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럼 세트의 탐탐에 대한 내용은 톰톰 문서 참고하십시오.
타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dbdbe2,#555461><colcolor=#000,#fff> 체명악기 | 아시아의 체명악기 | ||
동아시아 | 목어 · 목탁 · 징 · 꽹과리 · 대금 · 편경 · 편종 · 탐탐 · 자바라 · 방향 · 운라 · 소라 · 특경 · 특종 · 풍경 | |||
동남아시아 | 떠릉 · 공 | |||
유럽/기타 지역의 체명악기 | ||||
유럽 | 글라스 하프 · 심벌즈 · 캐스터네츠 · 실로폰 · 글로켄슈필 · 첼레스타 · 튜블러 벨 · 크로탈레스 · 윈드차임 · 우드블록 · 템플블록 · 루테 · 카우벨 · 클래퍼 · 토이 피아노 · 트라이앵글 · 행 · 핸드팬 · 핸드벨 · 오르골 · 스크라발라이 | |||
아프리카 | 마림바 · 음비라(칼림바) · 아고고벨 · 시스트럼 · 카시롤라 · 카쉬카 | |||
아메리카 | 글라스 하모니카 · 스틸팬 · 비브라폰 · 워터폰 · 카혼 · 피들스틱 · 클라베스 · 구이로 · 마라카스 · 레인스틱 · 카바사 | |||
지역 공통 | ||||
셰이커 · 주즈하프 | ||||
막명악기 | 아시아의 막명악기 | |||
동아시아 | 장구 · 대고 · 소고 · 영고 · 갈고 · 좌고 · 타이코 · 사물북 · 소리북 · 츠즈미 | |||
중앙아시아 | 도이라 | |||
남아시아 | 타블라 · 바얀 | |||
서아시아 | 다르부카 | |||
유럽/기타 지역의 막명악기 | ||||
유럽 | 베이스드럼 · 스네어드럼 · 탬버린 · 톰톰 · 테너드럼 · 팀파니 | |||
아프리카 | 콩가 · 젬베 · 토킹 드럼 · 봉고 · 벤디르 | |||
아메리카·오세아니아 | 쿠이카 · 랄리 · 티파 | |||
타현악기 | ||||
양금 | 양금 · 덜시머 · 침발롬 | |||
피아노 | 피아노(그랜드 · 업라이트) · 클라비코드 | |||
이외 | 베림바우 | |||
기명악기 | ||||
오르간(파이프 오르간 · 풍금 · 아코디언 · 바얀) · 윈드 머신 · 호루라기 · 경적 | ||||
}}}}}}}}} |
[clearfix]
1. 개요
영어/독일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 Tamtam 또는 Gong아시아 지방에서 유래한 금속제 타악기. 한자로는 동라(銅囉)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서양식 평균율 체계처럼 정확하지는 않지만 나름 음정이 있는 것에서부터 무음정 악기까지 굉장히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악기 전체가 치는 충격으로 소리를 내므로 '이디오폰(체명악기)' 으로 분류한다.
2. 구별 문제
워낙에 종류가 다양하고, 음정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와 호칭 문제가 지금껏 통일되고 있지 않아 수많은 이론 서적들에도 상반된 의견들이 실려있는 상황이다. 여기서는 일단 음정이 불확실하고 직경이 큰 악기를 탐탐이라고 하고, 비교적 여러 가지 크기로 나뉘어 음정을 연주할 수 있는 작은 형태의 악기를 공이라고 임시 구별한다.[1]2.1. 탐탐
청동으로 만든 커다란 원형 징의 일종인데, 치는 중앙면과 가장자리에는 광택을 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앞에서 보기에는 그냥 평평해 보이지만, 뒷쪽을 보면 모서리를 구부려놓아 약간 패인 모양새다. 사이즈는 다양한데, 흔히 10~60인치 사이의 제품들을 많이 쓴다. 윗동에 끈을 얽어맬 수 있는 구멍이 두 개 뚫려 있고, 여기에 끈을 넣어 철제 스탠드에 매달아놓고 친다.일반적으로 단단한 타원형 말렛이 감긴 탐탐 전용 채로 쳐서 연주하는데, 작게 칠 경우 굉장히 낮고 굵은 울림의 소리가 난다. 세게 칠 때는 금속의 파열음이 섞여서 굉장히 큰 소리가 나는데, 소리를 더 크게 하기 위해 타점 한두 박자쯤 전에 양손에 채를 잡고 아주 살짝 트레몰로를 한 뒤 때리기도 한다.
