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원자력 순양함}}}에 대한 내용은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원자력 순양함: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의 해군 함선 | |
상륙함 | 볼린데르급RE | |
어뢰정 | Sh-4급, G-5급, D3급, PT 보트US | |
잠수정 / 함 | 슈카급, 칼레브급노획, M급, A급, L급, P급, S급, D급, K급, 로니스급노획, 바르스급, L급UK, S급UK, U급UK, 퀘벡급C | |
호위함 | 타코마급 호위함US | |
구축함 | 노빅급(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쟈슬라프급, 피도니시급)RE, | |
기뢰전함 | 마르티급RE, 프로젝트 253L형 |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 |
모니터함 | SB-37급(제례즈냐코프급), 하산급 | |
군수지원/구난함 | 콤무나RE | |
순양전함 | ||
전함 |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RE, 아르한겔스크UK, | |
항공모함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e1f22>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KM, 룬급, A-90 오를료노크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Крейсера проекта 26 |
1. 개요
소련 해군이 1935년부터 건조하기 시작하여 1938년도에 완성한 순양함이다. 아드미랄 나히모프(Адмирал Нахимов)급 경순양함의 후속함으로 배치된 함선이지만 주무장은 180mm(7.1인치) 3연장 주포탑 3기를 장착해서 9문을 확보하여 엄청나게 강화되었고, 장갑은 포탑부 장갑이 차파예프급보다 약한 것을 빼면 거의 동급이다. 그러나 항속거리는 6,950km로 동시기 다른 국가의 순양함들에 비해 많이 밀리는 편이며, 후속함으로 건조된 차파예프급 순양함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1]명칭이 비슷한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이 있기 때문에 키로프급 순양함은 혼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확하게 부를 때는 프로젝트 명칭인 프로젝트 26형 순양함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1974년 키로프의 스크랩을 끝으로 모두 퇴역했으며, 키로프의 포탑 두 개와 닻은 별도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키로프 순양함 기념관 앞에 전시되어 있다.
2. 분류
키로프급 순양함은 만재배수량이 9,436톤으로 당시 기준인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는 순양함에 속한다. 그러나 런던 해군 군축조약의 보조함 주포 구경 기준으로는 경순양함의 주포 구경 한계인 155mm를 능가하는 180mm 주포를 탑재하므로 엄밀하게 말해서는 중순양함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당시까지는 소련은 해군 군축조약의 가맹국이나 적용국이 아니었으며 소련 해군도 빈약했기에 소련 해군에서 군함을 어떻게 만들던지 간에 간섭이나 방해를 할 권리가 있는 국가는 없었다.하지만 소련이 소련 해군도 강화 및 육성시키는 작업에 착수하기 시작하고, 이미 러시아 내전 당시 간섭군으로 참전한 영국 해군이 군항인 크론슈타트를 습격해서 강구트급 전함을 격침시킨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해군을 육성하면 영국의 감시와 견제가 들어가는 것은 확정적이었다.
그리고 제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에서 영국, 미국, 프랑스만 조약을 체결함에 따라 어떻게든 조약 참여국을 늘려서 군축조약 체제를 유지하려는 영국의 노력으로 인해 나치 독일과 영국간에 영국-독일 해군조약이 성립하자 소련의 입장에서도 나치 독일을 견제하고 소련 해군의 전력을 공인받기 위해서 영국과 협상을 할 필요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체결된 것이 영국-소련 해군협정(1937년)이었으며 영국-독일 해군조약과 동시에 1937년 7월 17일에 비준되었다.
