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강일고등학교 | 경기고등학교 | 경복고등학교 | 대진고등학교 | 마포고등학교 | |
명덕고등학교 | 무학여자고등학교 | 반포고등학교 | 방산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
선정고등학교 | 숭의여자고등학교 | 신도림고등학교 | 용산고등학교 | 용화여자고등학교 | |
여의도고등학교 | 영등포고등학교 | 예일여자고등학교 | 잠신고등학교 | 창동고등학교 | |
혜원여자고등학교 | 휘경여자고등학교 | }}}}}}}}} | |||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충청 | 전라 | 경북 | 경남 | 제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가락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문정고등학교 | 문현고등학교 | ||
방산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보성고등학교 | ※ 보인고등학교 | ||
◈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 ▣ 서울체육고등학교 | 영동일고등학교 | 영파여자고등학교 | ||
오금고등학교 | ◈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 잠신고등학교 | 잠실고등학교 | ||
잠실여자고등학교 | 잠일고등학교 | 정신여자고등학교 | 창덕여자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nopad> |
잠신고등학교 본관 입구 |
잠신고등학교 蠶新高等學敎 Jamsin High School | |
| |
<colbgcolor=#0B2161> 개교 | 1989년 |
분류 | 일반계 고등학교 |
형태 | 과학중점고등학교 |
유형 | 공립 |
성별 | 남녀 공학 |
교장 | 박미숙 |
교감 | 한정현 |
교훈 | 바른 마음(正心) 바른 지혜(正智) 바른 행동(正行) |
교화 | 철쭉 |
교목 | 은행나무 |
학생 수 | 695명 (2024학년도 기준) |
교원 수 | 74명 (2024학년도 기준) |
관할청 | 서울특별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로 24 (잠실동) |
우편번호 | 05502 |
홈페이지 | |
1. 개요
잠신고등학교(蠶新高等學校, Jamsin High School)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과학중점학교이자 공립고등학교이다.==# 학교 연혁 #==
1980~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1988년 12월 23일 | 잠신고등학교 설립인가(45학급) |
1989년 3월 1일 | 김광식 초대 교장 취임 |
1989년 3월 3일 | 제1회 입학식(신입생 854명) |
1989년 4월 29일 | 개교식 거행 |
1990~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1992년 2월 13일 | 제1회 졸업식(졸업생 846명) |
1993년 8월 23일 | 삼정관(강당, 체육관) 준공 |
1996년 12월 30일 | 과학교육 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1999년 12월 30일 | 학교 교육 우수학교 표창(교육부장관) |
2000~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2002년 3월 4일 | 정보센터신축 |
2002년 12월 31일 | 학교경영 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02년 12월 31일 | 흡연예방, 금연운동우수학교표창(교육감) |
2003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과학과수업.평가방법개선및교과교실제 운영선도학교 |
2004년 3월 2일 | 과학중심학교운영 |
2007년 2월 21일 | 학생식당 신축 |
2007년 12월 31일 | 학생수련수학여행 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07년 12월 31일 | 특별활동운영 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08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논술독서시범학교 운영 |
2008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교육과정중점학교 운영 |
2008년 12월 31일 | 학교체육활동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08년 12월 31일 | 교과자율장학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09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청렴연구 시범학교 운영 |
