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05:31:14

크레이지 리치 코리안

<colbgcolor=#E8343D,#E8343D><colcolor=#191611,#191611> KBS 2TV 예능 프로그램
크레이지 리치 코리안
파일:크레이지 리치 코리안 이미지.jpg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언어)
방송 기간 2025년 6월 15일 ~ 2025년 8월 17일
방송 시간 일요일 밤 9시 20분
채널 KBS 2TV
방송 횟수 10부작
제작진 <colbgcolor=#E8343D,#E8343D><colcolor=#191611,#191611> CP 이황선
제작 고세준
연출 이창수, 유지윤, 박성하, 조영진
PD 이선영, 심진영, 한성수, 정재욱, 권은지
작가 김미경, 박다은, 김윤화, 문제희, 이푸름, 주예리, 김나영, 황보라, 우재호, 임다솔
진행 전현무, 박세리, 곽튜브, 지예은
스트리밍
[[Wavve|
Wavve
]]
#!if 링크 != null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wavve.com/player/|▶]]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wavve.com/player/|▶]]
#!if 주석2 != null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 | |

1. 개요2. 소개3. 출연진4. 방영 목록5. 시청률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6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9시 20분 KBS 2TV에서 방영되었던 예능 프로그램. 약칭은 크리코.

2. 소개

K-FOOD, K-POP, K-DRAMA, K-BEAUTY 전 세계 문화의 큰 흐름이 된 대한민국! 그 중심에는 K-PEOPLE, <월드클래스> 한국인이 있다. 이들을 세계 무대에 서게 한 '크레이지'함은 무엇일까? 열정 부자, 흥 부자, 노력 부자... 저마다의 '리치'를 자랑하는 세계 속 '한국인'들의 일터를 관찰하며 그들의 <월드클래스> 성공 스토리를 살펴본다.

3. 출연진

3.1. 전현무

파일:크레이지 리치 코리안 전현무.jpg

3.2. 박세리

파일:크레이지 리치 코리안 박세리.jpg

3.3. 곽튜브

파일:크레이지 리치 코리안 곽튜브.jpg

첫회 촬영 당시 스케줄 문제로 화상으로 참여했으며, 2회부터 스튜디오 녹화에 합류했다.

3.4. 지예은

파일:크레이지 리치 코리안 지예은.jpg

4. 방영 목록

<rowcolor=#191611,#191611> 회차 방영일 출연 스튜디오 게스트[1] 비고
1 2025년 6월 15일 장한나, 김상식, 베티 박 장한나[2] [3]
2 2025년 6월 22일 장한나, 이동국
3 2025년 6월 29일 장한나, 베티 박 장한나
4 2025년 7월 6일 사이먼 킴, 화사 화사
5 2025년 7월 13일
6 2025년 7월 20일 뉴욕 기사식당 KISA
7 2025년 7월 27일 데니스 홍, 김상식 데니스 홍[4], 이동국
8 2025년 8월 3일 박병주, 이희은, 피터 박[5], 소피아 박, 새라 박, 앤드류 박 손준호, 김소현
9 2025년 8월 10일 장한나, IVE
10 2025년 8월 17일 IVE 레이, 가을, 이서, 리즈

5. 시청률

<rowcolor=#191611,#191611> 회차 방영일 전국 수도권 비고
1 2025년 6월 15일 2.9 -
2 2025년 6월 22일 2.1 -
3 2025년 6월 29일 1.9 -
4 2025년 7월 6일 2.2 -
5 2025년 7월 13일 2.3 -
6 2025년 7월 20일 2.6 -
7 2025년 7월 27일 2.6 2.7
8 2025년 8월 3일 3.5 3.1
9 2025년 8월 10일 2.6 2.7
10 2025년 8월 17일 2.5 -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 기존에 개그콘서트가 방영되던 시간대에 편성받아 SBS의 미운 우리 새끼, MBC의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 4와 동시간대 경쟁해야 하는 험난한 대진을 받았다. 예상대로 팬층이 두터운 두 프로그램에 완전히 밀려버렸고 오히려 편성 변경 전의 개그콘서트보다 시청률이 더 하락하는 결과를 맞았다. # 특히 3회에서는 1%대의 시청률에 진입하며 자체 최저 시청률을 기록하고 말았다.
  • 6월 29일자로 동시간대에 방영되던 태계일주 4가 종영하면서 어느 정도 시청률 반등에는 성공했다.
  • 8월 3일에 방영된 8회에서는 전국 3.5%, 수도권 3.1%로 자체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으나 시청률이 다시 내려가면서 마지막 회는 전국 시청률 2.5%로 마무리했다. 그래도 일부 회차에서는 유튜브 조회수와 화제성을 챙기는 데 성공했다.

