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 천도교 교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교조 | |||
초대 | 2대 | 3대 | 4대 | |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 | 박인호 | |
교령 | ||||
초대 | 2대 | 3대 | 4대 | |
이종린 | 정광조 | 이종린 | 공탁 | |
5대 | 6-10대 | 11-15대 | 16대 | |
공진항 | 신용구 | 최덕신 | 김명진 | |
17대 | 17-19대 | 20-21대 | 22대 | |
이우영 | 이영복 | 고정훈 | 정운채 | |
23-24대 | 25-26대 | 27대 | 28대 | |
오익제 | 김재중 | 김광욱 | 김철 | |
29대 | 30대 | 31대 | 32대 | |
이철기 | 한광도 | 김동환 | 임운길 | |
33대 | 34대 | 35대 | 36대 | |
박남수 | 이정희 | 송범두 | 박상종 |
초대 천도교 교령 | |||
<colbgcolor=#c0c0ff><colcolor=#434343> 출생 | 1883년 2월 12일[2] | ||
충청도 서산군 지곡면 율곡리 (現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화천리 율리마을) | |||
사망 | 1950년 9월 28일 (향년 67세) | ||
북한 일대 | |||
본관 | 성주 이씨[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0c0ff><colcolor=#434343> 창씨명 | 미즈하라 쇼우린(瑞原鍾麟) | |
자 / 호 | 영일(靈一) / 황산(凰山) | ||
본관 | 성주 이씨[4] | ||
필명 | 봉황산인(鳳凰山人)·황산자(凰山子) 황사산인(凰士散人)·우련(又蓮) | ||
도호 | 보암(普菴) | ||
최종 당적 | |||
의원 선수 | 2 | ||
의원 대수 | 1, 2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종교인, 친일반민족행위자[5] 출신 정치인.2. 생애
2.1. 해방 이전
1883년 2월 12일 충청도 서산군 지곡면 율곡리(現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화천리 율리마을)의 외가에서 아버지 이교칠(李敎七, 1832. 4. 25 ~ 1887. 6. 24)과 어머니 전주 이씨(1851. 9. 9 ~ 1908. 11. 14)[6]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첫째 큰아버지 이교삼(李敎三, 1828. 2. 4 ~ 1868. 4. 8)에 입양되었다. 어린 시절 서산군 정미면(現 당진시 정미면) 승산리 199번지로 이주해 본적을 두었고, 승산리 109번지에 거주하기도 했다. 상경한 뒤에는 경기도 경성부 관훈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09번지와 177번지에 거주했다.6살 되던 1888년부터 혜사(蕙史) 최현구(崔賢九)의 문하에서 한학을 수학하다가 상경했고, 1907년(순종 1) 10월 3일 성균관 사업(司業)에 임명되었으나 이튿날 사직했다. 이후 32촌 지간의 족형(族兄) 이종일이 경영하던 『제국신문』의 기자로 언론계에 투신했고, 『대한협회회보』 편집원으로도 활동했다. 또한 1909년 대한민보가 창간되자 논설기자 및 주필로 재직하기도 했다.
1910년 천도교에 입교해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의 주필 및 발행인, 편집원 등으로 활동했다. 1919년 2월 28일 이종일로부터 조선독립신문 창간호의 원고를 집필하도록 지시를 받았고, 원고를 완성한 뒤 보성사(普成社)의 인쇄 공장 감독 김홍규에 전달했다. 창간호가 간행된 뒤, 이날 오후 6시에 조선독립신문 발행인 윤익선이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되자 그날 밤 경성서적조합 서기로 근무하던 장종건(張悰鍵)[7]과 의논해 조선독립신문을 인쇄판으로 계속 발행하기로 했고, 3월 2일 간행비용으로 20원을 장종건에게 납부했다. 그리고 경성부 관훈동 경성서적조합에서 조선독립신문 제2호, 제3호, 제4호를 지하신문 형태로 차례차례 발행했으나, 곧 일본 제국 경찰에 발각되어 3월 10일 조선독립신문 원고 및 등사기구 일체를 압수당하고, 자신도 체포되었다.
1919년 8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 바 출판법 위반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회부되었고, 1919년 11월 6일 경성지방법원에서 같은 혐의에 대해 징역 3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120일 본형에 산입)을 선고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1920년 2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이른 바 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에 대해 미결 구류일수 중 60일이 본형에 산입되었을 뿐 공소는 기각되어 결국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19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
1921년 5월 27일 만기출옥한 뒤 1923년 1월 9일 경성부에서 백관수 등과 함께 조선물산장려회 발기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1월 20일 개최된 발기총회에서 창립준비위원에 선출되었다. 이어 1월 23일 개최된 창립총회에서 이사에 선출되었고, 이후 이사장까지 역임했다.
1926년 3월 4, 5일에 제2차 조선공산당 당수 강달룡이 민족유일당 결성을 목적으로 자신을 방문하자 민우회(民友會)를 중심으로 민족적 대동단결을 이룰 것을 주장했다. 이후 권동진·강달룡·신석우·안재홍·유억겸 등과 민우회를 창설해 상무이사에 취임했다. 또한 그해 4월 민족협동전선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천도교청년동맹이 조직되자 고문에 취임했고, 이를 중심으로 천도교 구파의 영수 박인호(朴寅浩) 등과 함께 6.10 만세 운동을 추진했다.
