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e1f22>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 순양전함 |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 함포정 | 쉬멜급 |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 위그선 | KM, 룬급, A-90 오를료노크 |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 Ракетные крейсера проекта 58 «Грозный» |
1. 개요
프로젝트 58형 그로즈니는 러시아 해군 최초의 미사일순양함으로, NATO 코드명은 킨다급(Kynda-class)이다. 주임무는 대함 미사일을 이용한 대수상전이다.1956년 발주되어 1960년부터 61년 사이에 건조를 시작하였으며 1962년 12월 30일 배치된 1번함 그로즈니(Grozny)를 시작으로 1965년 8월 20일 배치된 4번함 바랴그(Varyag)까지 총 4척이 Zhdanov yard Leningrad에서 건조됐다.
처음에는 구축함으로 진수되었지만 1962년 9월 29일 미사일순양함으로 재지정되었다.
2. 무장
킨다급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에서 SS-N-3b 섀독이라는 이름을 붙인 P-35 프로그레스-M 함대함 미사일 4연장 발사대를 뱃머리와 끝부분에 각 1기씩 장착하였는데, 이 발사대는 상하좌우로 조정할 수 있으며, 뒷부분에 4발의 예비 미사일이 있다.또 SA-N-1 고아(Goa) 지대공 미사일의 함대함형 2연장 발사대 1기(16발 탑재)와 76.2㎜ 2연장 함포 2문·30㎜ CIWS 2문 등의 대공무장과 533㎜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RBU-6000 대잠로켓 12연장 발사대 2기 등도 장착되어 대잠전 수행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연돌 앞에 설치된 3각형 레이더 돔(radar dome)은 이 함정에 처음 채용된 것으로 후에 등장한 러시아 미사일 순양함에 계승되었으며 실질적으로 헬리콥터를 탑재하지는 않았지만 뒷갑판에 비행갑판을 보유하여 미사일 유도용 헬리콥터의 운용도 가능했다.
3. 제원
| 프로젝트 58형 미사일 순양함 그로즈니 Ракетные крейсера проекта 58 «Грозный» | ||
| 이전급 | 스베르들로프급 | |
| 다음급 | 크레스타-I급 | |
| 계획 | 16척 | |
| 건조 | 4척 | |
| 표준배수량 | 4,400t | |
| 만재배수량 | 5,500t | |
| 전장 | 141.7 ~ 141.9m | |
| 전폭 | 15.8m | |
| 흘수 | 5.3m | |
| 승조원 | 390명 | |
| 출력 | 100,000SHP | |
| 최고 속력 | 34노트 (약 63km/h) | |
| 항속 거리 | 34노트 기준 3,700km | |
| 동력 | 기관 | KVN-95/64 보일러 4기 |
| TV-12 GTZA 증기 터빈 2기 | ||
| 추진 | 2축 프로펠러 | |
| 레이더 (그로즈니) | 대공 / 대함 | MR-300 안가리 × 2기 |
| 항법 | 돈 카이 | |
| 대공 미사일 통제 | 야타간 | |
| 함포 통제 | MR-105 | |
| 소나 | 고정식 | GAS-372 헤르쿨레스-2M |
| 전자전 | ECM | 크라브 |
| ESM | 잘리프 | |
| 무장 | 대함 | SS-N-3b 세팔 × 64발 (SM-70 4연장 발사대 × 2기) |
| 대공 | SA-N-1 고아 × 16발 (ZIF-101 2연장 발사대 × 1기) | |
| 대잠 | RBU-6000 12연장 212mm 로켓탄 발사대 × 2기 (RGB-60 로켓탄 × 96발) | |
| 3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 2기 | ||
| 함포 | AK-726 2연장 3인치 양용포 × 2기 | |
| CIWS | AK-630 × 2기 | |
| 탑재 헬기 | Ka-25 × 1기 | |
4. 문제점과 퇴역
킨다급엔 치명적인 문제가 하나 있었는데, 무게중심이 상부에 몰려 운용에 피해를 입었다.이를 인지한 소련 해군은 단 4척만을 건조하고 대형함인 크레스타급 순양함 건조로 신속히 이행됐다. 3척의 함선은 1991년~1993년 사이에 퇴역해 폐기됐지만 4번함은 1995년 예비역에서 현역으로 재취역한 후 1년간 흑해 함대의 기함으로 활동하다가 1997년 중반에 퇴역했다.
5. 목록
| 함명 | 배치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 그로즈니 (Грозный) | 발트함대 | 1960년 2월 23일 | 1961년 3월 26일 | 1962년 12월 30일 | 1991년 ?월 ?일 |
| 아드미랄 포킨 (Адмирал Фокин) | 태평양함대 | 1960년 10월 5일 | 1961년 11월 5일 | 1964년 11월 28일 | 1993년 6월 30일 |
| 아드미랄 골로브코 (Адмирал Головко) | 흑해함대 | 1961년 4월 20일 | 1962년 6월 18일 | 1964년 12월 30일 | 2002년 12월 ?일 |
| 바랴크 (Варяг) | 태평양함대 | 1961년 10월 13일 | 1963년 4월 7일 | 1965년 7월 20일 | 1990년 4월 19일 |
6. 대중매체에서
전함소녀에서 1번함 그로즈니(전함소녀)가 등장한다.7. 관련문서
출처러시아 위키 킨다급 미사일순양함
영어 위키 킨다급 미사일순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