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458><tablebgcolor=#003458> | 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2755><tablebgcolor=#012755> | 미합중국 대서양사령부 총사령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윌리엄 블랜디 | 윌리엄 페치텔러 | Lynde D. McCormick | Jerauld Wright | Robert L. Dennison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Harold P. Smith | 토머스 무어 | Ephraim P. Holmes | Charles K. Duncan | Ralph W. Cousins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아이작 키드 | Harry D. Train II | Wesley L. McDonald | Lee Baggett Jr. | 프랭크 켈소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합동전력사령관 | |
Leon A. Edney | Paul Miller | John J. Sheehan | 해럴드 게흐만 | }}}}}}}}} |
미합중국 초대 대서양사령부 총사령관 | |||
<colbgcolor=#003458><colcolor=#fff> 미합중국 제14대 대서양함대 총사령관 윌리엄 H. P. 블랜디 William H. P. Blandy | |||
| |||
본명 | 윌리엄 헨리 퍼넬 블랜디 William Henry Purnell Blandy | ||
출생 | 1890년 6월 28일 | ||
뉴욕 주 뉴욕 시 | |||
사망 | 1954년 1월 12일 (향년 63세) | ||
뉴욕 주 세인트올번스 | |||
묘소 | 알링턴 국립묘지 | ||
재임기간 | 초대 대서양사령부 총사령관 제14대 대서양함대사령관 | ||
1947년 2월 3일 ~ 1950년 2월 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458><colcolor=#fff> 임관 | 해군사관학교 | |
복무 | 미국 해군 | ||
1913년 ~ 1950년 | |||
최종 계급 | 대장 (미국 해군) | ||
주요 참전 | 멕시코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 ||
주요 서훈 | 해군공로훈장 (4회) | }}}}}}}}} |
1. 개요
미국의 군인.2. 생애
뉴욕시에서 태어났고 1913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멕시코 혁명당시 판초 비야를 잡기 위한 베라크루스 원정대에 참가했고 1차대전엔 전함 USS 플로리다에 승선해 대서양에서 영국함대와 연합해 독일 해군과 전투를 벌였다.전후에도 군경력을 이어갔고 2차대전에 미국이 개입하자 잠수함 부대에 배치되었다. 이후 함선으로 돌아와 이오지마 전투에서 수륙양용지원군 제1전단장을 맡아 해병대가 상륙할 수 있게 함포로 공격준비사격을 지원했고 상륙 후에도 함포지원을 맡았다.[1] 1945년 중반 태평양 함대 구축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전후 1946년 비키니 섬 핵실험에 참가했고 1947년 대장으로 진급해 대서양 함대를 거쳐 미 함대전력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0년 퇴역했고 1954년 사망했다. 시신은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