해당 협정에서 소련은 나치 독일과 동등한 수준의 혜택을 영국에게 요구했으며 영국의 경우에도 소련과 해군협정을 체결하겠다는 의지가 강력했다. 그리고 정세의 변화로 인해 조금씩이지만 영국과 소련간의 군사협력이 필요하기도 했기에 영국이 소련에게 상당한 수준의 혜택을 주었는데 키로프급 순양함도 수혜를 입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키로프급 순양함은 180mm 주포를 가지고 있으므로 중순양함으로 취급해야 하며, 제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에서는 중순양함의 건조를 조약 만료시까지 중단한다는 규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해서는 키로프급 순양함을 폐함시켜야 한다. 그러나 소련은 기술력이 모자라서 150mm ~ 155mm 구경의 함포를 만들 수 없어서 180mm를 채용한 것이라는 어이없는 주장을 하면서 제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의 경순양함 기준배수량 한계인 8천톤 이상을 넘어가는 순양함은 건조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을 하며 영국의 양보를 요구하면서도 적절한 선을 지키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이에 따라 영국은 소련에게 특혜를 줘서 키로프급 순양함을 경순양함으로 인정했으며, 소련만 180mm 주포를 가진 경순양함을 7척까지 보유가능한 권리를 주게 된다. 이에 따라 키로프급 순양함은 경순양함으로 인정받게 된다.
3. 동형함
키로프급 순양함 | |||||||
<colbgcolor=white,#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color=white><rowcolor=white> 함명 | <colcolor=white> 건조 | 비고 | ||||
Project 26 | |||||||
키로프 Киров | 기공 | <colbgcolor=white,#191919> 1935-10-22 | <colbgcolor=white,#191919>
| ||||
진수 | 1936-11-30 | ||||||
취역 | 1938-09-26 | ||||||
보로실로프 Ворошилов | 기공 | 1935-10-15 |
| ||||
진수 | 1937-06-28 | ||||||
취역 | 1940-06-20 | ||||||
Project 26bis | |||||||
막심 고르키 Максим Горький | 기공 | 1936-12-20 |
| ||||
진수 | 1938-04-30 | ||||||
취역 | 1940-12-12 | ||||||
몰로토프 Молотов | 기공 | 1937-01-14 |
| ||||
진수 | 1939-12-04 | ||||||
취역 | 1941-06-14 | ||||||
Project 26bis2 | |||||||
카가노비치 Каганович | 기공 | 1938-08-26 |
| ||||
진수 | 1944-05-07 | ||||||
취역 | 1944-12-06 | ||||||
칼리닌 Калинин | 기공 | 1938-08-12 |
| ||||
진수 | 1942-05-08 | ||||||
취역 | 1942-12-31 |
4. 설계
소련 해군은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을 겪으면서 러시아 제국 시절에 쌓아놓은 해군 관련 중공업 인프라가 거의 씨가 말라 버려 대형함을 건조할 능력은 전무하다고 봐도 될 정도였는데,[4] 이 때 소련이 사정사정해서 도움을 얻어낸 국가가 바로 이탈리아였다. 안살도 사에서 콘도티에리급 경순양함 라이몬도 몬테쿠콜리의 설계도를 제공했고, 소련에서는 이 설계에 사용할 포탑을 독자적으로 만들기로 했다. 담당 기술자가 이 선체에 3연장 포탑을 얹을 수 있다고 주장하여 마침내 1934년 11월, 프로젝트 26 순양함에 허가가 떨어진다.소련 해군이 보유하고 있었던 스베틀라나급과 아드미랄 나히모프급은 전형적인 제1차 세계 대전시기 순양함이었다. 1926년, 소련은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중 미완성된 4번함 아드미랄 라자레프의 선체를 기반으로 실험적인 건조를 한 것이 바로 크라스니 캅카스(Красный Кавказ)다.#![5] 크라스니 캅카스는 소련에서 처음으로 선체 중앙에 밀폐식 포탑을 적층식으로 배치한 순양함이 된다.[6] 하지만 크라스니 캅카스는 아무리 신형 180mm Б-1-К를 달고있다곤 하나 단장포탑 4개만 달려 있었기 때문에 만재 9,000톤이라는 배수량대비 충분한 무장은 아니었다. 원래 소련 해군은 8인치급 함포 2연장 주포탑 4기를 장착해서 주포를 8문 확보한 순양함을 원했지만 소련이 당장 만드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에 무장을 줄인 크라스니 캅카스가 탄생했다.[7] 이는 곧 소련의 건함 기술이 굉장히 낙후되었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완전히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필요가 있었다. 일단 소련 해군은 주포만은 현대적으로 탑재한 '크라스니 캅카스'를 1932년에 겨우 완성시켜본 뒤 제대로 선체도 현대적으로 설계해보려고 한 것이 프로젝트 26이었다.
