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23:02:10

제101정보통신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횃불)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횃불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101공병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colbgcolor=#009600> 수도 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 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 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 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 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 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 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 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 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전투지휘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 군사경찰단
인사사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 근무지원단
3사교 근무지원단
학군교 근무지원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파일:대한민국 국군기.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정보통신단 제2정보통신단 제3정보통신단 제5정보통신단 제12정보통신단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_마크.png 파일:수도군단 부대상징.svg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제90정보통신단 제100정보통신단 제101정보통신단 제102정보통신단 제103정보통신단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8군단.sv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공군작전정보통신단_마크.png
제105정보통신단 제107정보통신단 제108정보통신단 제122정보통신단 공군작전정보통신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101정보통신단
第101情報通信團
The 101st Signal Group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常勝通信
창설일 1900년 00월 00일
상징명칭 횃불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1군단
규모
역할 1군단 통신지원
단장 대령 000(육사 00기)
위치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의정부시

1. 개요2. 상세3. 편제
3.1. 단 본부3.2. 통신운용대대3.3. 제711통신대대3.4. 제712통신대대
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미디어 출연5.3. 통신단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통신을 주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제1군단 소속 직할부대. 부대 애칭은 횃불부대.[1]

2. 상세

고양시의정부시에 위치해있고, 단 본부와 3개의 통신대대로 이루어진 통신단이다. 1군단 직할부대 중 하나이며 부대마크도 군단 마크와 동일하다.[2]

제1군단 통신지원을 주 임무로 하고 있어서 작전지역이 넓다. 군단 사령부에 통신과 편제가 갖춰지지 않아서, 직할대인 통신단이 군단 전체 통신 업무를 대신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유사시 전투부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망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적으로는 군단의 CEOI 생산이나 직할대 혹은 예하 사단의 통신 업무 등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통신 문제들을 직접 출동하여 해결한다.

위치가 상당히 특이한데, 단 본부와 711대대는 군단 사령부 울타리 밖 근처 건물에 같이 주둔하고 있다. 712대대는 군단 직할부대 중 유일하게 의정부에 위치하고 있다. 운용대대는 군단 사령부 안에 위치하고 있다.

3. 편제

3.1. 단 본부

  • 지휘부
  • 계획운용과
  • 지원과
  • 단본부중대

3.2. 통신운용대대

  • 본부중대
  • 운용중대
  • 지원중대[3]
  • 체계중대

3.3. 제711통신대대

  • 본부중대
  • 노드1중대
  • 노드2중대
  • 노드3중대

3.4. 제712통신대대

  • 본부중대
  • 노드1중대
  • 노드2중대
  • 노드3중대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장성급 장교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01정보통신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단장
00대 정문황 준장 육사 45기 국군지휘통신사령관
00대 임강규 준장 육사 48기 국군지휘통신사령관
00대 강희욱 대령 학군 00기 단장
00대 최영태 대령 단장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미디어 출연

5.3. 통신단가

조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최초로 횃불 든 호국의 군단
최강의 전사들 용맹한 기상 전승의 역사를 이어가리라
불굴의 투지로 승리하자 새 역사 창조의 제1군단
조국의 등 뒤에 우리가 있다 자유 평화 번영 위하여 전진하리라

─ 1군단가[4]

6. 사건/사고

  • 1998년 8월, 기록적인 수도권 북부 집중호우로 긴급통신복구를 하다가 큰 인명피해를 입은 부대이기도 하다. 당시 기사
  • 2015년 5월, 711대대 노드2중대에서 복무하던 육진훤 상병이 5분대기조 임무를 수행하던 도중, 출동 싸인을 받고 5대기 생활관을 뛰어나가다 문턱에 걸려 넘어져서 무릎에 부상을 겪게 되었다. 육 상병이 계속 고통을 호소하여 의무실에서는 단순 부상이라 생각하고 달랑 파스 한 장만 붙여줬지만 그래도 치료가 되지 않자 국군고양병원을 가게 되었고, 고양병원에서는 무작정 진통제만 투여하는 무성의한 치료만 계속하다 끝내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RPS)이라는 불치병에 걸리게 됐다. 민간위탁진료예산에도 포함되지 않아서 사비로 병을 치료하고 있다고 하며, 현재는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해서 치료를 받고 있다.[5] #1 #2 #3

