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4:00:00

제7군수지원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제1101공병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 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 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 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 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 제7군수지원단 · 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 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지능정보기술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전투지휘훈련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 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 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 군사경찰단
인사사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 근무지원단
3사교 근무지원단
학군교 근무지원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7군수지원단 로고.pn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수도군수지원단 제6군수지원단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파일:청마부대 로고.pn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동해안군수지원단 제51군수지원단 제52군수지원단 제53군수지원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 ||

제7군수지원단
第7軍需支援團
The 7th Logistic Support Group
파일:제7군수지원단 로고.png
제7군단의 전승보장을 위한 완벽한 군수지원
창설일 2019년 1월 2일(제7군수지원단)
상징명칭 무소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7군단
제1군수지원사령부[1]
종류
역할 제7군단군수지원
단장 대령 김경훈
위치 경기도 양평군
1. 개요2. 특징3. 예하부대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부대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제7군수지원단은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제7군단 소속으로 제7군단육군항공사령부의 군수지원을 담당하는 단급 기행부대다.

2. 특징

2019년 1월 2일, 제1야전군사령부제3야전군사령부가 통합되어 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되어 군수부대 개편에 따른 지휘구조 변경에 따라 1월 1일 창설되었고, 2023년 상급부대가 제1군수지원사령부에서 제7군단으로 예속 전환이 이루어졌다.

단장직은 대령이 보임된다.

3. 예하부대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7군수지원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이충희 대령 학군 29기[7] 단장
2대 변유성 대령 학군 34기[8] 단장
3대 선남채 대령 육사 54기단장
4대 황성수 대령 학군 33기[9] 단장
5대 김경훈 대령 육사 00기단장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 제5군수지원여단(舊 제2군수지원사령부)와 같은 곳에 위치한다. 그럴만 한 것이 애초에 2군지사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 7군지단이며 7군단 예하 부대 중 수기사8사단은 7군단 사령부가 있는 이천보다 7군지단이 있는 의정부시와 더 가깝기 때문에 위치도 적절하다.

2022년부로 단 본부가 경기도 양평군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위의 내용은 2024년 현 기준에서는 과거형이 되었다.

5.1. 근무환경

단 본부는 22년말에 양평으로 본부가 이전했다.

생활관은 1층에 총 3개, 2층에는 4개가 있다.
1층은 급양대(본부[통신/취사/의무/계원]), 창고, 수송)
[수송은 607수송대대와 통합수송부를 운영중이지만 607수송대대가 2025년 초에 부대이전을 할 예정이라 7급양대 수송부 병사들은 1층 생활관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급양대의 꽃인 창고는 총원 3분의 0.5정도 된다.
급양대 총원은 본부와 수송은 인원이 보충되지만 창고쪽은 인원 보충이 잘 안 되고 창고는 용사들이 죽어나가며 민간위탁배송은 계속 밀려서 현재는 본부와 창고와 대부분의 간부들과 일하지만 곧 수송이 복귀하면 수송도 같이 일할것 같다.인원이 부족해 창고 용사가 아닌 타보직 용사들과 타보직 간부들도 도 불만은 계속 쌓인다.

2층은 본부근무대(1생활관, 2생활관, 3생활관, 통신중대)의 생활관이다.

본부중대의 총원 중 절반정도가 경비이다. 경비 생활관은 1, 2, 3생활관이 있다.
경비인원이 워낙 많다 보니 경비 인원 중 행정병과 본청 계원 행정병이 있다.
경비 생활관은 총원 6명이다. 수송 생활관은 수송1과 수송2가 있고 침상을 부셔 침대 생활관으로 운영중이다.

본부중대 총원은 19년도 당시 39명 정도 였으나 계속해서 인원이 보충되어 대략 49명 정도 증가되었지만 현재 33명으로 줄어졌다.

특히 경비 분대의 총원이 증가하였는데, 그렇기 때문에 경비 분대에서 행정병을 선출했다.

초기에 행정병은 1명이었고 인사와 군수 모두 담당했으나, 이후 군수 행정병과 인사 행정병으로 분류되었다.

5.2. 부대가



부대가는 따로 없고, 제7군단가를 제창한다.

6. 사건사고

7. 여담

군단 예하에 소속된 군수부대 중 유일하게 여단 편제가 아니다.[10]

[1] 지원부대[2] 11사단 공병대대의 건물을 이용하고 있다.[3] 11사단 공병대대의 건물을 이용하고 있다.[4] 2022년 10월 1일 창설[5] 2022년 9월 29일 창설[6] 11사단 공병대대의 건물을 이용하고 있다.[7] 울산대학교[8] 조선대학교[9] 경남대학교[10] 제1군단제1군수지원여단, 제2군단제2군수지원여단, 제3군단제3군수지원여단, 제5군단제5군수지원여단으로 7군단을 제외한 모든 군단 예하의 군수부대들이 모두 여단 편제로 편성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