하지만 초기 단계는 순조롭지 않았다. 포탑을 비롯한 다른 선박 기술과 마찬가지로 터빈 기술도 부족했던 소련은 이탈리아에서 기관부 설계까지 사 왔는데, 막상 가져와 보니 예상 출력은 흡족한데 고작 7,200톤급 선체에 넣기에는 너무 컸고, 이탈리아와 소련의 선체 골조를 만드는 방식이 달랐던데다, 양국의 항해 환경이 비슷하다 해도[8] 악천후와 급격한 온도 변화는 소련이 훨씬 더 많이 겪었기에 선체를 강화할 필요도 있었다. 이 문제들로 소련은 설계도 보고 머리만 싸매면서 세월을 꽤 보냈고, 마침내 첫번째 타자로 2번함인 보로실로프(Ворошилов)의 건조가 1935년 10월 15일 시작된다.
빈약한 장갑을 개선하고 수상기 캐터펄트를 장비한 개량형 프로젝트 26bis/bis2 또한 자매함급으로 취급된다.
5. 특징
프로젝트 26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주포인 180mm 57구경장 Б-1-П 1932년형 함포를 탑재한 3연장 주포탑이다. 경순양함 선체에 올리기 위해 최대한 크기를 줄이려고 포신 세 개를 한데 묶었는데, 포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폭풍이 옆의 포에서 나오는 포탄의 탄도에 영향을 줄 정도로 서로 너무 가까이 붙어 있어 정확도도 낮았고, 밀폐형 포탑 내부의 활동공간도 좁아 연사력도 설계 스펙보다 떨어졌다. 이렇게 된 이유는 근본적으로 키로프급 순양함이 이탈리아 경순양함 설계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순양함은 주포간의 간격이 굉장히 가까웠고 이는 203mm 주포를 장착한 트렌토급 중순양함, 차라급 중순양함, 볼차노급 중순양함을 건조하면서 문제가 심화되었기 때문에 원조인 이탈리아 왕국에서도 특별한 해결책이 없던 상황이었다.그러나 최대사거리 하나는 다른 나라의 어느 순양함보다 우월했다. 흔한 상식대로 8인치보다 좀 짧은 사거리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7.1인치의 8인치보다 작은 구경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투입되는 장약량은 8인치보다 많거나 같다.[9][10] 거기에 최대 50.5도까지 올라가는 포각까지 합세해 당대 경순양함, 중순양함, 심지어 전함급과도 비교해도 상당한 수준의 사거리를 자랑한다. 97.5kg짜리 철갑탄을 45도 각도로 포구초속 920m/s로 최대 37,800m까지 날려보낼 수 있는데, 이는 아이오와급의 최대 사거리인 38,720m에 근소하게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11] 덕분에 이론상으로는 긴 사거리와 우수한 기동력을 살려 적의 중순양함을 사거리 밖에서 공격하거나, 전함의 공격을 피해 후퇴하면서 비장갑 구획을 타격해 피해를 입히는 것이 가능했다.
물론 이론상으로나 그렇다는 것이지 실제로 전장에서 활약할 수 있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상기 언급한 주포의 명중률 문제도 있거니와,[12] 포신수명이 초기형 포신은 55발에서 70발 수준으로 군함에 탑재한 1문당 포탄량인 100발도 쏘기 전에 포신수명이 끝나버린다는 문제도 있는데다가 후기에 제조된 개선된 포신도 고장 320발 수준이라서 사실상 전함 주포 포신 수준으로 수명이 짧아서 대량의 포탄을 빠르게 쏴야 하는 순양함의 주포로는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서 상당히 긴 최대사거리를 활용하려면 기존의 광학식 사격통제장치로는 제대로 활용이 불가능하므로 레이더 관제 사격을 해야 하는데 당시 소련에는 그런 기술력이 없다시피했다.
