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 ||
|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 |||
| 수도포병여단 | |||
| I |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 ||
| II |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 ||
| III |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 ||
| V |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 ||
| VII |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 ||
| 육군본부 직할부대 | |||
| 수방사 | 제1방공여단 | ||
| 항공사 |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 ||
| 특전사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 ||
|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제1군수지원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 |||||||||
| 대한민국 육군의 군수지원 및 탄약지원사령부(여단급) | ||||||||||||
| | | | ||||||||||
| 제1군수지원사령부 | 제5군수지원사령부 | 육군탄약지원사령부 |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 제3군수지원여단 第三軍需支援旅團 The 3rd Logistic Support Brigade | ||||||
| | ||||||
| 3군단 전승을 보장하는 완벽한 군수지원 | ||||||
| 창설일 | <colbgcolor=#fff,#191919>2017년 12월 1일(제3군수지원여단) | |||||
| 상징명칭 | 청마부대 |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 상급부대 | 제3군단 | |||||
| 규모 | 여단 | |||||
| 역할 | 제3군단의 군수지원 | |||||
| 여단장 | 준장 문형일 (육사 53기) | |||||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남면 | |||||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군수지원여단이다. 애칭은 '청마부대'이며 경례구호는 '충성'이다.2017년 12월 1일에 제3군수지원여단으로 창설되었다.
2. 상세
2017년 12월 1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군수여단. 제3군단의 군수 전력이다.2020년 2월 11일 전국에 다섯 번째로 강원권 군 급식유통센터를 개장하였다.
여단장은 준장이며
3. 예하 부대
3.1. 직할 부대
- 본부근무대
- 통신중대
- 제3급양대
- 제3예방의무근무대
3.2. 제13보급대대
- 본부중대
- 2종보급중대
- 3종보급중대
- 4종보급중대
- 의무보급정비중대
과거에는 1군수지원사령부 소속이었다.
3.3. 제53탄약대대
- 본부중대
- 1중대
- 2중대
3.4. 제83정비대대
- 본부중대
- 7.9종보급중대
- 궤도차량정비중대
- 특수무기정비중대
- 다련장정비중대
3.5. 제93정비대대
- 본부중대
- 일반장비정비중대
- 총포장비정비중대
- 차량정비중대
- 통신장비정비중대
3.6. 제603수송대대
- 본부중대
- 중형차량중대
- 대형차량중대
- 특수차량중대
과거에는 선박중대가 존재했으며 주 임무는 양구에 위치한 부대 인원들을 춘천까지 운송하는 임무를 맡았지만 2004년도 해체되었다.
많은 중대들이 3군단 예하 군수지원부대에 배속되어 영외 중대로 존재하였으나, 지속적인 군수지원부대 축소로 인하여 대부분 해체되었다.
3.7. 동해안군수지원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해안군수지원단#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해안군수지원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과거부대
- 제3의무보급정비대 : 13보급대대 예하로 편입되어 의무보급정비중대가 되었다.
5. 출신인물
5.1. 역대 여단장
| 역대 제3군수지원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 ||||||
| <rowcolor=#f7d639>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
| 초대 | 손대권 | 예) 중장 | 육사 47기 | 前 육군군수사령관 | ||
| 2대 | 윤성은 | 예) 대령 | 육사 46기 | 前 여단장 | ||
| 3대 | 최순건 | 소장 | 육사 48기 | 現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 | ||
| 4대 | 황규흥 | 예) 준장 | 육사 47기 | 前 제5군수지원사령관 | ||
| 5대 | 김훈년 | 예) 준장 | 육사 48기 | 前 제5군수지원사령관 | ||
| 6대 | 최석윤 | 준장 | 육사 52기 | 現 육군종합군수학교 수송교육단장 | ||
| 7대 | 문형일 | 준장 | 육사 53기 | 現 여단장 | ||
5.2. 장교/부사관
5.3. 병
- 이서원(前 배우)
제603수송대現 출신이다. 2020년 6월 30일 전역하였다.[1] - 조영건(야구선수)
제13보급대대 출신이다. 2022년 2월 15일 입대하였으며, 2023년 8월 14일 전역하였다.
6. 기타
6.1. 근무환경
932중대, 531중대,제외한 나머지 부대들은 나름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위치하여 동서울종합터미널까지 2시간 내외로 도착이 가능하다.그러나 군수지원부대가 전부 그렇듯, 인원 TO가 항상 부족하여 눈물나게 야간근무가 많다.
하다 못해 병사가 100명이 채 안되는 대대들이 대부분, 문제는 이런 대대가 영외중대나 독립중대로 또 나뉜다는 것이다.
2020년 3월과 4월 수도방위 사령부와 해병대가 민간인에게 철책을 뚫린 뒤로 경계근무 복귀 시 주둔지 순찰 임무까지 더해져 병사들의 근무량이 많아졌다.
603 수송대대의 경우 야간에는 CCTV로 근무를 대체하나 탄약고가 있는 대대의 경우 CCTV 대체근무가 불가하다.
6.2. 여단가
조국의 부름받아 함께 한 우리
조국통일 선봉장 산악의 용사들 가네
태백산맥 동해바다 언제 어디 무엇이라도
목숨바쳐 지원하리 승리를 위해
이기고 싸워라 우리가 간다
승리의 초석되리 3군수지원여단
반만년 역사위에 우뚝선 우리
통일 위업 달성할 대한의 영웅들 가네
태백에서 백두까지 험준한 전장 누비며
통일의 그 날까지 전진하리라
이기고 싸워라 우리가 간다
승리의 초석되리 3군수지원여단
조국통일 선봉장 산악의 용사들 가네
태백산맥 동해바다 언제 어디 무엇이라도
목숨바쳐 지원하리 승리를 위해
이기고 싸워라 우리가 간다
승리의 초석되리 3군수지원여단
반만년 역사위에 우뚝선 우리
통일 위업 달성할 대한의 영웅들 가네
태백에서 백두까지 험준한 전장 누비며
통일의 그 날까지 전진하리라
이기고 싸워라 우리가 간다
승리의 초석되리 3군수지원여단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6월 16일에 미복귀 전역을 위한 휴가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