6. 여담

  • 프로그램명은 싱가포르계 미국인 작가인 케빈 콴의 원작 소설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에서 비롯되었다.[6]
  • 해당 프로그램의 편성으로 2025년 3월 16일부터 시간대를 지키고 있던 개그콘서트암흑 시간대인 오후 11시로[7] 변경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이 종영된 뒤 8월 24일 방영분부터는 밤 10시 20분으로 변경되었다.[8]
  • 이 프로그램은 2024년 4월 4일부터 4부작으로 방영됐던 JTBC의 '크레이지 슈퍼 코리안'과 형식이 유사하며, 전현무곽튜브가 MC를 맡았다는 것도 동일하다. 차이점이라면 크레이지 슈퍼 코리안이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일어나는 일상 생활을 다룬다면 이 프로그램은 외국에서 사는 한국인들을 다룬다는 점이다.
  • 같은 채널에서 같은 일요일 낮에 방송되는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9]의 포맷과도 비슷하다.[10] 패널들이 성공한 사람들의 일터와 일상을 담은 영상을 보는 점, 영상을 보다 인상깊은 장면이 보일 때 패널이 도구(글로켄슈필으로 음계 '미'를 침)를 사용해 주목을 이끄는 점이 그러하며 해외에서 성공한 한국인을 다룬다는 차이점이 있다.
  • 제작발표회 당시 메인 PD가 민희진 코스프레[11]를 하고 등장해 이목을 끌어보려 했으나 해당 밈이 1년 이상 지난 시점이라 사장된 상황이었고, 직장괴롭힘 의혹 등 논란이 많은 인물이었기에 이제와서 뒤늦게 패러디 하냐는 혹평만 들었다.[12] 인터뷰 당시에 민희진의 직장괴롭힘 등 각종 논란이 터진 것을 인지 못 하였는지 아니면 일부러 돌려 까는 것인지 자신의 프로그램에 민희진도 출연시키고 싶다는 발언도 문제가 되었다.
  • 중간중간 게스트의 특이한 행동이나 놀라운 장면에 효과음과 함께 Krazy라는 자막을 쓰는데 이는 Crazy의 앞글자 CK로 바꾼 것이다. 다만 해당 자막의 사용이 잦아서 프로그램의 맥이 끊긴다는 지적이 많다.
  • 7월 13일부터는 동시간대에 나 혼자 산다 스페셜이 편성되면서 전현무는 간접적으로 겹치기 출연을 했다.
  • 출연 게스트 중 김상식(베트남), 장한나(유럽), IVE(독일)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촬영을 미국에서 진행했으며 대부분 뉴욕과 캘리포니아에 집중되었다. 장한나 역시 집이나 근처 일정은 미국에서 찍기도 하는 등의 미국 집중 현상을 보여 다양한 국가를 보여주진 못했으나, 10부작의 시즌제라서 특정 국가의 편중은 감안해야 하며 시즌 2가 제작된다면 이런 점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 AI가 제작한 영상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오프닝 영상과 중간중간 삽입되는 영상에서 사용하고 있다. 다만 퀄리티가 조악하다는 평가[13], AI 영상을 자주 사용해서 그에 대한 반감도 있다.
  • 일부 출연진의 발언이 기사화되거나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출연자에 대한 예의가 없다거나 부적절한 발언이 유튜브 댓글로 지적받고 있다. 특히 많이 지적 받는 출연진은 지예은이며, 전현무가 그 뒤를 잇는다.
  • 시즌1 종영 2주 전 시즌2 제작을 논의 중이라는 기사가 올라왔으며, 시즌1 마지막회에서도 이를 언급하기도 했다. 만약 시즌 2가 제작된다면 이 프로그램의 시간대에는 8월 24일부터 KBS 토일 드라마가 편성되었기 때문에 다른 시간대로 옮겨서 편성될 것으로 보인다.
  • 오프닝의 애국가YB가 리메이크한 버전이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6시 ~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16:40 18:10)
알토란(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17:00)
복면가왕(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18:05)
런닝맨(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 18:10)
19시 ~
놀라운 토요일(파일:tvN 로고.svg파일:tvN 로고 White.svg / 19:40)
길치라도 괜찮아(파일:ENA 로고.svg파일:ENA 로고 화이트.svg / 19:50)
런포유(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19:50)
21시 ~
톡파원 25시(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0:50)
푹 쉬면 다행이야(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21:00)
웰컴 투 찐이네(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21:10)
대놓고 두집살림(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0:50)
전현무계획3(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파일:채널S 로고.svg파일:채널S 로고 화이트.svg / 21:10)
마스크 셰프(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 21:40)
니돈내산 독박투어4(파일:채널S 로고.svg파일:채널S 로고 화이트.svg / 21:00)
아는 형님(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21:00)
입 터지는 실험실(파일:ENA 로고.svg파일:ENA 로고 화이트.svg / 21:30)
22시 ~
한일톱텐쇼(파일:MBN 로고.svg파일:MBN 로고 화이트.svg / 21:50)
스틸하트클럽(파일:엠넷 로고.svg파일:엠넷 로고 화이트.svg / 22:00)
우리 아기가 또 태어났어요(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배달왔수다(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1:50)
내 멋대로-과몰입클럽(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나는 SOLO(파일:SBS Plus 로고.svg파일:SBS Plus 로고 화이트.svg 파일:ENA 로고.svg파일:ENA 로고 화이트.svg / 22:30)
개그콘서트(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 22:45)
23시 ~
진서연의 NO(파일:ENA 로고.svg파일:ENA 로고 화이트.svg / 23:20)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nt-size: .9em; padding: 10px"
▶ 50-55분경에 방영이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다음 시간대로 간주하여 분류함.
▶ 같은 시간에 시작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명의 가나다 순으로 정렬함(한 채널에 2개의 프로그램 존재시 앞선 프로그램 우선).
▶ 틀의 과도한 확장을 방지하고자 아래의 항목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위 편성표에서 제외함.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fff {{{#!folding [ 제외 항목과 프로그램 보기 ]
▶ 주요 방송사(지상파, 종편, tvN, ENA)를 제외한 케이블 채널 중 개별 문서가 없는 예능.
▶ 단순 정보 전달, 연예 가십 보도, 강연, 시사 토론.
▶ 위 표에 기록된 시간대 이외의 시간에 편성된 예능.
음악 방송 중 음악 차트쇼 등 단순 공연 프로그램은 별개의 틀로 분류.

