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합중국 해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윌리엄 벤슨 | 로버트 쿤츠 | 에드워드 에벌 | 찰스 휴즈 | 윌리엄 프랫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윌리엄 스탠들리 | 윌리엄 리히 | 해럴드 스타크 | 어니스트 킹 | 체스터 니미츠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루이스 덴펠드 | 포레스트 셔먼 | 윌리엄 페치텔러 | 로버트 카니 | 알레이 버크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그레고리 앤더슨 | 데이비드 맥도널드 | 토머스 무어러 | 엘모 줌왈트 | 제임스 할로웨이 3세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토머스 헤이워드 | 제임스 왓킨스 | 칼라일 트로스트 | 프랭크 켈소 | 제러미 마이클 보더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제이 존슨 | 버논 클라크 | 마이크 멀린 | 개리 러프헤드 | 조너선 그리너트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존 리처드슨 | 마이클 길데이 | 리사 프란체티 | }}}}}}}}} |
<colbgcolor=#002664><colcolor=#fff> 미합중국 제14대 해군참모총장 로버트 카니 Robert Carney | |||
본명 | 로버트 보스트윅 카니 Robert Bostwick Carney | ||
출생 | 1895년 3월 26일 | ||
캘리포니아주 발레이오 | |||
사망 | 1990년 6월 25일 (향년 95세) | ||
워싱턴 D.C. | |||
묘소 | 알링턴 국립묘지 | ||
재임기간 | 제14대 해군참모총장 | ||
1953년 8월 17일 ~ 1955년 8월 1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664><colcolor=#fff> 임관 | 미국해군사관학교 | |
복무 | 미합중국 해군 | ||
1916년 ~ 1955년 | |||
최종 계급 | 대장 (미합중국 해군) |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2. 생애
캘리포니아주 발레이오에서 태어났고 1916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해군 소위로 임관했다. 임관한지 얼마 안되어 대서양 호송선단의 일원으로 독일의 U보트와 전투를 치렀다. 전후 전함사령관 루이스 R. 디스타이게어 휘하에서 복무했으며 서로 각별한 관계였다.1941년 당시 중령이였고 당시 잠수함을 상대할 뇌격기를 훈련시켰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아서 L. 브리스톨 주니어 중장 휘하에서 2,600척의 상선을 호위하며 단 6척밖에 잃지 않았다. 1942년 순양함 USS 덴버의 함장으로 임명되었고 솔로몬 제도 전역에서 공을 세워 동성훈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윌리엄 홀시가 지휘하는 제3함대 소속으로 부건빌, 쇼틀랜드 등 여러 섬을 오가며 함포지원을 가했다. 이후 소장으로 진급해 홀시의 참모장으로 일했다. 남태평양 전선으로 이동해 필리핀 탈환전에 참가했고 오키나와 전투까지 홀시의 참모장으로 있었다.
일본의 항복 조인식 당시 USS 미주리함에 승선해 조인식을 바라봤다. 1946년 중장으로 진급했고 1950년부터 해군참모차장으로 임명되었고 그와 동시 대장으로 진급했다. 1953년 해군참모차장으로 임명되었고 2년간 복무 후 1955년 예편했다.
퇴역 후 기업의 중견으로 있다가 1990년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3. 여담
- 아들인 로버트 카니 주니어 역시 군인으로 해병대에 복무했고, 태평양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가해 준장까지 올랐다. 하지만 1983년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