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에 등재된 동아시아의 인성론 문서 | ||||||
맹자 | 순자 | 고자 | 왕충 | 정약용 | 한유 | 추연 |
성선설 | 성악설 | 성무선악설 | 성선악혼설 | 성기호설 | 성삼품설 | 음양오행설 |
1. 개요
인간의 본성이 선과 불선(不善)으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은 마치 물이 동서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과 같다.
고자
고자
성(性)은 선해질 수 있고 불선해질 수도 있다.
공도자
공도자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은 인간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며 욕구(식욕, 색욕)만 가지고 태어났고 인간 외의 동물도 동일하다는[1] 고자의 주장이다. 성무선무악설(性無善無惡說)이라고도 부른다.
2. 상세
고자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욕구를 성(性)이라고 보았는데 이 성(性)과 선악을 이렇게 정의하였다.“성은 흐르는 물과 같아 동쪽으로 터놓으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터놓으면 서쪽으로 흐른다.
이것은 인성에 선과 불선의 구별이 없는 것과 같다”
《맹자》 "고자상" 중 발췌
여기서 고자는 '인간은 태어날 때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또한 인간의 본성은 식욕과 색욕뿐'이라고 주장했다. 인간의 본성은 식욕과 색욕 외에는 존재하지 않고 이것들은 동물에게도 있어 선악이 없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것은 인성에 선과 불선의 구별이 없는 것과 같다”
《맹자》 "고자상" 중 발췌
맹자는 이 주장에 관해서 인간과 동물의 차이점을 생각하지 않고 인의(仁義)등 도덕질서를 무너뜨린다고 위험하게 보았으며 '물의 흐름에 동서가 없는 것은 사실이나, 흐름에 위아래도 없겠는가? 아래로 내려가는 특성은 같고 그것이 본성이다.'라는 식으로 반박한다.
이 주장과 비슷한 주장으로는 서양의 D. 에라스무스의 주장이나 로크의 백지설(白紙說, theory of tabula rasa)이 있다.[2]
이 설 역시 로크식의 백지(tabula rasa)와는 전혀 다른 것을 전제로 한다. 고자는 인간의 본성적인 욕구(식욕, 색욕 등)의 존재는 긍정하고 "선악"이라는 관념으로 인간의 이러한 본성을 억압하는 것이 어리석다고 보았지만 로크는 반대로 "백지"상태인 인간에게 선악 등의 관념을 가르치고 교육해야 제대로 된 인간이 만들어진다고 보았다. 고자의 성무선악설은 오히려 프리드리히 니체의 "선악의 너머"와 유사한 윤리 기준에 가깝다. 그리고 그 기준이 되는 부동심 같은 경우는 바뤼흐 스피노자의 "코나투스"와 차라리 유사하다 해야 할 것이다. 그가 말하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와 인간 윤리의 관계는 에티카와 비교 독해하기에 괜찮다. 로크의 백지론적 윤리관의 일례로 영국 요리 문서에 소개된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금욕주의적 교육방식이 있는데 이는 고자의 주장과는 거리가 멀다.
3. 과학적 관점
자연과학의 입장은 성무선악설에 가깝다. 즉 인간의 본성은 다른 생물과 마찬가지로 유전자에 기반한 선천적인 요인이며, 그 자체는 선악의 관점에서 판단을 내리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 진화심리학과 인류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물론 형이상학과 철학에서는 신경과학적 연구가 곧 자유의지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지는 못한다고 하듯이 도덕과 선악의 구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인류는 자신들의 경험치를 잣대로 선과 악을 나눴고, 이 선과 악은 객관적으로 판단될 수 없다. 인류는 태어날 땐 오직 DNA에 기록된 생존 본능[3]과 육체를 가지고 태어났으므로, 애초에 선인지 악인지 판단하는 게 불가능하다. 본능도 어떤 문화로 보면 선일 수 있고 어떤 문화로 보면 악일 수 있다. 결국 본능 일부가 판단자 입장에서 선에 속하면 성선설이고 악에 속하면 성악설인 것이다. 이건 인문학적 관점으로 봐도 유효하다.
사람의 본성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주 다양하므로 선하거나 악하다는 식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 아기도 엄연히 식욕과 소유욕이 있는 생명체고, 이런 욕구는 정황에 따라 선하거나 악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소유욕이나 식욕이 그 자체로 나쁜 것은 절대 아니다. 선악 자체가 우주의 원초적인 성질이 아니라 극히 주관적인 개념이니 논리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것이다. 인류의 도덕적 기준은 원시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변해 왔으며, 지금껏 선으로 여겨졌던 것이 어느 순간부터 악이 되어버리거나 그 반대로 되기도 했다. 문화상대주의를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4. 정치적 관점
5. 경제적 관점
6. 문화적 관점
7. 관련 문서
- 로고스
- 자연과학
- 순수
- 본능
- 본성
- 성악설
- 바뤼흐 스피노자
- 카를 융
- 상대주의
- 회의주의
- 도가
- 도교
- 노자
- 명가(제자백가)
- 장자
- 존 로크 - 유명한 철학 저서 《인간 지성론》에서 인간은 아무것도 각인되지 않은 백지 상태(타불라 라사)에서 태어나 경험을 통해 점차 지식을 획득해 나간다는 경험론을 주장하였다.
- 키니코스 학파
- 안티스테네스
- 디오게네스
- 허무주의
- 프리드리히 니체
- 율리우스 에볼라
- 실존주의
- 계몽주의
- 다원주의
- 트랜스휴머니즘
- 디스토피아
- 방어적 민주주의
- 볼테르
- 결과는 좋았다
- 존 스튜어트 밀
- 공리주의
- 카를 마르크스[5]
[1] 이는 맹자의 주장과는 완전히 반대된다.[2] 그러다보니 고교의 윤리 시험에서 졸지에 로크가 답인 문제들에 고자라는 답변이 속출했다는 이야기가 있다.[3] 굳이 DNA를 붙이는 이유는, 현대 자연과학에 따르면 영혼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본능을 물질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유전자 시스템의 일부'로 판단한다. 즉, 본능 외 모든 행동들은 후천적 학습의 결과다.[4] 사회주의 라인의 이념들의 경우 대체적으로(대체적이라고 서술한 이유는 사회주의 라인에 속하는 이념인 맑스주의의 경우 후술하겠지만 생물학적 본성에서는 성무선악설, 사회적 본성에서는 성선설에 가까운 편이기 때문이다) '환경에 따라 사람이 이기적이 될 수도, 이타적이 될 수도 있다'는 주장을 미는 편이다. 대표적인 이상주의적 사회주의자인 로버트 오웬은 자본주의에서 비롯된 열악한 노동 환경과 교육의 부족이 사람을 이기적이고 탐욕적으로 만든다고 간주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동환경 개선과 교육의 배급을 옹호했다.[5] 특이하게도 이쪽 계열에서는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서는 성무선악설을, 사회적 본성에서는 (성무선악설에 가까운) 성선설을 채택한다. 역사 발전의 법칙에 따르면 사회는 유지, 계승, 발전하려는 것이 본성이고 이 본성에 따르는 것이 그 사회에서 정의하는 선이기 때문. 조금 더 설명하자면 인간이 악해지는 이유는 특히 자본주의에서 나타나는 초과 이윤의 착취 때문이며 착취로 유지되는 자본주의가 사멸하는 것이 역사 발전의 법칙에 부합한다는 것이 자본론의 요체라고 볼 수 있다.