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5 «Пятёрка» P-5 "Pyatyorka" NATO 코드명 : SS-N-3 섀독 GRAU 코드명 : 4К34 |
|
1. 개요
P-5 퍄툐르카는 소련이 개발한 터보제트 순항 미사일로, 추정 수량은 60~80대다.2. 설명
개발 목적은 당연히 미국 항공모함 타격용이며, 개량을 거쳐 관성유도식 대함 미사일이 됐다. 1톤급 고폭탄두와 200~350킬로톤급 핵탄두가 장착된다.[1] 최초 탑재는 위스키급 잠수함이었다.[2] 마지막 파생형 레이저 유도식은 1990년 쯤 P-500 바잘트나 P-700 그라니트에 의해 전량 퇴역했다. 차량 탑재형의 경우 'СПУ-35В(SPU-35V)'[3]로 명명됐으며, NATO 코드명은 SS-C-1 세팔이다.3. 제원
전장 | 10.20미터(a, b형) 11.75미터(최신 개량형) |
지름 | 0.98미터 |
날개 간 거리 | 5미터 |
총중량 | 5톤 |
추진 방식 | 터보제트 로켓 부스터 |
최고 속력 | 마하 0.9 |
최대 사거리 | 450킬로미터(a, b형) 750킬로미터(최신 개량형) |
유도 방식 | 재래식 종말 능동 레이더 유도 + 데이터 링크 관성항법 |
탄두 | 1톤급 재래식 탄두 및 200~350킬로톤급 핵탄두 |
4. 발사 플랫폼
5. 파생형
- P-5 : SS-N-3c
- P-5D : 최신 개량형
- P-6 : SS-N-3a 섀독
- P-35 : SS-N-3b 세팔
- SPU-35V : 지상 발사식 SS-N-3b 세팔
6. 사건 사고
1984년 12월 28일 소련 해군 훈련 당시 목표물이 아닌 핀란드 국경 너머 이나리호 근처에 떨어졌다. 핀란드 군사 분석가는 MiG기의 소행으로 판단했다. 다행히 훈련용 탄두라 사상자는 없었지만, 국제회의 직전 소련의 무력 과시가 아니냐는 추측이 난무했다.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불가리아군| 불가리아군 (1952~현재) ]]''' Българска Армия | |||
<colbgcolor=#009B75> | <colbgcolor=#009B75> | 9K115 메티스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 NLOS Mk.5 | FGM-148 재블린 (M1296) | 3M6 쉬멜 | |||
포발사 | 9K117 바스티온 | |||
공대지 | 회전익기 9M114V 슈투름-V고정익기 Kh-29 | Kh-23 | |||
OTR-21 토치카 | OTR-23 오카 | R-17 엘브루스 | ||||
함대함 | {RBS 15 Mk.3} | MM38 블록 1 엑조세 | P-15(MC/M/U) 테르밋 | |||
지대함 | P-15M (4K51 루베즈) | P-5 퍄툐르카 (4K44 레두트) | |||
어뢰 | 경어뢰 | {Mk.46 Mod 5} | ||
중어뢰 | L5 Mod 4 | SET-40U | 53-65K | 53-56VA | |||
9K38 이글라 | 9K310 이글라-1 | 9K34 스트렐라-3 | 9K32 스트렐라-2 | ||||
단거리 | 9K35 스트렐라-10M | 9K33M2 오사-AK | 9K31 스트렐라-1 | |||
중거리 | {IRIS-T SLM} | S-125 네바 | 2K12M1 쿠프-M1 | 2K11 크루그 | |||
장거리 | S-300PMU | S-200VE 베가-E | S-75 드비나 |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 4K33M 오사-MA | 9K32 스트렐라-2 | |||
개함방공 | {VL-MICA M} | RIM-7P 시스패로우 | |||
단거리 | AIM-9X 사이드와인더 | R-73 | R-60 | R-3S | |||
중장거리 | AIM-120C-7 AMRAAM | R-27R | R-23R | |||
유도폭탄 | GBU-38 JDAM | GBU-54 LJDAM | GBU-49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39 SDB | |||
※ 갈색 글자: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베트남 인민군 (1945~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 | |
포발사 | 9K120 스비리 | ||
공대지 | 고정익기 Kh-29(T/TE) | ||
공대지 (ALCM) | Kh-59 | ||
스커드-(C/D) | |||
함대함 | Kh-35 우란 | P-21 테르밋 | ||
잠대함 | 3M-54E1 클럽-S | ||
공대함 | Kh-31A | ||
지대함 | P-800 오닉스 (바스티온-P) | P-35 퍄툐르카 (4K22 레두트) | P-21 테르밋 (4K51 루베즈) | ||
어뢰 | 경어뢰 | APR-2 오를란-M | |
중어뢰 | TEST-96 | TEST-71ME | ||
9K338 이글라-S | 9K38 이글라 | 9K32 스트렐라-2 | |||
단거리 | 9K35M 스트렐라-10M | ||
중거리 | SPYDER-SR | S-125 네바/페초라 | ||
장거리 | S-300PMU | S-75R | ||
''' CIWS ''' | 9M337 (팔마) | ||
단거리 | R-73(M1) | R-60 | R-13M · R-3S | ||
''' 중장거리 ''' | R-77 | R-27(ER1/R1) | ||
유도폭탄 | KAB-500Kr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 }}}}}}}}} |
🚀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 미국 | |||
남미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독일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싱가포르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 중앙아시아 ''' | |||||
서아시아 | 이란 | ||||
''' 오세아니아 ''' | |||||
아프리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