2009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교육청지정 교육과정중점학교 운영 |
2009년 5월 1일 | 사교육없는학교만들기 시범학교 운영 |
2009년 11월 1일 | 교육과학기술부지정 과학중점학교 선정 |
2009년 11월 1일 | 교육과정자율화우수학교 표창(교과부장관) |
2009년 12월 31일 | 학교평가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09년 12월 31일 | 독서·토론·논술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10~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2010년 12월 3일 | 과학교육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12년 12월 31일 | 학교평가우수학교 표창(교육정보원장) |
2013년 12월 31일 | 학생수련활동, 수학여행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14년 12월 31일 | 진로직업교육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15년 3월 1일 | 허재환 12대 교장 취임 |
2015년 12월 31일 | 독서교육우수학교 표창(교육감) |
2015년 12월 31일 | 수능지원우수학교 표창(교육부장관) |
2017년 9월 1일 | 이윤복 13대 교장 취임 |
2018년 2월 1일 | 제27회 졸업식(졸업생 380명, 누계 17,046명) |
2018년 3월 2일 | 제30회 입학식(신입생 236명) |
2018년 9월 1일 | 강미임 14대 교장 취임 |
2018년 12월 30일 | 과학중점학교 운영 성과 최우수학교 선정 및 교육부장관상 표창 |
2019년 1월 31일 | 제28회 졸업식(졸업생 389명, 누계 17,435명) |
2019년 3월 4일 | 제31회 입학식(신입생 234명) |
2020~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2020년 1월 31일 | 제29회 졸업식(졸업생 269명, 누계 17,704명) |
2020년 | 과학중점학교 운영 성과 우수학교 선정 및 한국과학창의재단 표창 |
2021년 2월 4일 | 제30회 졸업식(졸업생 231명, 누계 17,935명) |
2021년 | 과학중점학교 운영 성과 최우수학교 선정 및 교육부장관상 표창 |
2021년 3월 2일 | 제33회 입학식(신입생 230명) |
2022년 2월 9일 | 제31회 졸업식(졸업생 240명) |
2022년 3월 3일 | 제15대 안 훈 교장 취임 |
2022년 3월 2일 | 제34회 입학식(신입생 251명) |
2023년 2월 7일 | 제32회 졸업식(졸업생 240명) |
2023년 3월 2일 | 제35회 입학식(신입생 236명) |
2024년 2월 8일 | 제33회 졸업식(졸업생 217명, 누계 18,632명) |
2024년 3월 2일 | 제36회 입학식(신입생 241명) |
2025년 2월 -일 | 제34회 졸업식(졸업생 222명, 누계 18,854명) |
2025년 3월 -일 | 제37회 입학식(신입생 240명) |
2. 상징
2.1. 교훈
* 바른 마음(正心) : 일체유심조의 뜻과 같이 인간사 모든 것이 마음에서부터 우러나기에 항상 정직하고 성실하며 밝고 바른 마음 가짐의 소유
* 바른 지혜(正智) : 자율적인 면학으로 넓고 깊은 학문을 연마한 알찬 지혜와 실력의 소유자
* 바른 행동(正行) : 바른 마음가짐으로 사회 윤리 규범을 준수하는 바른 행동의 소유자
2.2. 교목
웅장/청아/고매
2.3. 교화
화목/원만/성실
2.4. 교가
3. 학교 특징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되어 과학중점반이 운영되고 있다. 과학고등학교를 대항하기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지원이 잘 되어있는 편. 1학년의 경우 시험 끝나고 꼭 한번은 과학 관련 외부활동을 학교 돈으로 갔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광릉수목원, 과천 국립 과학관 등) 하지만 2017년부터는 한 교사의 건의로 폐지되었다. 또한 학교에서 과학 관련 행사나 대회 등등을 하는데, 관련하여 수·과학 40시간 이수를 위해서 빠지지 않고 참여하는 편이 좋다.[1]과학중점반, 흔히 과중으로 불리는 반으로 입학한다면 3년간 이과가 배울 수 있는 모든 고교과정을 배우게 된다.(물화생지I, II, 기하, 미적분, 확통, 그리고 화학실험 또는 생물실험 등) 또한 학교에 많은 인프라(수·과학프로젝트, 프로그래밍 경연, 자유 강연 등의 행사가 매해 열리며, 참여율이 높고 선생님들도 적극적으로 지원해준다. 학교 성과가 좋은터라 학교측에서 많은 시도를 하곤 한다. 게다가 이과 상설 동아리가 매우 활성화 되어 있다.)가 잘 구축되어 있어서 본인만 의지가 있다면 정말 많은 것들을 얻어갈 수 있는 학교이다.
