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티베트 | 위구르 | 몽골 | ||||
오키나와 | 베트남 | 캄보디아 | 필리핀 | 미얀마 |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유럽 · 중부 유럽 |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네덜란드 | 독일 | ||||
폴란드 | 헝가리 | 오스트리아 | 체코 | |||||
동유럽 · 북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발트 3국 | ||||
남유럽 | ||||||||
스페인 | 이탈리아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
그리스 | 세르비아 | 코소보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바레인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예멘 | ||||
요르단 | 레바논 | 쿠웨이트 | 오만 | 이집트 | ||||
리비아 | 모로코 | 알제리 | 수단 공화국 | 튀니지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그린란드 | 과테말라 | 벨리즈 |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푸에르토리코 | 쿠바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바베이도스 | ||||
바하마 |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
에콰도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모리타니 | 라이베리아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
감비아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콩고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팔라우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나우루 | 솔로몬 제도 | 피지 | 사모아 | 통가 | ||||
다자관계 | ||||||||
파이브 아이즈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Quad | ||||
미국·캐나다·프랑스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아세안 | 미영일 | 한미일 | ||||
미중러 | 미중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미소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아메리카 | ||||
대한민국 | 대만 | 중국 | 미국 | 멕시코 | |
엘살바도르 | 코스타리카 | ||||
유럽 | |||||
러시아 | 스페인 | }}}}}}}}} |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Estados Unidos de América | 니카라과 Nicaragua Nicaragua |
[clearfix]
1. 개요
미국과 니카라과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니카라과는 중남미의 대표적 반미국가 중 하나라서 미국과 사이가 좋지 않다.2. 역사적 관계
2.1. 19세기
니카라과는 19세기 중반에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이 해체된 뒤에 미국과 수교했다. 필리버스터 윌리엄 워커가 니카라과를 간접 지배하다가 중미국가들의 다굴을 맞고 본국으로 압송된 바 있다. 그는 온두라스로 돌아왔다가 영국군에 체포되어 온두라스 정부에 넘겨져 사형됐다.2.2. 20세기
1912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이 니카라과 내전에 개입하여 니카라과를 점령했다.냉전시절에 미국은 니카라과의 독재정권을 지원했다.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이 혁명을 일으켜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정권을 무너뜨리고 정권을 잡고 니카라과는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미국은 콘트라 반군을 지원했고, 이 과정에서 이란-콘트라 사건이 일어났다.
1986년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이 니카라과 사건을 두고 미국의 니카라과에 대한 직간접적 군사 활동이 국제법상 위법하였다고 판결하면서 미국에게 손해배상을 물었지만, 미국은 이를 묵살하였고, 이에 대해 니카라과는 유엔 안보리에 제소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거부권을 행사함으로써 가볍게 문제를 피해갔다. 결국 니카라과는 미국과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해 1990년에 배상금 청구권을 포기했다. 탈냉전 이후, 다니엘 오르테가가 낙선하고 정권이 교체되자 양국은 관계개선을 했다.
2.3. 21세기
니카라과인들중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미국으로 건너가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미국측은 국경통제를 하면서 양국간에 갈등이 생겨나고 있다. 그럼에도 대통령직에 복귀한 다니엘 오르테가는 반미 정책을 고수 중이다.양국은 미주기구의 회원국이었지만, 2020년부터 미국과의 갈등이 커지자 니카라과측에서 미주기구에서 탈퇴한다고 밝혔다.#
2010년대 중반,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양국간에 마찰이 더 커진다. 트럼프 행정부가 캐러밴들의 이동을 막는 조치를 취했고 이에 일부 니카라과인들 중에는 니카라과로 다시 되돌아갔다.
2021년 11월 7일에 오르테가 대통령이 재선하자 미국 측은 니카라과를 제재했다.# 이후,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과 로사리오 무리요 부통령 겸 영부인을 비롯한 니카라과 정권 인사들에 대해 입국 금지령을 내렸다.#
2022년 5월 7일에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의 아들이 제재 완화와 관련하여 워싱턴에 접근해 대화를 재개했다.#
6월 13일에 미국 정부는 니카라과 정부 관계자 93명을 민주주의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제재 리스트에 추가했다.#
8월 25일, 백악관이 니카라과의 인권 악화에 대해 "용납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2023년 2월. 니카라과는 야당 정치인·대학생 등 222명을 석방해서 미국으로 추방되었다.#
2024년 5월. 미국은 니카라과 정부의 250명이 넘는 구성원에 대한 비자 제한을 부과하고 니카라과를 통한 이민자 밀입국 통제 실패와 '억압적 행동'을 이유로 니카라과 기관 3곳에 제재를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