180mm 주포의 화력 자체도 어중간하기 그지없어서 적을 완전히 무력화시킬 수 있을지는 다분히 의심이 간다. 아트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의 8인치 포탄이 일반적으로는 122kg이고 미국 중순양함이 사용하는 152kg 중량의 초중량탄도 있는 상황에서 97.5kg 수준의 포탄은 1발당 타격력이 모자라고, 그걸 만회하기 위해 빠른 연사속도를 보유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경순양함의 152mm 주포처럼 속사라도 가능하다면 또 모르겠지만 포탑 내부의 환경이 열악해서 설계상으로는 분당 6발 사격이지만 시험사격에서는 분당 5.5발로 낮아졌고 실제로는 분당 2발까지 떨어졌다는 것을 생각하면 속사가 가능했을 리도 없다.[13]
3연장 주포탑인 MK-3-180의 경우에는 236톤에서 247톤의 중량을 가지며 포신부앙각도는 -4도에서 +48도이며 360도 선회가 가능한 포탑이다. 포신부앙속도는 초당 10도이며 포탑선회속도는 초당 8도이다. 장전은 +6.3도로 포구각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포탑 1기당 탄약고에는 300발이 저장되기 때문에 주포 1문당 100발의 공급이 가능했다. 그러나 180mm 함포를 처음으로 3연장 함포탑에 탑재한 덕분에 포신 3개가 묶인 상태로 1개의 포가에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할 수 밖에 없었고, 포구를 각자 다른 각도로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졌고 장전속도가 느려졌다.
대공포인 100mm/56 B-34 1940년형을 장착단 단장 대공포탑 6기와 45mm 21-K 대공기관포 6문과 12.7mm DShK 대공용 중기관총 4정은 평균적인 성능을 보유하였으나 대공화력으로는 상당히 빈약한 수준이었다. 그 외에 533mm 3연장 어뢰발사관 2기와 BB-1 대형 폭뢰 20발과 BM-1 소형 폭뢰 30발을 보유했고 164개의 기뢰도 탑재했으며 KOR-1 수상기 2기와 캐터펄트 1기를 탑재해서 일단 대공전, 어뢰전, 대잠수함전, 대기뢰전을 수행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대구경 대공포인 100mm를 제외한 나머지 대공화기는 별도의 사격통제장치가 없고 사수가 알아서 감으로 사격해야 하는 구조이며, KOR-1 수상기는 원래 탄착을 관측하는 관측기로 쓰려고 했으나 착수성능이 너무 안좋아서 제식채용에 실패한 기종을 대안이 없어서 탑재했으므로 실제 전투상황에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곤란했다.
장갑의 경우에는 만재배수량도 1만톤을 넘지 않으므로 당대의 조약형 경순양함 초기형처럼 빈약했다. 측면장갑은 높이 3.4m, 길이 121m의 크기로 설치되었으나 장갑두께는 50mm다. 주포탑이나 갑판장갑이나 바벳장갑도 모두 50mm였으며 장갑함교만 측면이 150mm였고 천정은 50mm다. 조타실에는 30mm 장갑이 있었고 사격통제장치나 관측장비 주변의 장갑은 7mm나 8mm 수준의 포방패 같은 장갑이 장착된다. 어뢰조준실은 14mm의 장갑이 붙는다. 전반적으로 볼 때 구축함의 127mm 함포의 사격에도 안전을 보장할 수 없을 수준으로 장갑이 얇으므로 피탄당하면 상당히 위험해진다.
어뢰방어면에서는 기본적으로는 구조적으로 어뢰나 기뢰에 대한 방어력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19개의 수밀구획만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어뢰에 맞거나 기뢰에 접촉하면 통제가 안되는 침수가 발생하므로 순식간에 침몰할 수 있다.
