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티베트 | 위구르 | 몽골 | ||||
오키나와 | 베트남 | 캄보디아 | 필리핀 | 미얀마 |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유럽 · 중부 유럽 |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네덜란드 | 독일 | ||||
폴란드 | 헝가리 | 오스트리아 | 체코 | |||||
동유럽 · 북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발트 3국 | ||||
남유럽 | ||||||||
스페인 | 이탈리아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
그리스 | 세르비아 | 코소보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바레인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예멘 | ||||
요르단 | 레바논 | 쿠웨이트 | 오만 | 이집트 | ||||
리비아 | 모로코 | 알제리 | 수단 공화국 | 튀니지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그린란드 | 과테말라 | 벨리즈 |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푸에르토리코 | 쿠바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바베이도스 | ||||
바하마 |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
에콰도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모리타니 | 라이베리아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
감비아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콩고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팔라우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나우루 | 솔로몬 제도 | 피지 | 사모아 | 통가 | ||||
다자관계 | ||||||||
파이브 아이즈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Quad | ||||
미국·캐나다·프랑스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아세안 | 미영일 | 한미일 | ||||
미중러 | 미중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미소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아프리카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이스라엘 | 이란 | |||||
이라크 | 레바논 | 아랍에미리트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
요르단 | 팔레스타인 | 이집트 | 리비아 | ||||||
유럽 · 아메리카 | |||||||||
러시아 | 프랑스 | 튀르키예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
미국 | 쿠바 | 베네수엘라 | |||||||
다자관계 | |||||||||
이라크·시리아·쿠르드 |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 이란·이라크·시리아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 |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الولايات المتحدة الأمريكية | 시리아 السورية Syria |
[clearfix]
1. 개요
미국과 시리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과거 냉전시절부터 반미친소 국가였던 시리아는 북한, 쿠바, 이란과 함께 반미 국가로 알려졌고 당연히 미국과 사이가 좋지 않으며 현재 시리아는 미국에게 테러지원국으로 처음부터 찍힌 이유 단 한 번도 제명되지 않고 여전히 지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국가이다.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시리아 내전 이전에는 테러지원국 지정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정상적으로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고[1] 빌 클린턴이 하페즈 알아사드와 정상회담도 가졌다. 특히 하페즈는 걸프전 때 미국을 지지하며 지원군까지 보내어 미국과의 관개 개선도 추구했으나, 그의 아들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권력을 승계한 이후 미국의 이라크 전쟁을 반대함에 따라 사이가 틀어지기 시작했고 2004년부터 미국에게 불량국가로 인식되어 경제제재를 받기 시작했다. 그다음엔 미국은 시리아에 압박을 가해 레바논에서 시리아 군과 정보 요원을 모두 철수시키게 만들어 레바논에 행사하던 시리아의 영향력을 제거했다.추후 미국은 아사드에게 화학무기 사용에 시리아를 불바다로 만들 것이라는 경고에도 이를 듣지않고 화학무기를 사용하자 영국, 프랑스나 이스라엘을 이끌고 시리아 정부군의 화학무기 시설을 공습을 감행하는데, 2014년에는 영국, 프랑스와 연합했으며, 2017년 미사일 120발을 발사하였고 2018년에는 다시 영국, 프랑스와 공습을 진행하였다.
시리아 내전 에서 미국이 자유 시리아군을 지원하고 미국은 시리아의 비인륜적인 대학살과 전범행위에 따른 이유로 완전히 척을 지고 단교하였으며, 미국은 시리아 반군과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을 주측으로 시리아 내전에 개입한다.
2020년 6월 17일에 미국은 시리아에 대해 추가 경제제재를 했다.# 11월 10일에 미국 국무부와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 등은 아사드 정권을 제재했다.#
바이든 정권 들어서면서 다시 아사드 정권과 협력 가능성이 있다.#
2022년 12월 25일, 미군이 시리아 내에서 다에쉬 소탕에 주력하고 있다고 WSJ이 보도했다.#
튀르키예와 시리아에 지진이 일어나자 미국은 시리아 측에게도 자금 1300억원을 지원하였고 바이든 정부는 튀르키예에게 지진 극복을 지원한다고 발표하였으나 시리아 제재에 관해서는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협력은 절대로 하지 않는다면서 시리아에 대한 제재는 여전히 가하고 있다.#
2023년 시리아 내 친이란 무장단체가 주시리아 미군기지를 드론으로 공격하여 미군 계약직원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다치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 미국은 즉각 시리아 내 친이란 무장단체에 공습을 가하였다.
2024년 12월 8일. 아사드 정권 붕괴로 재수교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현재 시리아 반군의 주력은 알누스라 전선의 후신인 HTS로 반서방 및 반러기질을 지녔고 서방국가들에 테러단체로 지정되어 있어서 아사드 정부 못지 않게 재수교에 애로사항이 있으며 해당 반군 자체도 서방이나 이스라엘보다는 튀르키예, 사우디, 카타르 등과 더 친하다. 미국으로써도 아사드 정권이 마음에 안 들었음에도 반군지원은 하지 않은 이유도 반군들이 극단 이슬람 주의이기 때문이다. 다만 반군 주도로 수립된 과도정부에 대해 미국이 향후 과도정부의 행보에 따라서 hts 등 정부에 참여한 반군 단체들에 대해 테러 단체 지원을 해체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토니 블링컨이 다마스쿠스를 방문한 후 HTS 수장 아흐메드 알샤라에게 미국이 내걸은 현상금이 공식적으로 전면 철회되었다.# 바바라 리프 근동부 차관보가 시리아를 방문했다. #
3. 문화 & 교통 교류
앞서 말했듯, 걸프 전쟁에서 시리아는 미국과 서방측의 관계 개선을 위해 다국적군에 참전하여 1993년 미국의 제재 완화로 서방제 여객기들을 도입했다 그러나 바샤르 알 아사드가 아버지의 집권을 물려받고 반서방 노선을 타면서 테러지원국에서 독보적인 불량국가로 지목되면서 온갖 제재를 다 받아 노선이 사라졌다(...)시리아는 현재 미국의 대시리아 제재로 인하여 미국이 운영하는 모든 기업의 인터넷 서비스는 시리아의 IP로 사용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