7. 여담

  • 2016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1년 동기제와 동기생활관 제도를 시행했다.[6] 그 전까지는 3개월 동기제(2015년 약 10월까지는 2개월 동기제를 시행했다), 소대 생활관 제도를 시행하고 있었다. 712대대는 2015년 말까지는 동기 생활관 및 2개월 동기제를 운영하다가, 2015년부터는 운전병, 통신병 소대 생활관을 운영하였다. 결국 황대일 군단장이 취임한 이후 2020년 1월부터는 6개월 동기제로 변경.
  • 2000년대 초 육군 인트라넷에서 통신단 홈페이지가 병사들의 컴퓨터 정보 교환창구로 유명하기도 했다.
  • 2015년 초중순에 단 본부와 711대대의 주둔지 담벼락 보수를 위해 원래 있던 담벼락을 허물고, 다시 벽돌로 세우는 작업을 했다. 이때 외부인 출입을 막기 위해 초소를 추가적으로 운용했었는데, 가끔 밤에 만취한 시민이 군부대라고 궁금해서 기웃기웃거리면서 들어오려는걸 저지하곤 했다.
  • 단 본부와 711대대는 부대에서 국군고양병원이 상당히 가깝다. 걸어서 5분 정도면 갈 수 있지만, 수송부 버스를 타고 이동한다.
  • 단 본부와 711 대대는 주둔지 내부에 종교시설이 없기 때문에 종교활동을 하기 위해서 버스를 타고 영외 교회/성당/법당으로 이동한다. 운용대대도 종교시설 이전에 따라 동일하게 같은 막사를 쓰는 정보대대, 본부대, 그리고 다른 막사를 쓰는 군사경찰단과 같이 이동한다.
  • 단 본부와 711대대는 교통 여건이 상당히 좋았다. 부대 바로 앞에 서울 버스 703이 다니기 때문에 버스를 타면 40분 이내로 서울역까지 갈 수 있었다. 하지만 버스가 불광동으로 단축되어 서울 버스 774로 변경되는 개편이 되면서 서울역에 가려면 부득이하게 환승을 해야 하는데, 774를 타고 구파발역입구에서 내려서 서울 버스 703으로 환승하거나 아니면 구파발역환승센터까지 걸어가서 서울 버스 704, 서울 버스 708을 이용해야 한다. 또한 버스를 타면 10분 내로 수도권 3호선 삼송역에 도착할 수 있어서 일산이나 타 지역으로 지하철 환승을 할 수 있는 편리한 조건도 갖춰져있다. 하지만, 운용대대는 부대 앞에서 마을 버스를 타고 환승을 한 번 해야 774를 탈 수 있다.
  • 712대대도 위에 언급 된 타 대대 만큼은 아니지만,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걸어서 흥선역에 갈 수 있으며, 의정부역, 의정부버스터미널 등이 매우 가깝다.
  • 1999년 당시에는 단 본부가 가설1중대, 가설2중대, 무선중계반송3중대, 본부중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1] 실제로는 1군단에 소속감이 매우 강하여 그냥 1군단의 애칭인 광개토부대라는 명칭을 더 자주 사용한다.[2] 다른 직할부대 또한 마찬가지.[3] 구 유선중대. 2018년 무렵 중대 이름이 바뀌었다.[4] 1절.[5] 참고로 육진훤 상병의 동생인 육진솔은 2015년 3월 군에 입대해 논산훈련소에서 행군 훈련을 받던 중 돌부리에 넘어지면서 코뼈가 골절되고 무릎 부상을 입게 됐다. 육진솔도 이 때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 된 끝에 형과 같은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을 얻게 됐다. 두 형제는 지금도 힘겹게 투병 중이며, 가족들은 나 몰라라 책임을 던져버린 국방부와 힘겨운 싸움을 현재까지 이어가고 있다.[6] 前 육군참모총장이자 당시 1군단장이었던 김용우 중장의 명령. 김용우 중장은 1군단장을 하기 전에 제9보병사단장 당시 전군 최초 1년 동기제를 시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