1927년 1월 신간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창립 당시 간사에 선임되어 활동했다. 이후 본부 선전부장, 경성지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던 중 1929년 허헌·홍명희·이관용·이원혁(李源赫)·조병옥·주요한·손재기(孫在基)·한용운·김무삼(金武森)·김항규(金恒圭)·권동진 등과 함께 광주학생항일운동에 호응해 결의문을 발표하고 민중대회를 일으키려고 계획했으나, 계획이 탄로나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돼 구금되기도 했다.
1929년 12월 21일, 모 경찰서 형사과에서 촬영된 사진. |
1930년에는 신간회 민중대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31년 10월 조선물산장려회의 기관지 『실생활』의 사장에 취임했다.
1932년 12월 22일 천도교 구파 중앙교회 현기관장(玄機觀長)에 임명되었고, 1938년 4월 4일 천도교 구파 교인대회에서 제4대 박인호 교주가 고령을 이유로 퇴임함에 따라, 천도교 교단에서는 기존의 교주제를 폐지하고 대종사장제로 바꾸었다. 이때 대종사장(大宗司長)에 취임해 손병희·박인호 이후의 천도교 교단을 이끌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들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전향했고,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위원, 임전대책협의회 위원,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報國團) 상무이사 등 여러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다. 또한 조선종교단체전시보국회에 천도교 측 대표위원으로 참여하여 태평양 전쟁에 조선인 학병 참여를 격려하는 강연을 하는 등 일제에 적극 협력하였다.
2.2. 해방 이후
해방 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남도 서산군 갑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1948년 6월 4일 헌법급정부조직법 기초위원에 뽑히며 정부조직법을 제정하는데 기여하였다. 얼마 후인 6월 22일 상임위원회중 하나인 운수체신위원회의 위원장으로 피선되었다. 8월 16일 내판역 열차 사고로 중상을 입은 권병노, 정우일의 병문안을 하였다.1949년 일제강점기 말기 친일반민족행위 경력으로 인하여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서 조사를 받았고 결국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고 대중들에게 사과했다. 이를 파악한 반민특위는 정황을 고려해 딱히 처벌하지 않았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민구락부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6.25 전쟁으로 인해 인민군에게 수감되었다가 1950년 9월 28일 북한으로 납북 도중에 사망하였다.
3. 사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종교 부문에 이름을 올렸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2004년 2월 고향인 서산시 지곡면 화천리 안견기념관 앞 공원에 황산 이종린 문학기념비가 건립되었다.
4.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충남 서산 갑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335표 (33.21%) | 당선 (1위) | 초선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충남 서산 갑 | | 7,164표 (15.86%) | 재선[8] |
5. 둘러보기
충청남도 제헌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대전 | 대덕 | 연기 | 공주 갑 | 공주 을 |
성낙서 | 송진백 | 진헌식 | 김명동 | 신방현 | |
논산 갑 | 서천 | ||||
유진홍 | 최운교 | 남궁현 | 김철수 | 이훈구 | |
보령 | 청양 | 홍성 | 예산 | 서산 갑 | |
임석규 | 이종근 | 손재학 | 윤병구 | 이종린 | |
서산 을 | 당진 | 아산 | 천안 | ||
김동준 | 김용재 | 공석 | 이상돈 | ||
* 천안 이병국 사망 (1949.4.8.) * 아산 서용길 자격상실 * 천안 김용화 의원직 상실 | |||||
제2대 ▶ | }}} }}}}}} |
충청남도 제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대전 | 대덕 | 연기 | 공주 갑 | 공주 을 |
김종열 | 공석 | 이범승 | 박충식 | 윤치영 | |
논산 갑 | 서천 | ||||
김헌식 | 윤담 | 이석기 | 이종순 | 공석 | |
보령 | 청양 | 홍성 | 예산 | 서산 갑 | |
김영선 | 이상철 | 유승준 | 박철규 | 김제능 | |
서산 을 | 당진 | 아산 | 천안 | ||
안만복 | 구을회 | 이규갑 | 김용화 | ||
* 서산 갑 이종린 사망 (1950.9.28.) * 연기 이긍종 사망 (1951.1.24.) * 공주 을 김명동 사망 (1951.12.2.) * 대덕 김종회 사망 (1953.5.27.) * 서천 구덕환 납북 | |||||
◀ 제헌 제3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c0c0ff><tablebgcolor=#c0c0ff>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c0c0ff><tablebgcolor=#c0c0f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달수 | 구중회 | 김경도 | 김철 | 김철수 |
박상영 | 서이환 | 신광균 | 안준상 | 원용한 | |
이석 | 이성득 | 이성학 | 이종린 | 이주형 | |
이호석 | 정구삼 | 조병한 | 주기용 | 한암회 | }}} }}}}}} |
[1] 대한민국헌정회 회원프로필에는[2] 1919년 8월 30일 예심 판결문과 1920년 2월 27일 2심 판결문, 성주이씨대동보 7권 567쪽 참조. 대한민국헌정회 회원프로필에는 2월 11일생으로 오기돼 있다.[3] 문열공파(文烈公派) 22세 종(鍾) 항렬.[4] 문열공파(文烈公派) 22세 종(鍾) 항렬.[5] 본래 독립운동을 했으나 변절했다.[6] 이회원(李會鵷)의 딸이다.[7] 張倧鍵이라고도 한다.[8] 6.25 전쟁 발발 이후 납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