등과 함께 전기차를 전용으로 생산하는 르노 일렉트리시티 자회사 산하의 공장으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현재는 캉구와 형제차들을 생산하고 있다.
3. 생산차량
르노의 모뵈주 공장 생산 차량 | |
<rowcolor=#fff> 적용 차량 | 생산기간 |
| <colbgcolor=#fff> 1998년~현재 |
캉구 | |
| 2025년~현재 |
4 E-테크 일렉트릭 |
닛산의 르노 모뵈주 공장의 생산차량 | |
| <colcolor=#000> 2021년~현재 |
타운스타 |
메르세데스-벤츠의 르노 모뵈주 공장 생산 차량 | |
<rowcolor=#fff> 적용 차량 | 생산기간 |
| <colbgcolor=#fff> 2012년~현재 |
시탄 |
4. 과거 생산차량
르노 모뵈주 공장의 과거 생산 차량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000> 적용 차량 | 생산기간 |
| <colbgcolor=#fff> 1971년~1979년 | |
15 | ||
| 1979년~1985년 | |
18 | ||
| 1979년~1985년 | |
푸에고 | ||
| 1986년~1990년 | |
21 네바다 | ||
| 1986년~1988년 | |
메달리온 | ||
| 1988년~1992년 | |
19 컨버터블 | ||
| 1989년~2000년 | |
익스프레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