- 2P2R
4. 학교 시설
- 본관
- 서관
윗층에는 생활안전부, 창의체험부, 리소스센터, 3학년부 등이 있다. 1, 2, 3학년 교실도 같이 있다. 2층은 화장실 쪽에 정보관과 연결되는 통로가 있다. 보통 구름다리라고 부르는데 비 오는 날 물이 새서 바가지를 바닥에 둔다. 3학년부 위치에 방송시설이 일부 있다. 이 곳 교실을 쓴다면 모두 빔프로젝터를 쓴다. 하지만 몇몇 반은 리모콘이 없으니 없다면 매 번 올라가서 키거나 우산으로 누르거나 휴대폰 리모컨 어플로 킨다. 학교에서도 리모컨을 사주고 싶으나 돈이 많이 들어가서 못해준다.
2021년부터 서관 3층 2학년 1반 옆교실에 리소스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는 각종 수과학관련 전문서적이나, 역대 동아리 활동 보고서, 수학프로젝트 및 과학프로젝트 보고서, 고가의 촬영장비, 2021년 12월 30일부로 밀봉된 화성토양이 있다고 한다. 2021년에는 점심시간에만 개방하였으나, 2022년부터는 상시개방을 하여 더욱 많은 학생들이 프로젝트 또는 동아리 활동을 준비할때 방문한다.
- 정보관
2021년, 메이커관련 거점 학교로 지정되면서 정보관 2층 절반을 서울메이커스페이스(Seoul MakerSpace)라는 이름의 교실로 만들었다. 이 이름이 너무 길어 학생들은 흔히 메이커실이라고 부른다. 통유리 구조로 만들어져 애플스토어 같은 깔끔한 느낌을 주는 감각적인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 정보관 2층의 야자실과 도서관 공간을 합쳐서 도서관을 리모델링하고(강연을 할 수 있도록 화이트 보드와 책상 의자를 배치한 소규모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TV가 설치되어 있는 2인실도 있다.) 게다가 학생용 프린터기까지 설치하여 과제 숙제는 물론이고 B4 모의고사 시험지도 인쇄할 수 있다!정보관 3층에는 자습실을 새롭게 만들었다. 자습실에는 화이트보드가 있는 다인실이 두개나 있지만, 방음이 되지 않아 앉아서 공부만 한다...
- 삼정관
2022년 삼정관 2층에 강당 입구 앞을 헬스장으로 바꾸었다. 또한 1층 동아리실을 탁구장 및 요리 실습실으로 바꾸었다. 그래서 탁구치다가 공이 찌그러지면 옆에 인덕션으로 다시 팽창시킨다고 한다.
- 외부
5. 학교 생활
6. 동아리
6.1. 주요 행사
- 잠신제
- 런치콘서트
- 게릴라콘서트
7.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고준규 - 슈퍼스타K 참가자
- 김용태 - 정치인
- 김영준 - 코미디언
- 김지호 - 정치인
- 남순 - BJ
- 라비 - 가수, 보이그룹 VIXX 멤버
- 성민 - 가수, 보이그룹 CRAVITY 멤버
- 최준성 - 가수, 보이그룹 GHOST9 멤버
- 박광일 - 인터넷 강사
- 이용우(1986)
- 홍아름 - 배우
- Midas P - 작곡가, 프로듀서
- 성호 - 가수, 보이그룹 BOYNEXTDOOR 멤버
- 영재 - 가수, 보이그룹 TWS 멤버
- 유현진 - 사회기관단체인, 한국 첫 느린학습자 지원단체씨앗티움공동체 대표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지하철
8.2. 버스
- 잠실트리지움아파트/잠실리센츠아파트/잠실5단지 정류장: 서울 버스 301, 서울 버스 341, 서울 버스 342, 서울 버스 345, 서울 버스 360, 서울 버스 2415, 서울 버스 3217, 서울 버스 3313, 서울 버스 3323, 서울 버스 3411, 서울 버스 3412, 서울 버스 3414, 서울 버스 3422, 서울 버스 4319, 남양주 버스 1100, 남양주 버스 1700, 남양주 버스 2000, 용인 버스 6900, 남양주 버스 7007, 남양주 버스 8001, 하남 버스 9303
- 잠실트리지움/갤러리아팰리스 정류장: 서울 버스 3314, 서울 버스 3315, 서울 버스 4318
9. 기타
원래 개교당시엔 남녀 공학에 합반이었지만 학부모들의 반발로 남자반, 여자반을 두게 되었다. 그래서 반 구성이 굉장히 번잡했는데 2014년부터 과중을 11, 12반으로 몰아넣고, 2015년을 기준으로 1, 2학년 일부 반을 합반으로 한다. 과학중점반의 경우 원래 남자 1반, 여자 1반 편성이 원칙이었으나 3반으로 늘어나면서 합반이 되고, 2학년 이과도 합반이다. 2016년 신입생은 전부 분반이다.[8] 현재는 전학년이 합반이다.과거에 체육복이 있었다가 사라졌다가 다시 부활했다. 1, 2학년만 입고 등교하면 되고 3학년은 필수가 아니다.