동력장치는 증기 온도 325°C, 24.7기압이 가능한 중유 전소 수관보일러 6기와 55,000마력을 내는 증기터빈 2기로 구성되며 스크류 프로펠러 2기가 장착된 2축으로 움직인다. 각각의 자매함별로 동력기관의 출력이 약간씩 다른데 키로프는 시험항해에서 113,500마력을 달성했자만 설계속도인 35.94노트에는 도달하지 못했고, 보로실로프는 좀 더 나아서 시험함해에서 122,500마력을 달성하고 36.72노트까지 속도를 올릴 수 있었다. 연료탑재량은 평소에는 640톤이고 최대한 채우면 1280톤이며 항속거리는 처음에는 18노트 (약 33km/h)에서 4,313km 수준으로 낮게 나왔으나 개선을 통해서 6,035km까지 기대할 수 있었다.
배수량의 경우에는 기준배수량은 7,170톤이고 만재배수량은 8,800톤이었으나 실제로는 배수량이 더 늘어나서 키로프는 만재배수량이 9,436톤에 도달했고 보로실포프는 9,550톤에 도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체의 길이에 비해서 폭이 좁은 편이며 설계상 실수가 일어났는지 키로프만 따져봐도 890톤의 과적상태라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만재배수량을 꽉 채우면 선체가 평형을 이루지만 항해를 하면서 연료를 소모하면 선수가 들리는 증상이 보고되었다. 그래서 연료탑재량을 적절하게 적용해서 구조적 결함을 막아야 했으므로 연료탑재량이 위에서 언급했듯이 2가지 이상으로 나누어지게 된 것이다.
그 외에도 문제의 개선을 위해서 막심 고리키부터 시작되는 프로젝트 26-bis 순양함부터는 측면장갑이 70mm로 증가하고 연료 적재량도 1,310톤으로 증가하며 사격통제장치의 개선 및 증설과 상부구조물과 포좌, 포탑등을 세밀하게 조정하는 작업이 들어갔다.
6. 제원
기본형인 프로젝트 26형 기준이다. 키로프급 순양함 Kirov-class cruiser | ||
이전급 |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 |
다음급 | 차파예프급 | |
기준배수량 | 7,890톤 | |
만재배수량 | 9,436톤 | |
전장 | 191.3미터 | |
전폭 | 17.66미터 | |
흘수 | 만재 시 6.15미터 | |
승조원 | 872명 | |
최고 속력 | 36노트 (약 67km/h) | |
항속거리 | 18노트 (약 33km/h)에서 6,940km | |
기관 | 보일러 | 야로우-노먼드제 6기 (총 113,500SHP) |
증기 터빈 | 2축 프로펠러 결합식 2기 | |
무장 | 주포 | B-1-P 3연장 180mm 함포 3문 |
부포 | B-34 100mm 양용포 6문 21-K 45mm 대공포 6문 | |
기타 | DShK 12.7mm 중기관총 4정 3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2기 6문 기뢰 96 ~ 164발 폭뢰 50발 | |
장갑 | 측면 흘수선 | 50mm |
갑판 | ||
포탑 | ||
바벳 | ||
장갑함교 | 150mm | |
함재기 | KOR-1 수상기 2기 |
7. 등장 매체
- 중국의 모바일 게임 전함소녀에서 의인화 되어 등장한다. 게임에서 유일하게 순양함이 쓸수 있는 장거리 포를 가져오지만 건조가 유일한 입수방식인 것과 레어도에 비해 그저 그런 성능을 가진것이 흠. 스핀오프 작인 창청의 미라주에서는 Project 26bis의 막심 고리키가 등장한다.#1
- 게임 월드 오브 워쉽에서는 키로프급이 소련 5티어 프리미엄 순양함으로, Project 26bis의 몰로토프가 6티어 프리미엄 순양함으로 등장한다.
- Naval Front-Line에서 소련트리에 등장한다. 7.1인치 앞에서 웬만한 구축함이나 잠수함들은 안맞으려고 애를쓴다. 다만 배수량이 1만톤이 안되는바람에 장갑이 그리 두껍지 못해 이쪽도 맞으면 아프다. 그리고 파생형의 7.1인치를 쓰는 크라스니 캅카스부터는 조심해야 한다. 비록 캅카스는 주포가 7.1인치 4문이 다지만 비슷한 성능의 포라 맞으면 유효타가 그냥 나온다.