}}}}}}}}}
{{{#!folding [ 방영 예정 ]
{{{#!folding [ 관련 문서 ]
}}}}}} ||
}}}}}}}}} ||

[1] 화상 참여 제외.[2] 게스트 중 유일하게 제작 발표회에 참석했다.[3] 첫회 스튜디오 녹화에서 공동 MC인 곽튜브는 불참했다.[4] 일부 촬영분은 화상 연결로 출연했다.[5] 유 퀴즈 온 더 블럭 262회에 출연했다.[6] 2018년에 미국에서 영화화되었다.[7] 6월 15일에는 밤 11시 20분에 방영되었다.[8] 기존 시간대보다 훨씬 더 늦어진 시간대라서 당연히 개그콘서트 팬들은 또 암흑 시간대로 돌아갔다며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지만, 이 프로가 아니더라도 동년 8월 24일부터 KBS 토일 드라마가 편성되어서 시간대 변경은 어차피 불가피했다.[9] 이 프로그램도 전현무가 메인 MC다.[10] 메인 PD인 이창수가 해당 프로그램을 연출한 이력이 있다.[11] 코너 기획은 민희진의 인터뷰를 보고 기획 했다고 언급했다.[12] 출연자인 전현무도 해당 복장에 대해 혹평을 했다.[13] AI 특유의 디테일이 떨어지는 영상을 보정하지 않고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