카누부가 있었다가 사라졌다가 다시 부활했다. 인근에 카누부가 있는 중학교가 있었는데, 카누로 진학할 수 있는 고등학교가 없자 당시 잠신으로 발령 예정이었던 그 중학교 교장이 '잠신에 카누부를 만들겠다'고 하셨고, 그 학생들이 그대로 잠신으로 전학오게 되었다. 카누부가 별도로 편성된 하나의 계열은 아니고, 개별반처럼 일반반에 몇 명씩 섞여있다. 훈련은 방과후에 미사리로 이동해서 진행한다.[9] 여담으로 과중반처럼 예체능 계열도 있었으나 2012년에 없어졌다. 근데 다시 생겼다.
상반기 채용시즌 4월, 하반기 채용시즌 10월이 되면 삼성그룹, CJ그룹 등 국내 대기업들의 인적성 고사장으로 자주 대여 된다.
학교 이름으로 된 교가가 아닌 노래가 있다. # 부른 사람은 이 학교 출신인 RAMA.
[1] 토요실험반, 융합 아카데미가 가장 많은 시간을 부여한다. 1학기에 미리 해놓는게 좋다. 또한 관련 독후감을 작성해 3시간 정도를 채울 수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각 활동 신청 경쟁률이 높아서 하고 싶은 활동을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2] TV살 돈으로 학생 복지나 신경쓰라고 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사실 이는 교육청 예산을 지원받아서 한 것으로 반드시 독도 나오는 TV로 써야만 한다.[3] 2024년에 각 교실 칠판이 전자칠판과 화이트보드로 업그레이드되었다.[4] 2020년 화학실 리모델링을 시작으로 2021년에는 물리실과 지구과학실을 리모델링했다.[5] 다목적실[6] 남자화장실과 음악실 중간에 있으며, 항상 잠겨있어서 뭐하는 곳인가 할 수 있지만, 체육 선생님들의 비밀의 안식처이며 보통 학생들이 하교한 후 연습을 하시기 때문에 야자를 하거나 늦게 하교한다면 지나가다 불이 켜 있는 걸 가끔 볼 수 있을 것이다.[7] 음악실 옆 문을 통해 들어가면 통로가 나오고 오른쪽에 앞, 뒤로 문을 통해 들어가며, 매트 재질의 바닥이 깔려 있어 1학년 때 여학생들은 요가, 남학생들은 씨름을 하며 전신거울이 벽에 있어 각종 팝스나 스트레칭류의 수행평가도 하는 장소이다.신발 벗고 들어가서 발냄새 날 수 있는 건 덤[8] 2018년 신입생은 3학년에 합반이고, 2019년 신입생은 2학년에 합반을 한다.[9] 학교와 미사리가 가깝다. 또, 대한민국에 카누 저을 수 있는 곳이 많지 않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