작은 음량을 내기 위해 더 부드러운 재질의 베이스드럼용 펠트채나 여타 다른 채를 사용하기도 하고,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봄의 제전' 에서처럼 앞면에 트라이앵글용 금속채를 빠르게 그어 날카로운 금속성 사운드를 얻기도 한다.
서양 클래식 작품에서는 주로 대규모 관현악이나 취주악에 많이 쓰는데, 특히 특유의 어두운 음색 때문에 장례용 음악이나 오페라의 비극적/충격적인 장면 등에 단타로 쳐서 전면에 내세우는 식으로 나온다.
음색에 특히 많은 투자를 하는 2차대전 이후의 서양 현대음악 같은 경우, 음향학과 관련 기술의 발달로 주조할 때 어느 정도 음정을 조절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중국의 우한 지방에서 특별 주문을 받고 만드는 탐탐이 각광받고 있다. 다만 가격대가 꽤나 메롱인 것이 문제.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가격이 하락하면서, 덕분에 공을 싸게 구입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2.2. 공
탐탐보다는 크기가 작은 형태의 징인데, 그냥 탐탐 모양의 축소판인 것도 있고 중앙면이 혹처럼 불룩 튀어나온 형태의 것도 있다. 후자의 경우 그 모양새를 가리켜 영어로는 '니플 공(nipple gong)', 독일어로는 '부켈공(Buckelgong)' 이라고도 부른다.'구별 문제' 항목에 쓴 것처럼 비균등하지만 음정을 낼 수 있는데, 통상 3~7개의 크기가 다른 여러 공들을 스탠드에 걸어놓고 친다. 치는 채도 탐탐 전용 채에서부터 펠트채, 고무채, 가죽채, 나무채, 트라이앵글채 등 다양하다.
서양에는 주로 인도네시아의 가믈란 음악이 소개되면서 그 여파로 많이 보급되었는데, 주로 20세기 근대음악에 많이 활용되었다.
가끔씩 웅장한 록 음악을 선보이는 록 밴드가 쓰기도 한다. 대표적으로는 핑크 플로이드. 예시로 Set the Controls for the Heart of the Sun의 라이브 버전#이 있으며, 퀸의 Bohemian Rhapsody 마지막 부분에서 등장하기도 하였다.
3. 이름이 비슷한 다른 타악기들
국악에서는 징이 이 역할을 한다.드럼 세트에 스네어드럼, 베이스드럼과 함께 편성되는 갖가지 규격의 북을 톰톰(tom-tom)이라고 한다. 하지만 탐탐이나 톰톰이나 읽는 경우에 따라 발음이 비슷해서 자주 혼란을 빚곤 한다.[2]
그리고 공의 경우 간혹 '슬릿 공(slit gong)'이라는 악기와 혼동되는데, 이 악기는 '슬릿 드럼'이라고도 불리는 아프리카 민속 타악기다. 통나무를 잘라 틈을 낸뒤 속을 파서 연주하는 목제 타악기이므로 이것도 혼동 주의.
권투 경기에서 각 라운드의 시작을 알릴 때 치는 종도 '라운드 공(round gong)'으로 부르기도 하고, 사이렌이 없던 시대에 소방차 등 위급 상황에 쓰이는 차량이나 기구에 달아놓은 종도 '공'이라고 부른 바 있다. 다만 이들 사례는 악기라기 보다는 일종의 소음 도구처럼 취급되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