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23:37:33

신석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66, #330066 20%, #330066 80%, #330066);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신석우 문창범 신석우 남형우
제5대 서리 제6대 서리
문창범 김철 남형우 김철
제7대 제8대 서리 제9대
손정도 이척 김규면 노백린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조상섭 김갑 김철 최동오
제14대
유동열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장관 }}}}}}}}}
신석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7171f><tablebgcolor=#d7171f> 파일:조선일보 제호 화이트.svg조선일보
역대 사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조진태
제2대

유문환
제3대

남궁훈
제4대

이상재
제5대

신석우
제6대

안재홍
제7대

유진태
제8대

조만식
제9대

방응모
제10대

장기영
제11대

방우영
제12대

방상훈
제13대

방준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초대
신석우
제2대
이범석
제3대
김홍일
제4대
백선엽
<nopad> 박정희 정부
제5대
최용덕
제6대
김신
제7대
김계원
제8대
옥만호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9대
김종곤
제10대
김상태
제11대
한철수
제12대
박노영
}}}}}}}}} ||
<colbgcolor=#330066><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1·3대 교통부장
신석우
申錫雨 | Shin Seok-woo
파일:신석우.jpg
출생 1895년 9월 2일
조선 경기도 한성부
사망 1953년 3월 5일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재임기간 초대 교통부장
1919년 4월 10일 ~ 1919년 4월 23일
제3대 교통부장
1919년 8월 ~ 1919년 9월 11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 본관 고령 신씨
우창(于蒼)
부친 신태휴(申泰休)
배우자 이범숙(초혼)[1]
강익주(재혼)
자녀 3남 2녀
학력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과/졸업)
경력 조선일보 사장
신간회 상임위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부장
한국독립당 교통도시행정위원
한국독립당 국방외교행정위원
주중화민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종교 개신교 (침례회)
서훈 건국훈장 독립장 }}}}}}}}}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다시 흥해보자
1919년 4월 10일 제1차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조선 시대 말 ~ 대한민국언론인, 독립유공자.

2. 생애

1895년 출생. 구한말의 무신인 신태휴(申泰休)의 아들이다. 일본 와세다대학 전문부를 졸업하였다. 이후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여운형과 함께 고려교민친목회를 조직하고 유인신문(油印新聞)인 『아등(我等)의 소식』을 발간하는 한편,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총장으로 있었다.

1924년 조선으로 귀국한 후[2]조선일보』를 송병준으로부터 8만 5000원에 인수하여 신문의 면목을 일신하였다. 사장에는 이상재를 추대하고 자신은 부사장을 맡았다가 1927년 이상재가 사망하자 사장에 취임하였다.

1931년까지 사장에 재직하는 동안 서울 견지동에 새 사옥을 지었고, 1929년부터 시작한 귀향남녀학생문자보급운동은 일제강점기에 신문사가 벌인 민중운동으로는 성공적인 사례였다. 또한, 신간회가 창립될 때에 그 간부직을 맡았고, 아버지를 설득하여 많은 돈을 써가면서 민족지를 키우는 데 노력하였다. 1931년 5월 신간회가 해소된 뒤 일제 경찰의 감시가 심해지자, 그는 조선일보 사장직을 안재홍에게 넘긴 후 그해 7월 상하이로 탈출했다. 이후 8.15 광복 후 귀국해 1949년부터는 주중국대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1953년 부산에서 사망했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2005년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됐다.

3. 여담

  •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이기도 하다. 1919년 3.1운동 직후 세워진 임시정부에서 국호를 정하기 위해 회의를 할 때 신석우는 “대한민국으로 국호를 정하자”라고 주장했다. 여운형이 “대한이라는 이름으로 나라가 망했는데 또 대한을 쓸 필요가 있느냐”고 반대하고 조선공화국을 주장했지만,[3]신석우는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다시 흥해보자”고 설명해 모두 동의했다. 이후 초대 임시의정원 의장이었던 이동녕이 1919년 4월 13일 상해에서 “지금부터 이 나라는 대한제국이 아니라 민간이 주도하는 대한민국이다”라고 정식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은 이때 처음 등장했다.

[1] 독립유공자이범석의 누나다.[2] 중국에서 일본 관헌에 붙잡혀 조선으로 이송됐다. 풀려난 후 지역으로 나가 독립운동을 계속하려 했지만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아버지가 붙들었다.[3] 이외에도 신한민국, 고려공화국 등이 후보로 올라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