- 사실상 후속작인 World War:Battleship의 2021년 2월 16일 업데이트로도 출시되었다. 스탈린그라드급과 함께 나왔는데, 키로프급만 테스트 함으로도 받아볼수 있다. 이 게임 특성상 1주일 기간제인 테스트 함을 받을시 부품 연구와 구매장착까지 모두 완료하면 무료로 영구버전을 받아볼수 있으니, 관심있으면 도전해보자. 참고로 중순이나 경순의 경우 이녀석을 적으로 만났을때 180mm 철갑으로 살보 한방 제대로 먹으면 무진장 아프다. 까딱 잘못해서 선제스팟-선제타격으로 선제컷 못내면 역으로 이쪽이 꼬르륵 확정이다. 또 잠수함 역시 까딱 잘못해서 구축한테 걸렸다가는 소식 듣고 달려온 구축과 키로프의 함재기에게 1차 폭뢰세례를 맞은 후 후속하는 모함 키로프에게 2차 혹은 n차 폭뢰세례를 뚜까맞게 된다. 대신 키로프도 물장이라 패면 순식간에 끔살이니 적으로 조우했다면 선제스팟-선제타격을 명심할것. 또 방공이 거의 없어서 함재기 공습도 숫자 적은 전투함 함재기로 선스팟만 안당한다면 유효타를 먹일수 있다.
|
8. 관련 링크
9. 관련 문서
[1] 설계적으로는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리급 경순양함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2] Слава, Slava[3] Петропавловск[4] 1921년에 이즈마일급 순양전함의 건조를 재개하려 했을 때도 함선의 복잡한 전기 시스템을 완성할 수가 없어서 결국 건조 재개를 포기했을 정도였다.[5]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Soviet cruiser Krasny Kavkaz[6] 1번함 아드미랄 나히모프는 스베틀라나급 순양함 크라스니 크림(Красный Крым)-이시절에는 프로핀테른(Профинтерн)-처럼 기존의 무장을 그대로 달고 있었다. 소련 해군에 소속되었을 때의 이름은 체르노바 우크라이나(Червона Украина).[7] 영국의 리앤더급 경순양함의 영향을 받아 아드미랄 라자레프의 선체에 8인치 2연장 주포탑 4기를 장착해보는 안도 있었지만 이는 불가능하다고 판명되었다. 그렇기에 새로운 선체를 만들어보는 안도 있었지만 이는 소련이 확실하게 8인치 2연장 주포탑 4기를 장착 할 수 있는 선체를 만들 수 있는지 불확실했기 때문에 일단 기존 선체에 180mm 단장포탑을 장착해보게 된다.[8] 소련은 방대한 영토 때문에 적어도 아시아-유럽 대륙상에서는 보급을 위한 원양항해의 필요성이 적었고, 이탈리아도 마찬가지로 지중해에 위치해 원정이라도 가지 않는 이상 능파성을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9] 디모인급 중순양함에 탑재되었던 8"/55 (20.3cm) RF Mark 16 기준. 출처[10] 180mm 주포의 장약량 출처[11] 아이오와의 주포 16"/50 (40.6cm) Mark 7에 대한 출처[12] 주포의 개조 없이 해결하고자 한다면 주포를 순차사격 하는 수밖에 없는데 그러면 일제사격에 비해 순간 화력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제어관련 기술력이 좋다면 아이오와급처럼 일제사격시에도 순서를 두어 아주 미세한 시간차이로 발사되도록 할수가 있지만 소련이 그걸 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13] 미국 해군은 분당 10발의 연사가 가능한 152mm 함포로도, 180mm보다 한 체급이 큰 203mm 함포로도 일본군 구축함을 확실하게 압도하지 못했다. 미국 해군이 포격전 및 어뢰전에서도 일본 제국 해군을 압도하기 시작한 것은 레이더 관제사격 기술이 확보된 후 정확한 명중은 일단 포기하고 산소어뢰가 명중하기 어려운 10km 이상의 원거리에서 포탄의 비를 뿌리는 방법으로 전술을 바꾼 후부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